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먼저 르네상스 시대 영국 문학 작품을 대상으로 복화술의 비밀을 벗긴다. 이 시대 여성은 저술을 한다거나 대중 앞에서 연설을 하는 경우는 극소수였다. 저자는 남성 작가들이 문학 속에 여성으로 등장하여 여성을 효과적으로 침묵시키고 가부장제 문화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고 본다.
예를 들어 모든 위대한 남성 시인들은 한 편 정도는 버림받은 여성의 목소리로 시를 썼다. 이때 버림받은 여성이 토로하는 비천한 ‘불만‘은 근대 초기의 순결 이념과 연결된 ‘침묵’과 대비되어 공공연히 순결을 권장하고 유혹이나 쾌락의 결과를 경고하는 교육적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이다.
저자는 다양한 작품을 분석하며 성별화된 목소리가 갖는 권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그러나 그의 탐사는 결코 단선적이지 않다. 저자는 오히려 20세기 여러 페미니스트들의 이론을 병치하여 복화술의 전복을 읽어내거나, 복화술의 이면에 숨겨진 긴장과 불일치를 짚어내 ‘상호텍스트성’이라는 문학적 효과를 부각시키는 데 주력한다. 이 과정에서 독자는 코프망, 식수, 이리가레, 크리스테바 등 프랑스 포스트페미니스트들의 이론이 거침없이 적용되는 장면을 즐길 수 있다.
가령 코프망은 복화술을 여성의 ‘목소리’를 발화하는 도구로 차용한다.‘나, 프로이트가 말하기를…’로 시작하는 복화술적인 글을 통해 여성적인 것을 열등하고 히스테리적인 것으로 비하하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담론을 무너뜨리는 것이다. 더 나아가 식수는 여성의 ‘병적인 흥분상태’, 즉 히스테리 자체를 변화를 만들어내는 책략으로 끌어들였다. 복화술이란 말을 사용하진 않았지만 기존 질서를 뒤엎는 ‘여성적 글쓰기’로 여성을 매도하던 문화적 담론을 파괴한 것이다.
그러나 저자는 이런 논의가 가져올 수 있는 여성적 목소리에 대한 초역사성에 대해서는 반대입장을 분명히 한다. 여성적 목소리, 혹은 젠더(gender)는 결국 문화상의 어떤 가치나 주장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어느 특정한 관점이 만들어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복화술 논의가 ‘상호텍스트성’과 만나는 곳도 바로 이 지점이다. 크리스테바가 정의한 상호텍스트성이란 하나의 기호체계에서 다른 기호체계로 바뀜에 따라 언명(enunciation)의 새로운 이론화를 필요로 하는 글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모든 의미 표현은 다양한 의미표현의 체계에 속한 변형 영역인 셈이며 언명된 ‘자리´ 와 지칭된 ‘대상’은 결코 단일하거나 완전한 것이 아니라 항상 복수적으로 존재한다. 저자는 이런 관점에서 복화술 작품들도 확정된 발화로 볼 것이 아니라 목소리 간의 괴리와 불일치에 주목하기를 권한다. 그래야만 우리는 다양한 작가, 다양한 문화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영·미 페미니즘과 프랑스 페미니즘의 규범통합을 표방하면서도 포스트적 입장에 기울어진 인상이다. 해독을 위해서는 다소 사전 지식이 필요하다.1만 8000원.
신연숙 문화담당 대기자 ysh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