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화(民畵). 서민들이 그린 실용화로,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가장 활발하게 사용됐다. 일반 가정집 벽장문이나 방문, 창문 등 일상 생활공간에서부터 혼례 등 잔치공간을 장식했던 민화의 모습은 어떻게 남아 있을까.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홍남)이 최근 펴낸 ‘민속유물이해Ⅱ-민화와 장식병풍’은 서민들의 삶 속에 오롯이 녹아 있는 다양한 민화를 실제 사용됐던 공간과 연관해 분류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소재가 다양하고 쓰임새도 많은 민화가 실제 어떻게 사용됐는지 당시 사진 자료까지 담겨 있어 민화의 존재 모습을 구체적으로 접하게 해준다.
민화는 일반 가정집의 사랑채와 안채, 마당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사랑채에서는 문방도와 산수도, 문자도, 고사도, 경직도 등을 볼 수 있다. 안채에서는 화조도, 어해도 등이 많이 이용됐다. 그러나 민화는 혼례와 상례, 제례 등 다양한 의례가 열렸던 마당에서 더욱 빛을 발한다. 마당 행사의 분위기를 돋운 민화들은 모란도, 백자도, 곽분양행락도, 요지연도, 수복문자도, 감모여재도, 사당도 등 소재가 다양하다.
이와 함께 책 마지막을 장식한 ‘사진으로 보는 20세기 생활 속의 병풍’에서는 조상의 삶과 자연스럽게 호흡한 민화의 모습을 접할 수 있다. 특히 경북 안동·봉화, 경남 진주·거제, 전남 강진·해남 등에서 수집한 옛 사진들을 통해 그림병풍의 쓰임과 민화장식 풍습을 엿볼 수 있다.
책 속의 그림으로 보는 것에 만족할 수 없다면,7월17일까지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민화와 장식병풍’특별전을 찾아보자. 병풍과 함께 일상생활과 어우러진 다양한 민화들을 직접 만날 수 있다.(02)3704-3243.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사랑채 병풍 등을 장식했던 민화 ‘문방구와 꽃(문방도)’.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민화는 일반 가정집의 사랑채와 안채, 마당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사랑채에서는 문방도와 산수도, 문자도, 고사도, 경직도 등을 볼 수 있다. 안채에서는 화조도, 어해도 등이 많이 이용됐다. 그러나 민화는 혼례와 상례, 제례 등 다양한 의례가 열렸던 마당에서 더욱 빛을 발한다. 마당 행사의 분위기를 돋운 민화들은 모란도, 백자도, 곽분양행락도, 요지연도, 수복문자도, 감모여재도, 사당도 등 소재가 다양하다.
이와 함께 책 마지막을 장식한 ‘사진으로 보는 20세기 생활 속의 병풍’에서는 조상의 삶과 자연스럽게 호흡한 민화의 모습을 접할 수 있다. 특히 경북 안동·봉화, 경남 진주·거제, 전남 강진·해남 등에서 수집한 옛 사진들을 통해 그림병풍의 쓰임과 민화장식 풍습을 엿볼 수 있다.
책 속의 그림으로 보는 것에 만족할 수 없다면,7월17일까지 국립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민화와 장식병풍’특별전을 찾아보자. 병풍과 함께 일상생활과 어우러진 다양한 민화들을 직접 만날 수 있다.(02)3704-3243.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06-06-01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