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영·정조 시대의 화가 최북(崔北)은 자가 칠칠(七七)이다. 북(北)이란 글자의 좌우 획을 나누면 ‘칠칠’이 된다. 파자(破字)해 자를 만든 것이다. 학자들은 칠칠이란 말이 미천한 신분의 못난 놈임을 반항적으로 드러낸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작명이 기발한 것처럼 최북의 일생은 기행으로 얼룩져 호사가들의 입방아에 올랐다. 체질적으로 자유분방한 예술가의 천성을 타고난 최북의 삶은 ‘광기’ 바로 그것이었다.
한 귀인이 부탁한 그림을 거절한 최북이 협박을 받자 곧바로 제 한쪽 눈을 찔러 멀게 했다는 일화는 그의 범상치 않은 면모를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최북은 늙어서는 멀어 버린 눈에 안경은 필요없다며 외눈 안경을 걸쳤다. 고흐가 제 손으로 귀를 자르고, 명나라 화가 서위가 송곳으로 제 귀를 뚫은 장면이 절로 겹쳐진다.
안대회 명지대 국문과 교수가 쓴 ‘조선의 프로페셔널’(휴머니스트 펴냄)은 이처럼 자신이 옳다고 믿는 일에 조건없이 온 몸을 던진 진정한 고수(高手)들의 이야기다.
한 가지에 미쳐 아흔 아홉가지를 잊고 산 사람들. 옛사람들은 그들을 벽(癖), 치(痴)라고 불렀다. 오늘로 치면 마니아 혹은 프로페셔널이다. 지금이야 마니아가 대접받지만,18세기 조선사회에서는 유학의 틀을 벗어나 ‘그 밖의 분야’에서 이름을 날린들 알아주는 이가 없었다. 벽과 치는 무리와 다른 짓을 하는 별종으로 밀려났고, 손가락질을 받는 마이너리티였다.
책은 벽과 치의 전형을 이루는 ‘조선의 자존심’ 10명을 불러낸다. 여행가, 프로 기사, 춤꾼, 만능 조각가, 책장수, 원예가, 천민 시인…. 조선시대를 통틀어 한 번도 주류로 분류된 적이 없는 사람들이다.
18세기 후반 창해일사(滄海逸士)라는 호로 불린 여행가 정란. 그는 “북쪽으로 청나라와 남쪽으로 왜국까지 갈 수만 있다면 천한 노비가 되는 굴욕이라도 사양치 않겠다.”고 했다. 당대 최고의 산악가로 남고자 한 그 결기가 사뭇 비장하기까지 하다.
나는 학을 내려앉게 했다는 숙종 때의 악사 김성기의 이야기도 빼놓을 수 없다. 번잡한 도회를 떠나 마포 나루에서 낚시를 하며 소일하던 그는 당대의 권력자 동성군 목호룡이 연주를 청하자 그 자리에서 뜯고 있던 비파를 부숴버렸다.
그러고 이런 시조를 남겼다.“굴레 벗은 천리마를 뉘라서 잡아다가/조죽 삶은 콩을 살지게 먹여둔들/본성이 왜양하거니 있을 줄이 있으랴” 굴레를 벗어 자유로운, 천리마 같은 자신을 그 누가 붙잡아 둘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낮은 신분에 악사라는 천대받는 직업을 가졌지만 아무도 자신을 얕볼 수 없다는 도도한 근성이 잘 드러나 있다.
조선의 벽과 치들은 이렇듯 자신을 스스로 파괴하고 굴욕을 감내하면서도 자존을 지키기 위해 무던히 애썼다. 자신의 열정을 향해 질주한 선인들의 이야기가 진정한 프로페셔널의 힘을 느끼게 한다.1만 9000원.
김종면기자 jmkim@seoul.co.kr
한 귀인이 부탁한 그림을 거절한 최북이 협박을 받자 곧바로 제 한쪽 눈을 찔러 멀게 했다는 일화는 그의 범상치 않은 면모를 보여주기에 충분하다.
최북은 늙어서는 멀어 버린 눈에 안경은 필요없다며 외눈 안경을 걸쳤다. 고흐가 제 손으로 귀를 자르고, 명나라 화가 서위가 송곳으로 제 귀를 뚫은 장면이 절로 겹쳐진다.
안대회 명지대 국문과 교수가 쓴 ‘조선의 프로페셔널’(휴머니스트 펴냄)은 이처럼 자신이 옳다고 믿는 일에 조건없이 온 몸을 던진 진정한 고수(高手)들의 이야기다.
한 가지에 미쳐 아흔 아홉가지를 잊고 산 사람들. 옛사람들은 그들을 벽(癖), 치(痴)라고 불렀다. 오늘로 치면 마니아 혹은 프로페셔널이다. 지금이야 마니아가 대접받지만,18세기 조선사회에서는 유학의 틀을 벗어나 ‘그 밖의 분야’에서 이름을 날린들 알아주는 이가 없었다. 벽과 치는 무리와 다른 짓을 하는 별종으로 밀려났고, 손가락질을 받는 마이너리티였다.
책은 벽과 치의 전형을 이루는 ‘조선의 자존심’ 10명을 불러낸다. 여행가, 프로 기사, 춤꾼, 만능 조각가, 책장수, 원예가, 천민 시인…. 조선시대를 통틀어 한 번도 주류로 분류된 적이 없는 사람들이다.
18세기 후반 창해일사(滄海逸士)라는 호로 불린 여행가 정란. 그는 “북쪽으로 청나라와 남쪽으로 왜국까지 갈 수만 있다면 천한 노비가 되는 굴욕이라도 사양치 않겠다.”고 했다. 당대 최고의 산악가로 남고자 한 그 결기가 사뭇 비장하기까지 하다.
나는 학을 내려앉게 했다는 숙종 때의 악사 김성기의 이야기도 빼놓을 수 없다. 번잡한 도회를 떠나 마포 나루에서 낚시를 하며 소일하던 그는 당대의 권력자 동성군 목호룡이 연주를 청하자 그 자리에서 뜯고 있던 비파를 부숴버렸다.
그러고 이런 시조를 남겼다.“굴레 벗은 천리마를 뉘라서 잡아다가/조죽 삶은 콩을 살지게 먹여둔들/본성이 왜양하거니 있을 줄이 있으랴” 굴레를 벗어 자유로운, 천리마 같은 자신을 그 누가 붙잡아 둘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낮은 신분에 악사라는 천대받는 직업을 가졌지만 아무도 자신을 얕볼 수 없다는 도도한 근성이 잘 드러나 있다.
조선의 벽과 치들은 이렇듯 자신을 스스로 파괴하고 굴욕을 감내하면서도 자존을 지키기 위해 무던히 애썼다. 자신의 열정을 향해 질주한 선인들의 이야기가 진정한 프로페셔널의 힘을 느끼게 한다.1만 9000원.
김종면기자 jmkim@seoul.co.kr
2007-03-31 1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