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건국 후 60년 가까이 되어서야 여성 총리가 등장한 것은 비정상이었다. 마침 4·19혁명 46돌을 맞은 날 민주화운동가 출신으로 여성운동의 대모인 한 총리가 국회 임명동의를 받았다. 이제 한 총리는 남성 리더십의 구태를 답습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새로운 여성 리더십을 정치·행정 분야에 부어넣음으로써 우리 사회를 감성이 넘치고 유연한 방향으로 이끌길 바란다. 학연과 지연, 접대문화로 일그러진 공직사회를 변화시키고 사회 분열과 갈등을 치유하는 선봉장이 되어야 한다.
총리의 공과는 역시 업무능력으로 결판난다. 인사청문회에서 한 총리는 부드러운 카리스마를 보여준 반면 정책면에서 아쉬움을 남겼다. 여야 모두와 모나지 않으려는 충정을 이해한다. 하지만 국민연금을 비롯한 경제·사회 정책에서 두루뭉술한 답변을 거듭한 것은 소신의 결여로 비쳐졌다. 책임총리제 기조를 유지하면서 내각을 장악하려면 업무에 해박하고, 소신이 뚜렷해야 한다. 서민·소수자 보호, 경제 안정, 환경·문화 중시 등 미래를 지향하는 내각 면모를 빠른 시일안에 정립할 필요가 있다. 노무현 대통령도 한 총리에게 힘을 실어줌으로써 첫 여성 총리의 성공을 도와야 할 것이다.
’5·31’ 지방선거를 앞두고 내각의 정치적 중립을 지키는 일도 한 총리에게 주어진 과제다. 한 총리는 청문회에서 “선거운동 기간 동안 당정협의나 공약발표를 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그 정도를 넘어 선거중립내각을 구성했다는 각오를 다져야 한다. 한명숙 내각이 공정하다는 인식을 확실히 줄 때 여야 화합과 국민통합을 주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