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 (659)에는 ‘柱石之臣’(기둥 주/돌 석/어조사 지/신하 신)이 나오는데,‘나라를 떠받치는 중요한 구실을 하는 신하’를 뜻하는 말이다.
‘柱’는 意符(의부)인 ‘木’(목)과 音符(음부)에 해당하는 ‘主’(주)가 결합하여 ‘기둥’의 뜻을 나타냈다.‘主’는 본래 ‘횃불’‘등잔의 불’을 나타낸 글자였고 이와 모양이 유사한 ‘王’(왕)은 자루가 없는 ‘큰 도끼’의 상형이다.‘柱’의 用例(용례)는 ‘氷柱(빙주:고드름),柱聯(주련:기둥이나 벽 따위에 장식으로 써서 붙이는 글귀),支柱(지주:어떠한 물건이 쓰러지지 아니하도록 버티어 괴는 기둥, 정신적·사상적으로 의지할 수 있는 근거나 힘)’ 등이 있다.
‘石’자는 손아귀에 잡을 수 있는 크기의 날이 있는 돌의 상형이다. 옛날 사람들은 이 돌을 무기로 쓰고, 흙을 파거나 물건을 자르는 도구로도 사용했다.‘石間水(석간수:바위틈에서 나오는 샘물),鐵石肝腸(철석간장:굳센 의지나 지조가 있는 마음),試金石(시금석:가치, 능력, 역량 따위를 알아볼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기회나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등에 쓰인다.
‘之’자는 ‘止’(지)와 ‘一’(일)을 합한 글자.‘발’을 뜻하는 止 아래에 出發線(출발선) 또는 地面(지면)을 가리키는 一을 넣어 ‘어디론가 가다.’라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臣’자는 포로가 結縛(결박)된 채 무릎을 꿇고 눈을 치켜 뜨고 있는 형상이다. 본 뜻은 ‘포로’ 혹은 ‘노예’로, 주군의 뜻을 받들어 백성들을 감시하는 ‘신하’의 뜻도 생겨났다.用例에는 ‘家臣(가신:정승의 집에 딸려 있으면서 그들을 섬기던 사람),亂臣(난신: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 난시에 나라를 잘 다스리는 신하),忠臣(충신:나라와 임금을 위하여 충성을 다하는 신하)’ 등이 있다.
尙書(상서) 益稷(익직)편에는 聖君(성군)으로 알려진 순(舜)임금이 신하들에게 다음과 같이 下敎(하교)한 내용이 있다.“신하는 짐의 팔과 다리(股肱:고굉)요, 눈과 귀가 되어야 한다. 내가 백성들의 삶에 보탬이 되고자 하면 너희들은 내 뜻을 따라주고, 내가 사방에 힘을 펼치려 하면 너희들도 동참해야 한다.(중략)만일 내가 도리에서 벗어나거든 너희들이 規正(규정)하여 輔弼(보필)하고,面前(면전)에서는 순종하는 척하다가 뒤에서 수군거리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股肱之臣’(고굉지신)은 여기서 나온 말로 柱石之臣(주석지신)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社稷之臣(사직지신),股掌之臣(고장지신)도 유사한 말이다.
김후직(金后稷)은 신라 지증왕의 曾孫(증손)으로, 진평왕을 섬겨 병부령(兵部令)을 지냈다. 그는 정사를 내팽개치고 사냥을 즐기는 왕에게 直言(직언)을 서슴지 않았다.“옛날 老子(노자)가 이르기를, 말을 달리며 사냥을 하는 것은 사람들의 마음을 發狂(발광)케 한다고 하였습니다.書經(서경)에서는 ‘안에서 여색에 빠지거나 밖에 나가 사냥에 몰두하는 것 중 한 가지만이라도 있으면 망하지 않는 자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병을 얻어 세상을 하직하는 마당에도 충심은 변함이 없었고 遺骸(유해)를 왕의 사냥 길목에 묻어달라는 遺言(유언)을 남겼다. 후직의 사후에도 왕의 사냥놀음은 그칠 줄 몰랐다. 어느날 왕이 사냥을 가는 도중 어디선가 “가지 마시오!”라는 소리가 들렸다. 소리의 出處(출처)는 후직의 무덤이었다. 왕은 후직의 충성심에 感服(감복)하여 다시는 사냥터에 나가지 않았다.
김석제 경기도군포의왕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
‘柱’는 意符(의부)인 ‘木’(목)과 音符(음부)에 해당하는 ‘主’(주)가 결합하여 ‘기둥’의 뜻을 나타냈다.‘主’는 본래 ‘횃불’‘등잔의 불’을 나타낸 글자였고 이와 모양이 유사한 ‘王’(왕)은 자루가 없는 ‘큰 도끼’의 상형이다.‘柱’의 用例(용례)는 ‘氷柱(빙주:고드름),柱聯(주련:기둥이나 벽 따위에 장식으로 써서 붙이는 글귀),支柱(지주:어떠한 물건이 쓰러지지 아니하도록 버티어 괴는 기둥, 정신적·사상적으로 의지할 수 있는 근거나 힘)’ 등이 있다.
‘石’자는 손아귀에 잡을 수 있는 크기의 날이 있는 돌의 상형이다. 옛날 사람들은 이 돌을 무기로 쓰고, 흙을 파거나 물건을 자르는 도구로도 사용했다.‘石間水(석간수:바위틈에서 나오는 샘물),鐵石肝腸(철석간장:굳센 의지나 지조가 있는 마음),試金石(시금석:가치, 능력, 역량 따위를 알아볼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기회나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등에 쓰인다.
‘之’자는 ‘止’(지)와 ‘一’(일)을 합한 글자.‘발’을 뜻하는 止 아래에 出發線(출발선) 또는 地面(지면)을 가리키는 一을 넣어 ‘어디론가 가다.’라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臣’자는 포로가 結縛(결박)된 채 무릎을 꿇고 눈을 치켜 뜨고 있는 형상이다. 본 뜻은 ‘포로’ 혹은 ‘노예’로, 주군의 뜻을 받들어 백성들을 감시하는 ‘신하’의 뜻도 생겨났다.用例에는 ‘家臣(가신:정승의 집에 딸려 있으면서 그들을 섬기던 사람),亂臣(난신: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 난시에 나라를 잘 다스리는 신하),忠臣(충신:나라와 임금을 위하여 충성을 다하는 신하)’ 등이 있다.
尙書(상서) 益稷(익직)편에는 聖君(성군)으로 알려진 순(舜)임금이 신하들에게 다음과 같이 下敎(하교)한 내용이 있다.“신하는 짐의 팔과 다리(股肱:고굉)요, 눈과 귀가 되어야 한다. 내가 백성들의 삶에 보탬이 되고자 하면 너희들은 내 뜻을 따라주고, 내가 사방에 힘을 펼치려 하면 너희들도 동참해야 한다.(중략)만일 내가 도리에서 벗어나거든 너희들이 規正(규정)하여 輔弼(보필)하고,面前(면전)에서는 순종하는 척하다가 뒤에서 수군거리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股肱之臣’(고굉지신)은 여기서 나온 말로 柱石之臣(주석지신)과 같은 의미로 쓰인다.社稷之臣(사직지신),股掌之臣(고장지신)도 유사한 말이다.
김후직(金后稷)은 신라 지증왕의 曾孫(증손)으로, 진평왕을 섬겨 병부령(兵部令)을 지냈다. 그는 정사를 내팽개치고 사냥을 즐기는 왕에게 直言(직언)을 서슴지 않았다.“옛날 老子(노자)가 이르기를, 말을 달리며 사냥을 하는 것은 사람들의 마음을 發狂(발광)케 한다고 하였습니다.書經(서경)에서는 ‘안에서 여색에 빠지거나 밖에 나가 사냥에 몰두하는 것 중 한 가지만이라도 있으면 망하지 않는 자가 없다.’고 하였습니다.” 병을 얻어 세상을 하직하는 마당에도 충심은 변함이 없었고 遺骸(유해)를 왕의 사냥 길목에 묻어달라는 遺言(유언)을 남겼다. 후직의 사후에도 왕의 사냥놀음은 그칠 줄 몰랐다. 어느날 왕이 사냥을 가는 도중 어디선가 “가지 마시오!”라는 소리가 들렸다. 소리의 出處(출처)는 후직의 무덤이었다. 왕은 후직의 충성심에 感服(감복)하여 다시는 사냥터에 나가지 않았다.
김석제 경기도군포의왕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
2006-08-19 1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