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가 월드컵에 올인하는 사회분위기에 제동을 걸었다. 문화연대 등 시민단체 활동가 100여명이 어제 “한국 사회는 월드컵 열풍과 이와 결합된 상업주의에 마취돼 당면과제를 망각하고 있다.”고 주의를 환기시킨 뒤 “월드컵 폐해를 고발하는 스티커를 월드컵 조형물에 붙이는 등 반(反) 월드컵 게릴라 활동을 벌이겠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월드컵 광풍의 피해는 결국 국민들에게 돌아온다.”면서 “우리 자신을 한번 돌아보자.”고 호소했다.
2002 한·일 월드컵으로 촉발된 월드컵 열기는 이번 독일 월드컵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가나와 평가전이 열린 어젯밤 서울광장 등 서울 시내 일원에는 멀리 스코틀랜드에서 경기가 열렸는데도 2만여명이 열띤 거리응원을 펼쳤다. 물론 세계적 축제인 월드컵에 나 몰라라 할 수는 없다. 그러나 한 가지 사안에만 몰입하고 있기엔 우리의 현실은 너무 복잡하고 냉엄하다. 당장 북핵 등 남북관계가 불안하고 고유가·부동산값 폭등 등 경제상황도 여유있지 않다. 특히 이달에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협상이 시작되고 6·15 남북공동선언 6주년 등 굵직한 행사가 이어진다. 국제경쟁은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우리 사회는 ‘냄비근성’이란 말에서 보듯 한쪽으로 쏠리기 쉬운 습성을 가졌다. 월드컵의 들뜬 분위기 속에 중요 사회적 과제가 실종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더구나 여야의 정치력도 기대할 만하지 않다. 여당은 지방정치 패배의 후유증을 앓고 있고, 야당도 국민들에게 신뢰를 심어주지 못하고 있다. 결국 국민들이 사회 각 분야에서 중심을 잡고 제 역할을 다해야 한다. 반 월드컵 게릴라 활동에도 눈과 귀가 열려 있어야 한다. 월드컵은 순간이지만 우리들의 삶은 월드컵이 끝난 뒤에도 계속되기 때문이다.
2006-06-0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