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675)-제6부 理氣互發說 제2장 四端七情論(21)

儒林(675)-제6부 理氣互發說 제2장 四端七情論(21)

입력 2006-08-23 00:00
수정 2006-08-2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제6부 理氣互發說

제2장 四端七情論(21)


이미지 확대


분서갱유(焚書坑儒)를 통하여 유가의 경전을 세상에서 사라지게 만든 천하통일의 진(秦)대는 다행히 오랫동안 세상을 통치하지 못하고 곧 망해버려 세상에는 여전히 적지 않은 경적(經籍)들이 살아남을 수 있었는데, 한(漢)대에 들어와 혜제(惠帝:기원전 194∼188년 재위)가 경전들의 개인소장을 금하던 법령인 ‘협서지금(挾書之禁)’을 해제한 뒤부터 유학은 중국의 정치이념을 설명하는 학문으로 뿌리내리기 시작하였다.

특히 무제(武帝) 이후부터 유학은 한대 군주들의 전제정치를 합리화하고 분식(粉飾)시켜주는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던 것이다.

한대 이후로 위(魏), 진(晉), 남북조(南北朝), 수(隋), 당(唐)에 이르기까지 유학은 도교와 불교와 더불어 꾸준히 천년 이상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발전되어 오고 있었는데, 따라서 ‘대학’에 나오는 ‘격물치지(格物致知)’에 대한 논쟁도 끊임없이 여러 세기를 두고 계속되어 온 것이었다.

그만큼 ‘격물치지’에 대한 정확한 해석은 쉽게 정의(定義)되지 않았으며, 그런 의미에서 ‘격물치지’는 유학에 있어 최고의 난해한 철학적 명제였던 것이다.

한대의 유학자 정현(鄭玄)은 “‘격물치지’의 ‘격(格)’을 ‘온다(來)’의 뜻으로 해석하고 ‘물(物)’을 ‘일(事)’의 의미로 해석함으로써 ‘선(善)’에 대해서 지식이 깊으면 선물(善物:선한 결과)이 오고,‘악(惡)’에 대해서 지식이 깊으면 악물(惡物: 악한 결과)이 오니, 이 일은 사람이 좋아하는 바에 연유하여 오는 것을 말한다.”라고 해석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세기적 논란에 종지부를 찍은 사람이 바로 주자.

주자는 ‘격물치지’의 ‘격(格)’을 ‘이른다(至)’로 보고 ‘물(物)’은 ‘일(事)’로 봄으로써 격물치지를 ‘사물에 이르러 그 이치를 궁구하는 것이며, 치지는 이미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더욱 끝까지 미루어 궁리하는 것이다.(窮至事物之理 欲其極無不到也)’라고 해석함으로써 이를 성리학의 종지(宗旨)로 삼았던 것이다.

그러나 육구연은 ‘인간의 마음이 곧 이(心卽理)’라고 주장함으로써 불교의 선(禪)처럼 개인 본심의 자각이야말로 깨달음의 격물치지로 나아가는 지름길임을 천명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주자가 ‘격물치지’를 학문의 수단과 방법으로 보았다면 육구연은 ‘격물치지’를 깨달음의 경지로 보고 있었던 것이다.

육구연은 ‘천하의 이는 무궁하다. 그렇지만 그것은 모두 여기(마음)에 모여들어 있다.(天下之理無窮 然其會歸總在于此)’라고 말하고 ‘마음의 체는 매우 크므로 만약 내 마음을 지극케 할 수 있다면 하늘과 같아진다.(心之體甚大 若能盡我之心 便與天同)’라고 주장함으로써 오직 ‘내 마음(吾心)’만이 ‘바로 우주이며, 우주는 바로 내 마음(吾心便是宇宙 宇宙便是吾心)’이라고 천명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육구연은 ‘이(理)’를 ‘내 마음’과 절대적으로 동일시하고 나아가서 자아(自我)를 제일원리로 간주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는 실재하는 것은 오직 자아와 그 의식뿐이라는 유아론(唯我論)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2006-08-23 25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