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부터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시작된 ‘북녘의 문화유산-평양에서 온 국보들’ 특별전을 둘러본 안휘준(명지대 석좌교수) 문화재위원장은 지난달 4일 서울에 도착한 지 한달 만에 전모를 드러낸 북한의 국보급 유물 90여점에 대해 이렇게 평했다. 특히 고구려 5∼6세기 평양 진피리 7호무덤에서 출토된 ‘금동맞뚫음장식’ 등 상당수 유물들은 가치가 뛰어나 국보로 바로 지정해도 손색이 없다고 했다. 금동맞뚫음장식은 피장자의 머리부분에서 한 쌍으로 출토됐지만 나머지 한 점은 수습되지 않았다.
특별전은 주제별로 ‘선사문화’와 ‘고구려·발해의 웅비’‘고려·조선의 아름다움’‘고려의 불교공예품’‘고려·조선의 불상’‘고려·조선의 도자기’‘평양와당과 전통회화’‘조선의 또 다른 미학-나전칠기·화각공예’ 등으로 나눠 시대별로 살펴볼 수 있게 했다. 시대별·종류별 분류가 가능한 것은, 북측에서 유물들을 대여할 때 시기별 대표 작품들을 선별해 가져왔기 때문이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남한과 북한에 각각 하나씩 전해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고려시대 금속활자가 같은 박물관에서 만났다는 것.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상설 전시되고 있는 ‘복’자를 새긴 활자와 함께,1958년 개성 만월대 신봉문 터에서 발굴된 ‘전’자를 새긴 활자가 공개됐다.
특별전 시작 전부터 남북을 망라해 일반에 처음 공개돼 눈길을 끌었던 ‘고려 태조상’은 다른 작품들과 별도로 독립된 공간에서 관람객을 맞이하게 됐다. 예상대로 하반신에 흰 천을 둘렀으며, 어둠 속에서 얼굴이 빛날 수 있도록 조명에 신경을 썼다. 천을 두르지 않은 고려 태조상을 보고 싶다면 중앙박물관이 발간한 도록 ‘북녘의 문화유산’을 참고하면 된다. 도록은 6쪽에 걸쳐 고려 태조상에 대한 사진과 설명을 담았다.
시기별로 고풍스러운 나무패널을 만들어 그 속에 상세한 설명을 담아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유물을 대여해준 평양 조선중앙역사박물관을 비롯, 을밀대·칠성문 등 평양 중심부의 지도와 사진을 곁들인 것도 눈에 띈다. 그러나 개별 작품을 설명하는 패널에는 북한에서 지정한 국보 50점과 준국보 11점에 대한 설명이 없어 아쉬움을 남겼다. 또 김홍도·신윤복·정선·황집중 등의 대표작들이 공개돼 보는 이들의 눈을 즐겁게 했으나 일부 작품들은 색깔이 퇴색됐거나 작가의 진품인지 의심케 하는 부분도 있어 전문가들의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