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姙娠)한 여고(女高)3년생 그로부터 13년

임신(姙娠)한 여고(女高)3년생 그로부터 13년

입력 2006-11-27 00:00
수정 2006-11-2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영화화(映畵化)되는 자기 수기(手記)에 주연(主演)하는 여인(女人)

자신이 쓴 수기(手記)가 영화(映畵)로 기획되자 그 영화의 주연까지 맡게 되어 자신의 생활을 「스크린」위에서 재연하게 된 이색여심(女心)- . 『이 여인의 슬픔이』(전조명(田朝明)감독)의 원작자이자 주연배우로 등장하는 김소연씨(金昭延·32·본명 김지연(金志延))『영화보다 더 슬프고 쓰라렸던 13년간의 결혼생활』을 영화 속에서 되뇌어 보려는- 이 한맺힌 여인의 사연을 들어보면- .

순결뺏은 선생님과 결혼…두아이 낳고 2년후 이혼

이미지 확대
자작 수기가 영화로 기획되자 주연 도맡게된 김소연씨.
자작 수기가 영화로 기획되자 주연 도맡게된 김소연씨.
「이 여인의 슬픔」은 18세때, 춘천(春川)의 모 여고 3학년생이던 김여인이 그녀보다 13세 손위인 수학선생 한테 처녀를 빼앗기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사랑이 어떤 것인지 알지도 못한 채 그 스승과 결혼해서 13년. 金여인은 세상 여자가 그렇듯 아내가 되고 두 아이의 어머니가 됐다. 다만 다른 여인들처럼 평탄하게 살아오지 못한 데서 「드라머」가 형성된다.

13년간의 결혼생활은 2년간의 동거, 5년간의 별거 그리고 합의이혼 뒤 3년간의 독신생활, 다시 돌아온 남편과의 재결합, 그뒤 오늘까지의 아내의 위치가 기둥 줄거리로 구성된다.

『한 남편에 대한 집념이 여자를 얼마나 슬프게 했는가를 보여주는 거죠』- 김여인은 자신의 과거가 「픽션」이상으로 「드라머틱」하다고 한숨지었다. 3살때 일본으로 건너가 그 곳에서 국민학교와 중학교를 마치고 귀국한 게 15살때. 그럴싸해서인지 김여인에게는 일본 여인에게서 풍기는 특이한 분위기가 있다.

지금도 30대여인으로는 볼 수 없게, 더구나 파란곡절을 겪은 여인으로는 상상할 수도 없게 애잔한 얼굴. 옷차림 역시 「스타」 지망생답게 화사하다.

여고 3년때의 그녀는 학교 안에서 손꼽히는 미녀였단다. 수학선생이 제자를 범한 이유인즉 『졸업하면 남에게 빼앗길것 같아서』. 예쁜게 탈인 소녀는 멋도 모르고 그 수학선생에게 몸을 바쳤단다. 그리고 임신. 졸업하기가 바쁘게 그 스승한테 시집을 갔다.

스승과 제자의 결합이 용납되질 않았다. 직장을 내놓은 남편은 고생을 모르고 자란 아내를 찢어진 가난 속에 빠뜨렸다. 그리고 돈을 벌자 2호, 3호를 얻어 들였다.

영화 속에서 김소연의 남편 역으로 등장하는 게 신영균(申榮均).

신영균은 지사(志士)적인 호탕함은 있으나 아내를 살뜰히 보살필 수 있는 자상한 남편은 아니었다. 하고싶은 일은 무책임할이만큼 늘어놓는 성미였다. 직장을 내던지고 제자와 사랑의 줄행랑을 놓을만큼 대담한 사랑이었지만 그것도 순간뿐.

사업을 벌여 돈이 생기자 2호, 3호를 얻어 들이고 어린 아내를 내동댕이쳤다. 2호는 「호스테스」, 3호는 여비서. 그 밖에 수많은 여자에게 아이를 잉태시켰다.

결혼 2년만에 두 아이를 낳은 김여인은 갓 스물살 때부터 자신의 행복보다 자식의 장래를 위해 의무적으로 살아야하는 여자가 됐다. 남편이 살림을 돌봐주지 않자 자신의 손으로 생계를 꾸려나가야 했다. 살아야 한다는 일념으로 『몸을 파는 짓 이외는 안해본 게 없다』.

『더욱 기막힌 것은』남편에게 이혼당할 때. 그녀는 2백만원의 빚을 안고 헤어졌다.

유혹도 많았으나 9년만에 다시 만나

위자료 대신 남편의 빚더미를 짊어진 것이다.

집을 담보로 2백만원의 부채를 청산했을 때 김여인에게는 새로운 유혹이 뻗쳐왔다.

담보를 맡은 변호사(지금도 명사급 인사)가 동거생활을 요구해 왔다. 의젓하게 아내를 가진 신사였다. 자신의 불행은 고사하고 『또 한사람의 불행한 여자를 만들지 않겠다는 마음으로』 김여인은 그 변호사의 「프로포즈」를 뿌리쳤다.

또하나의 유혹- . 그것은 김여인이 음독자살을 꾀했을 때 죽음에서 구해준 한 착실한 청년(영화에서는 신성일(申星一))의 구혼이었다. 총각이었던 그 청년은 김여인의 과거를 고백받자 한층 더 적극적으로 구애를 했다. 『사랑이 이런것인가』하고 처음으로 깨우쳐준 청년이었다.

그러나 그녀는 이 구혼에도 고개를 저었다. 고통을 참고 외로움을 견디는 여성의 인고(忍苦). 그 때는 이미 법적으로 남이 되었지만 그녀는 언젠가 있을 남편의 귀가를 기다리고 있었다.

『한 남녀가 부부로 맺어진다는 것은 애정보다는 인연의 결과입니다. 그 인연이 끊기지 않았던가 봐요. 여자로서의 자존심 같은건 문제가 아녜요』

2년 전에 남편은 방황을 끝내고 귀가했다. 별거부터 따지면 거의 9년만의 재결합이다.

지금은 행복하냐는 질문에 김여인은 『과거보다는- 』하고 소리를 죽였다. 수기를 쓰게 된 것은 『한 맺힌 과거를 스스로 정리해보려고』69년 봄부터 착수했다. 대학「노트」에 쓴 것을 2백자 원고지에 옮기니까 2천장 가량. 『지금도 더 쓰자면 한이 없다』고 말한다. 그 누구한테도 쏟아놓을 수 없던 괴로움을 독백하듯 수기로 엮었다는 것. 쓰고 나면 조금쯤은 속이 후련해졌단다.

그러나 그 누구에게도 쏟아 놓을 수 없던 이 여인의 슬픔은 엉뚱하게도 영화가 되어 만인 앞에 공개될 판이다.

노트에 적은 여자의 슬픔 우연한 인연으로 영화화

김여인의 친척뻘되는 사람이 우연히 이 수기를 읽고 소문을 냈기 때문이다. 이 영화의 기획자인 박건태랑씨(朴健太郞·한때 전조명 감독의 조감독생활도 했다)는 김여인의 수기를 입수하자 이의 영화화를 서두르게 됐고 전조명 감독도 바짝 열을 올리게 됐다는 것. 전감독의 말은 『자기를 버린 남자에게 끝까지 쏟는 무서운 여자의 집념』을 「픽션」아닌 실화로서 「리얼」하게 그리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영화화는 허락했어도 출연까지는 『상상도 못했다』고 김여인은 말했다. 김여인을 직접 등장시키자는 「아이디어」는 박씨와 전감독이 김여인을 만난 순간에 떠 오른 것으로 『배우 못지 않은 「마스크」에 맘이 쏠렸다』는 것.

망설인 끝에 남편의 허락을 받고 출연을 결심했다는 것이다. 이 작품이 성공할 경우 어떻게 심경이 변할지는 몰라도 『출연은 이 작품 하나뿐이고 배우될 생각은 없다』는 게 金여인의 말.

「스크린」에서 자기의 과거를 실연(實演)할 김여인은 이를테면 수기로서 못다한 애증(愛憎)의 세계를 영화에서 털어 놓겠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13년간 견딘 슬픈 여인의 사연이 어떻게 작품으로 승화될 것인가가 남아 있는 문제다.

[선데이서울 70년 4월 5일호 제3권 14호 통권 제 79호]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