첫째, 공천 과정에서 양대 정당이 무능력함을 보여줬다. 극심한 공천 후유증은 친박연대라는 선거용 단체를 만들어냈고 무소속 후보자를 양산했다. 친박연대는 선거 후 사라져가게 될 ‘선거용 정당’이다. 하지만 상당한 수준의 지지(3.4%)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같은 한나라당의 공천을 둘러싼 내홍은 일종의 권력투쟁 양상을 보이고 있다. 결국 향후 이명박 정부의 장래에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념·정책 실종… 부동층 36.6%
선거를 앞두고 정부와 여당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표출되고 있음에도 한나라당이 50%에 육박하는 정당 지지율(48.1%)을 기록하고 있다. 반면 통합민주당은 10%대 초반에 머무르고 있는 것도 이번 총선에서 포착되는 점이다.
부동층 비율이 36.6%로 유권자의 3분의1을 상회하고 있다. 지지 후보를 갖고 있는 사람의 경우 3명 중 1명꼴로 지지후보를 바꿀 수 있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선거의 가변성’은 이념과 정책이 실종되고 대운하·북풍(北風)이 정치 쟁점화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진보 진영의 분열도 이번 총선에서 눈에 띄는 점이다.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으로 갈라선 진보진영의 향배는 암울하다. 두 정당의 예상 의석수는 각각 4석,1석으로 과거 민노당 의석 수(11석)에 비해 크게 못미칠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같은 진보 진영의 쇠퇴로 정치적으로 이념 분포가 중도·보수로 편향될 경우 서민을 위한 정치적 교두보가 약화될 우려가 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선거용 정당 출현… 무소속 양산영호남, 충청권에서 지역주의가 부활하고 있다. 한나라당, 민주당, 자유선진당 등의 선거운동 과정에서 지역 정서를 부추기는 발언들이 서슴없이 나오고 있다. 득표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유권자의 지역감정을 폭발시키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질적인 선거운동 행태가 이번 선거에서도 그대로 작동되고 있는 것은 정책·이념이 실종된 것과 함께 한국 정치의 후진성을 보여주고 있다.
2008-04-02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