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의 생활 탐험] 나의 노래, 우리의 노래

[건축가의 생활 탐험] 나의 노래, 우리의 노래

입력 2007-03-27 00:00
수정 2007-03-2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황두진 건축가

’동물원’이라는 그룹이 있다. 80년대에 대학을 다녔던 세대들 사이에서는 아직도 꽤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그룹이다. 공식적으로는 해체했지만 종종 멤버들이 다시 모여 콘서트를 갖는 것으로 안다. 이들을 아주 전문적인 음악인들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오히려 그런데에 그들의 매력이 있는 듯하다. 동물원 특유의 매력, 그것은 특히 가사에서 잘 드러난다.

<시청 앞 지하철역>이란 노래는 제목 그대로 시청 앞 지하철역에서 옛날 여자친구, 혹은 애인을 우연히 만나 짧은 대화를 나누는 내용이다. ‘이미 두 아이의 엄마’가 된 그녀. 그러니 노래하는 사람도 학교를 졸업한 지 오래된 사회인일 것이다. 여전히 젊기는 하지만 이미 기성세대의 삶에 깊숙이 편입되어 있는 그들. 그런 이들에게 정말 일어날 듯한, 그러면서도 여전히 특별할 수밖에 없는 해후를 이 노래처럼 실감나게 그린 예는 별로 없는 듯하다.

<혜화동>은 또 어떤가. 가사를 자세히 음미해 보면 대략 이런 상황이 떠오른다. 어린 시절 강북 혜화동 일대에서 함께 놀던 친구들이 그 사이 여의도로, 강남으로 전학을 갔었는데 그중 하나가 이제 해외로 이민을 가게 되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예전에 뛰어놀던 혜화동으로 친구들을 불러 모은다. 그 떠나는 친구를 만나러 혜화동으로 가며 부르는 노래인 것이다. 혜화동 1번지 보성중학교를 다녔던 나에게 이 노래는 정확히 나, 그리고 내 친구들을 위한 노래였다. 짧은 노래 한 편에 서울이라는 도시의 발전사가 그대로 압축되어 있기도 하다. 대체로 동물원의 노래에서는 80년대의 최루탄 냄새가 잘 나지 않는다. 그래서 종종 동물원은 ‘비운동권 386을 위한 그룹’으로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그들은 일상적인 삶을 그렸고, 그 배경의 풍경을 정확히 묘사했으며, 무엇보다 자기 세대를 위해 노래했다.

이제는 유행이 많이 지난, 이 그룹에 대해 새삼 이야기하는 이유는 이렇다. 나는 이제 40중반이다. 40대가 인생의 황금기라고 한다면 이제 절반이 지나간 셈이다. 굳이 뭐가 그리 황금기적인지는 잘 모르겠다. 아마 30대 이전에는 이룬 것이 있기 어렵고, 50대에 접어들면 무엇보다 몸이 이전 같지 않기 때문에 40대를 그렇게 부르는가 보다. 그런데 우리 사회의 40대는 참으로 척박한 삶을 산다. 간단히 말해서 대부분의 시간을 일을 하거나 혹은 술을 마시는 데 쓴다. 그래서 40대의 문화라는 것은 참으로 빈약하기 짝이 없다. 조사를 해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아마 가장 문화비 지출이 적은 세대가 40대일 것이다. 하지만 40대가 결코 일하는 기계나 향락적인 소비 계층만은 아니다. 반짝반짝하는 삶의 순간들이 있어야 하고 또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다. 다만 이를 이야기하고 노래할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것이 문제다.

나의 노래, 우리의 노래에 대한 갈증은 여기에서 시작된다. 내가 잘 몰라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지금 이 시대를 살고 있는 내 나이 또래를 위한 노래란 정말 찾아보기 어렵다. 굳이 젊은 세대와 코드를 맞추겠다고 힙합을 억지로 듣는 것도 우습고, 그렇다고 흘러간 옛 노래를 부르자니 뭔가 지금의 시대와 맞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점점 노래방이 시들해진다. 물론 드물게 시대와 연령을 초월하여 공감을 일으키는 노래들이 있기는 하다. 최백호의 <낭만에 대하여> 같은 것이 그런 예가 아닌가 한다. 하지만 역시 내가 살고 있는 이 시대의 감성은 아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이렇다. 함께 나이 먹어 가는 같은 세대로서, 나와 우리의 이야기를 담은 우리의 노래를 부르는 그런 사람들이 좀 있었으면 좋겠다. 그것도 지속적으로 창작을 꾸준히 하는 경우라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겠다. 데뷔곡을 대표곡 삼아 평생을 불러대는 경우는 좀 아니었으면 한다. 하지만 가수들도 내 나이가 되면 다른 사업을 하거나 더 이상 음악적으로 발전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간혹 콘서트를 가봐도 결국 대부분의 레퍼토리는 이미 한참 지난 것들이다. 현재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창작곡을 들을 기회가 별로 없다. 그래서 뭔가 가슴 속이 허전하다.

그런 점에서 조용필과 같은 세대의 사람들은 그나마 행복했던 것 같다. 유래 없이 장수한 이 가수 덕에 지속적으로 함께 나이 먹어 가는 이야기를 주고받을 수 있었으니 말이다. 아마 미국에서는 프랭크 시나트라가 그런 사람이었을 듯 하다. <참 좋은 해였네(It Was a Very Good Year)>나 <나의 길(My Way)> 같은 노래가 어찌 얕은 연륜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던가.

나는 지금도 우리 사회에 혹시 내 20대의 동물원에 해당하는 그런 사람들이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그래서 나와 같은 40대들의 이야기를 들려주기를 바란다. 나의 노래, 우리의 노래를 잃은 바로 그 세대에게 노래를 다시 돌려주었으면 한다.

이미지 확대
 

 

월간 <삶과꿈> 2007.02 구독문의:02-319-3791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