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시카고’ 주연 맡은 최정원·배해선·옥주현

뮤지컬 ‘시카고’ 주연 맡은 최정원·배해선·옥주현

정서린 기자
입력 2007-09-08 00:00
수정 2007-09-0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5,6,7,8…. 무대 위로 올라온 오케스트라, 지휘자가 배우에게 던지는 큐 사인. 숨가쁘게 전개되는 뮤지컬 ‘시카고’가 18일부터 30일까지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무대에 오른다. 스타가 되고 싶은 록시 하트 배해선(33), 옥주현(27)과 스타의 자리를 지키려는 벨마 최정원(38).‘시카고’의 연습이 끝난 충무아트홀에서 세 여자의 맨얼굴과 마주했다.

이미지 확대
뮤지컬 ‘시카고’
뮤지컬 ‘시카고’
“제가 강남대로 오피스텔에 사는데요. 아침에 나오면 집 앞에 공연 포스터가 태극기처럼 걸려 있어요. 혼자 뿌듯해하며 의식하곤 해요.”(배해선)“ 그런데 아무도 너 못 알아보지?.”(최정원)“학동 사거리 전광판에도 나와.”(옥주현)

셋이 모이니 인터뷰가 만담이 됐다. 서로 틀린 점이나 개선할 점을 스스럼없이 얘기하면서 ‘시카고’는 자매애로 완성되는 중이다.

1975년 전설적인 안무가 밥 파시가 처음 브로드웨이에 올린 ‘시카고’는 1996년 연출가 월터 바비가 리메이크해 이듬해 6개 부문에서 토니상을 수상했다.2002년 영화로도 만들어지며 대중성을 획득했다.

2001년 ‘시카고’(2000년)에서 록시 역으로 뮤지컬 여우주연상을 탔던 최정원에게도 이번 작품은 남다르다. 그녀는 후배들부터 치켜세웠다.“주현이는 신인인데도 배우로서 설득력과 에너지가 많아요. 해선씨는 함께 경쟁한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치열한 열정이 있죠.” “대학 때 정원이 언니를 보면서 저도 30대, 여자를 말할 수 있는 나이가 되면 시카고를 하고 싶다는 목표를 세웠었어요.” 배해선이 ‘댄싱 섀도’ 공연 도중 작품을 선택한 이유다. 옥주현은 생애 두번째 뮤지컬을 유난히 안무가 까다로운 ‘시카고’에 도전한다.“첫번째 앨범보다 두번째가 더 부담되는 것처럼 신체 리듬이 깨질 정도로 긴장감으로 몸이 조여져 있어요. 그런데 좋은 선배들과 함께 하니 고영양분을 섭취하는 기분이에요.”

‘세상에서 가장 뜨겁고 섹시한 무대’라는 타이틀을 달고 나온 ‘시카고’는 1920년대 시카고를 배경으로 하룻밤새 살인자가 된 두 여자의 배신과 치정, 재판을 통해 사회와 언론, 사법제도의 너절함을 풍자한다. 그래서 오늘날 한국의 자화상이기도 하다.

“사람들이 서로 존중하는 마음보다 명예와 유명세, 돈을 좇아가는 ‘상실’에 대해 얘기하고 있어요. 또 아내나 엄마로 살아가도 내가 선택할 수 있는 삶의 결정권이 있는지 묻고 있죠.”(배)

세트를 최소화한 ‘시카고’는 배우의 몸놀림에 온통 집중하는 극이다. 안무가 게리 크라이스트가 배우들에게 신체의 한 부분으로 스토리텔링을 하라고 강조할 정도. 한마디로 타이밍 싸움이다. 숨 한번만 잘못 골라도 무대가 흐트러진다는 게 배우들의 고민이다. 캐서린 제타존스와 르네 젤위거가 남긴 영화 ‘시카고’의 인상이 짙기도 하다.

“영화는 긴장과 순간적인 포착이 없으니 편안히 볼 수 있어요. 그런데 마지막 뮤지컬은 한정된 무대에 동시다발적으로 사건이 전개되며 관객과 완전히 밀착돼 극을 이끌어나가죠.” (최)“가장 큰 게 현장성이에요. 영화는 감독의 시선으로 카메라가 따라가지만 무대는 관객이 감독이 돼서 선택해 볼 수 있는 거죠.”(배)

국내에서 두 차례 공연된 ‘시카고’. 이번에는 줌으로 당겨 오리지널 버전에 가까이 접근한다.“제가 좋아하는 가사가 있어요.‘그래요, 여러분. 이제 여러분을 위해 사세요.’우리는 행복하려고 태어났고 사랑하고 사랑받으려고 태어났다고, 즐기면서 살라고요. 극장을 나서는 2000명 중 한명이라도 ‘까짓것 인생은 살아볼 만해’하고 나가면 성공이라고 생각해요.”(최)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2007-09-08 1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