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이상 테너 도밍고는 없다

더이상 테너 도밍고는 없다

안동환 기자
입력 2007-01-26 00:00
수정 2007-01-2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계적으로 사랑을 받아 온 테너 가수 플라시도 도밍고(66)가 음역을 바리톤으로 바꿔 데뷔한다. 오페라 성악 가수에게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사례이다. 음악 인생 40년 만에 음역을 바꾸는 극적인 변화가 온 것이다.

영국 가디언 인터넷판은 25일 테너 가수로 노래해 온 도밍고가 “바리톤으로 전환(switch)한다.”면서 ‘도밍고의 테너는 더 이상 없다.’고 보도했다. 도밍고 대변인도 이날 뉴욕에서 바리톤으로 전환하는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이 신문은 도밍고의 결정은 다른 성악가들이 놀라움을 표시할 정도로 대담한 도전이라고 평가했다. 성악가에게 음역과 목소리는 결코 바꾸기 쉽지 않은 부분이다. 상당한 시간과 노력, 훈련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더구나 도밍고는 루치아노 파바로티, 호세 카레라스와 함께 세계 `3대 테너´로 꼽히는 가수였다는 점에서 놀라움이 크다.

도밍고는 2009년 독일 베를린 국립 오페라극장에서 공연되는 베르디의 작품 ‘시몬 보카네그라’에서 바리톤 배역인 제네바 총독인 시몬 보카네그라로 출연한다. 그는 10년전 코벤트가든 극장에 출연한 ‘시몬 보카네그라’에서는 바리톤 배역이 아닌 보카네그라 딸의 애인인 테너 배역 가브리엘레 아도르노를 맡았었다.

도밍고는 1957년 멕시코시티에서 데뷔할 때는 바리톤 가수로 출발했었다. 하지만 1960년 베르디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의 알프레도로 출연한 후 테너 가수로 활동했다. 도밍고는 최근 수년동안 인터뷰에서 ‘바리톤으로의 전환’을 시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나이가 먹을수록 도밍고의 구릿빛 테너 음성이 점점 어두워져 베르디의 오텔로와 바그너의 파르치팔 같은 배역을 탁월하게 소화해 낸다는 평가를 받고 있었다.

안동환기자 sunstory@seoul.co.kr

2007-01-2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4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3 / 5
3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