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이종범, 안타∼∼!”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한·일전이 열렸던 지난달 16일 점심시간, 서울의 한 음식점. 미처 TV수상기를 준비하지 못한 이 음식점에서도 여기저기 한국팀을 응원하는 함성과 탄식이 들려온다. 몇몇 테이블에서 위성DMB 휴대전화를 통해 한·일전을 관전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옆 테이블의 사람들도 힐끔힐끔 단말기를 쳐다보기 일쑤다. 종업원도 음식을 나르다가 종종 경기 결과를 물어본다. 점심시간이 지나서도 사무실 곳곳에서 갑작스러운 환호성이 들려왔다. 책상 한편에 위성DMB를 켜놓고 한·일전을 시청하던 직원들이 자신도 모르게 소리를 질렀기 때문이다.
국민들의 관심을 한곳으로 모으는 대형 스포츠 이벤트는 뉴미디어 성장에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 수용자들은 새로운 매체를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이는 대표적인 방·통융합매체인 위성DMB에서도 극명히 드러났다. 대한민국 대표팀의 WBC 4강 진출이 확정된 이날 대 일본전의 위성DMB 시청률은 27.5%라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앞서 열린 대 미국전도 23.4%를 달성했다.WBC 이전인 2월22일 한국축구의 아시안컵 시리아전에서는 13.1%에 이르러 당시까지 최고 시청률이었다. 지난해 K-1 최홍만 경기도 9.7%의 높은 시청률을 보였다.
이런 시청률 증가는 가입자 증가와도 연결됐다.WBC기간 위성DMB 신규 가입자는 하루 3000명 정도로 평소의 2배가량이었다.WBC경기에서는 위성DMB 외에도 인터넷을 통한 시청이 급격히 늘어나 관심을 끌었다. 야구 미국전과 일본전은 야후코리아를 통해 경기를 관람한 사람이 각각 160만명과 165만명에 달했다고 한다.
거대한 스포츠 이벤트는 뉴미디어의 가능성과 변화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우선 뉴미디어는 매체 성격에 따라 다양한 시청 형태를 유발한다는 것이다.DMB나 인터넷이 없던 시절이었으면 WBC를 보기 위해 직장인들이 TV가 있는 식당을 찾아 헤매고 다녔을 것이다. 근무시간에도 경기 소식이 궁금해 라디오 중계에 의존했을 것이다. 이동중 및 야외 시청이 가능한 DMB의 등장은 시청 가능 공간과 시간대를 대폭 확대했다. 예전에는 상상하기 어려운 곳과 시간대에서 TV방송 시청이 가능해진 것이다.
또 WBC를 통해 뉴미디어가 기존의 미디어와 경쟁관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보완관계를 형성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집 밖에 있는 시간이 많은 평일에는 위성DMB의 시청률이 높고 고정형 TV의 시청률이 낮지만, 주말에는 기존TV 시청률이 높아진 반면 위성DMB는 떨어진 것이다. 삼성경제연구소 포럼인 ‘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포럼’의 회원들 중 위성DMB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조사한 한양대 전범수 교수의 연구결과가 얼마전 공개됐다. 논문은 위성DMB의 소비공간 자체가 기존의 올드미디어의 영역과 중복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기존 매체 소비를 대체하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고 결론짓고 있다. 그동안 일부 지상파와 지역방송사들이 지역방송시장 잠식을 우려해 위성DMB의 재송신을 거부해 왔던 논리와 다른 것이다.
국민의 관심이 모이는 방송 콘텐츠는 이처럼 뉴미디어가 기존 시장에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매체에 대한 소비가 늘어나 경제적으로 자생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용형태가 뚜렷해져 타매체와 차별화되기 때문이다. 앞으로 대형 스포츠 이벤트를 비롯해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는 콘텐츠들이 모든 매체를 통해 방송될 수 있어야 개별 매체들간의 차별화와 특화가 이뤄질 것이다. 그래야 우리 미디어 산업이 전세계에서 한 발 앞으로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서영길 TU미디어 사장
서영길 티유미디어 대표이사
이런 시청률 증가는 가입자 증가와도 연결됐다.WBC기간 위성DMB 신규 가입자는 하루 3000명 정도로 평소의 2배가량이었다.WBC경기에서는 위성DMB 외에도 인터넷을 통한 시청이 급격히 늘어나 관심을 끌었다. 야구 미국전과 일본전은 야후코리아를 통해 경기를 관람한 사람이 각각 160만명과 165만명에 달했다고 한다.
거대한 스포츠 이벤트는 뉴미디어의 가능성과 변화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우선 뉴미디어는 매체 성격에 따라 다양한 시청 형태를 유발한다는 것이다.DMB나 인터넷이 없던 시절이었으면 WBC를 보기 위해 직장인들이 TV가 있는 식당을 찾아 헤매고 다녔을 것이다. 근무시간에도 경기 소식이 궁금해 라디오 중계에 의존했을 것이다. 이동중 및 야외 시청이 가능한 DMB의 등장은 시청 가능 공간과 시간대를 대폭 확대했다. 예전에는 상상하기 어려운 곳과 시간대에서 TV방송 시청이 가능해진 것이다.
또 WBC를 통해 뉴미디어가 기존의 미디어와 경쟁관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보완관계를 형성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집 밖에 있는 시간이 많은 평일에는 위성DMB의 시청률이 높고 고정형 TV의 시청률이 낮지만, 주말에는 기존TV 시청률이 높아진 반면 위성DMB는 떨어진 것이다. 삼성경제연구소 포럼인 ‘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포럼’의 회원들 중 위성DMB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조사한 한양대 전범수 교수의 연구결과가 얼마전 공개됐다. 논문은 위성DMB의 소비공간 자체가 기존의 올드미디어의 영역과 중복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기존 매체 소비를 대체하는 현상은 나타나지 않는다고 결론짓고 있다. 그동안 일부 지상파와 지역방송사들이 지역방송시장 잠식을 우려해 위성DMB의 재송신을 거부해 왔던 논리와 다른 것이다.
국민의 관심이 모이는 방송 콘텐츠는 이처럼 뉴미디어가 기존 시장에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매체에 대한 소비가 늘어나 경제적으로 자생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이용형태가 뚜렷해져 타매체와 차별화되기 때문이다. 앞으로 대형 스포츠 이벤트를 비롯해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는 콘텐츠들이 모든 매체를 통해 방송될 수 있어야 개별 매체들간의 차별화와 특화가 이뤄질 것이다. 그래야 우리 미디어 산업이 전세계에서 한 발 앞으로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서영길 TU미디어 사장
2006-04-03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