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기억과 언어/김정란 상지대 교수·시인

[열린세상] 기억과 언어/김정란 상지대 교수·시인

입력 2008-02-11 00:00
수정 2008-02-1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나는 아주 오랫동안 왜 엿장수는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지 의아하게 생각했었다. 물론, 손님을 끌어모으기 위한 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그런데 왜 여러 ‘장수’들 중에서 유독 엿장수만 노래를 할까? 이상하게도, 엿장수들은 ‘예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아주 뚜렷하게 자각하고 있다. 물론, 소박한 수준의 예술 행위이기는 하지만 말이다. 그 이유는 틀림없이 그들이 하는 특유의 ‘가위질’에 있을 것이다. 손님을 불러모으기 위한 가위질이 내는 규칙적인 리듬, 그것이 자연스럽게 춤과 노래로 이어졌을 것이다. 그런데 왜 엿장수는 가위 소리를 내는 걸까? 물론, 엿을 끊을 때 쓰는 도구와 가위를 이루고 있는 쇠가 어느 정도 연관이 있을 수는 있다.

이미지 확대
김정란 시인ㆍ상지대 교수
김정란 시인ㆍ상지대 교수
인간의 문화적 관습은 사실 아주 오랜 세월을 거쳐 만들어진다. 엿장수와 노래의 상관관계는 엿장수들이 들고 다니는 ‘쇠 가위’와 뚜렷한 연관이 있다. 엿장수들에게 원래 엿은 중요한 것이 아니었다. 원래는 고철을 모으는 것이 그들이 하는 주된 일이었다. 엿장수들은 엿을 팔기 위해서가 아니라, 쇠와 교환하기 위해서 엿을 가지고 다녔던 것이다. 가위 소리는 그래서 생겨났을 것이다.

그런데 왜 ‘쇠’는 노래와 연관이 될까? 나는 학생들에게 도깨비 설화를 가르치다가, 도깨비가 유난히 노래를 좋아한다는 사실을 떠올렸다. 도깨비는 쇠방망이를 들고 다닌다. 그런데 도깨비는 노래를 너무 좋아해서 노래가 흘러나온다는 혹부리 영감의 혹과 쇠방망이를 바꾸기도 한다. 도깨비는 야금술과 연금술 신화와 연관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도깨비 방망이가 ‘금 나와라 뚝딱, 은 나와라 뚝딱’한다는 것을 보면 나의 가정은 맞는 것 같다. 야금술 신화에서 쇠는 늘 신성한 어떤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쇠의 획득은 신성한 존재들과의 효과적인 소통으로 얻어지는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음악은 바로 이 지점에서 야금술에 개입한다. 음악은 아주 아득한 옛날부터 인간이 우주와 소통하는 수단으로 여겨졌던 것이다. 그것은 ‘다른 존재들’과 소통하는 ‘다른 언어’로서 쇠라는 신성한 물건을 얻는 데 도움을 준다고 여겨졌다. 중세기 서구 연금술 책자인 미하엘 마이어의 ‘아탈란타 푸가’에 그려진 연금술사들의 실험실에는 악기들이 연금술 실험도구들과 나란히 놓여 있다.

그렇다면, 엿장수의 노래는 쇠를 얻기 위한 대장장이들의 기도와 연관되어 있는지도 모른다. 그 기억이 수천 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쇠를 매개로 엿장수들을 춤추고 노래하게 만들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엿장수 맘대로”라는 표현은, 물론 고철과 엿의 교환관계를 마음대로 결정하는 엿장수의 무원칙한 기준을 빗댄 말일 것이다. 그러나, 어쩌면 그것도 아득한 옛날, 용광로 앞에서 좋은 쇠를 얻기 위해 노래를 흥얼거리던 대장장이의 언어의 기억과 연관되어 있는 것은 아닐까? 영혼의 깊은 곳에서 흘러나오는 언어 밖의 언어, 의식이 닿지 않는 깊은 영역에서 흘러나와 세상의 속박과 상관없는 논리를 따라가는 자유로운 언어,‘멋대로인’ 언어의 기억과 엿장수들은 자유롭게 세상을 떠돈다.

인간의 모든 행위는 어느 날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다. 그것은 가까운 기억에서부터 의식이 기억해내지 못하는 아주 아득한 옛날의 지워진 기억에까지 그 뿌리를 내리고 있다. 공동체의 기억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매체는, 말할 필요도 없이 당연히 언어이다. 한 공동체가 확고한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데에 언어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언어를 잃어버린 민족은 이미 죽은 민족이다. 그런데, 지금 제 나라 언어를 놓아두고 남의 나라 언어로 교육을 하자는 멍청한 발상이 버젓이 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것은 세계 전체에다가 대고,“우리는 바보입니다.”라고 광고하고 있는 것과 똑같다. 도대체 인수위는 지금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인가? 국민을 기억이 텅빈 깡통 로봇으로 만들 작정이 아니라면.

김정란 상지대 교수·시인
2008-02-11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