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페미니스트 작가 그룹 ‘게릴라 걸스’에 의하면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 현대미술실에 전시된 작가 중 여성은 5%도 안 되지만, 걸려 있는 누드 작품의 85%는 여자라고 한다. 이렇듯 오늘날 위대한 작가로 평가받는 남성 화가들의 단골 소재는 단연 여성, 그 중에서도 벌거벗은 여성이다. 그러나 정작 여성을 다룬 여성 화가들의 작품은 제대로 볼 수가 없으니, 우리는 남성의 그림에 의존해 여성을 읽고 이해하고 있는 셈이다.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진정 없는 것일까.
‘여성과 미술’(박상미 옮김, 아트북스 펴냄)은 이같은 미술계의 남성패권주의에 단호히 반기를 든다. 저자는 여성미술교육 분야의 개척자로 평가받는 미국의 페미니스트 미술가 주디 시카고와 ‘남자를 보는 시선의 역사’ 등의 저서로 국내에도 잘 알려진 자메이카 태생 미술사가 에드워드 루시스미스. 이들의 지적이 아니더라도 위대한 여성 미술가들은 많다. 아무도 그들을 위대하다고 말하지 않았을 뿐이다. 불후의 고전으로 읽히는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에도 여성 미술가의 이름은 찾아보기 힘들다. 대부분의 미술사 책들은 남성의, 남성에 의한, 남성을 위한 미술을 다뤄왔다.
이 책은 이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주변부로 밀려난 위대한 여성 미술가들의 성취를 재조명함으로써 미술사의 온전한 복원을 꾀한다. 구석기 시대의 빌렌도르프 비너스부터 신디 셔먼의 분장 사진에 이르기까지 3000년 서양미술 속에 감춰진 여성의 실체를 밝힌다. 먼저 남성 미술가들이 여성을 어떻게 왜곡해왔는가를 짚어보고 그들이 갖는 위상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를 따진다. 롤리타를 연상시키는 조숙한 소녀, 지나치게 이상화한 미의 상징, 무시무시한 노파…. 이처럼 남성의 시선에 잡힌 여성상만 난무할 뿐, 여성화가의 눈으로 그린 참다운 여성의 삶은 어디서도 찾아 볼 수 없다는 게 저자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미술작품 속 여성을 분석하기 위해 여신, 여성 영웅, 누드 등 다양한 코드를 동원한다.
여성운동이 거둔 가장 큰 결실 가운데 하나는 여성의 신성과 여신숭배 문화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이끌어냈다는 것이다. 여신은 저자인 주디 시카고의 말대로 “여성의 힘과 강인함을 증명하는,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역사 그 자체”다. 이 책에서는 고대 미노스의 뱀 여신과 빌렌도르프 비너스, 그리고 퍼포먼스 예술가 캐롤리 쉬니만 같은 현대 여성 미술가들의 작품을 통해 여신이 갖는 다양한 의미와 상징을 살펴본다.
미술 작품 속 여성 영웅의 이미지는 어떻게 그려지고 있을까. 서양미술에서 여성은 은유적이거나 추상적인 개념으로 처리될 뿐, 강한 개성을 지닌 영웅으로 등장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성녀 테레사, 잔 다르크, 유디트 등 뛰어난 여성 영웅들도 남성 화가들의 작품에선 진정한 인간성을 상실한 채 단순한 사물로 전락하고 만다. 성녀의 이미지로 우리에게 익숙한 것 중 하나가 바로 ‘황홀경’에 빠져 있는 모습이다. 책에는 로마의 산타 마리아 델라 비토리아 성당에 있는 지안 로렌초 베르니니의 작품 ‘성녀 테레사의 황홀경’ 이야기가 나온다. 천사가 성녀의 심장에 성령의 사랑의 화살을 꽂는 장면을 묘사한 이 조각상은 사뭇 충격적이다. 조각 자체가 강한 성적 뉘앙스를 풍길 뿐 아니라 작품 속 성녀는 마치 오르가슴에 빠진 듯한 모습의 성적 존재로 묘사된다. 교회 개혁자로서의 성 테레사의 면모나 금욕적인 삶의 자취는 찾아볼 수 없다.
서양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여성용사 잔 다르크 또한 그리 이상화된 모습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앵그르의 작품 ‘잔 다르크’(1854)를 보면 주인공은 어쩐지 수동적인 모습이다. 어떤 행동을 보여주기 보다는 상징적인 역할을 드러내는 데 그친다.
책은 거울 속 여성 이미지에 대해서도 비중있게 다룬다. 거울은 흔히 여성의 자기애(自己愛)를 상징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남성 화가들은 왜 그토록 ‘거울 보는 여자’ 이미지에 집착할까. 여자는 누구를 위해 거울을 보고 있는 것일까. 거울이 등장하는 루벤스의 ‘화장하는 비너스’와 쇠라의 ‘화장하는 젊은 여인’ 같은 작품은 여성이 수동적인 소유의 대상임을 암시한다. 그러나 남성미술가들의 작품과 달리 여성작가들의 작품에서 거울은 능동적인 의미를 띤다. 연극적인 포즈의 자화상을 담은 신디 셔먼의 ‘무제’(1997)가 그 생생한 예다. 책은 유색인종과 레즈비언 미술가들의 자기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다루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이 마지막 장에서는 재미 한인 작가 민용순의 사진 작업 ‘나를 만들어봐’도 소개돼 눈길을 끈다. 잃어버린 미술사의 반쪽을 균형잡힌 시각으로 복원해놓았다는 점에서 이 책은 적극적으로 평가할 만하다.3만원.
김종면기자 jmkim@seoul.co.kr
앵그르 ‘잔 다르크’(1854), 루브르 미술관 소장
이 책은 이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주변부로 밀려난 위대한 여성 미술가들의 성취를 재조명함으로써 미술사의 온전한 복원을 꾀한다. 구석기 시대의 빌렌도르프 비너스부터 신디 셔먼의 분장 사진에 이르기까지 3000년 서양미술 속에 감춰진 여성의 실체를 밝힌다. 먼저 남성 미술가들이 여성을 어떻게 왜곡해왔는가를 짚어보고 그들이 갖는 위상이 과연 정당한 것인가를 따진다. 롤리타를 연상시키는 조숙한 소녀, 지나치게 이상화한 미의 상징, 무시무시한 노파…. 이처럼 남성의 시선에 잡힌 여성상만 난무할 뿐, 여성화가의 눈으로 그린 참다운 여성의 삶은 어디서도 찾아 볼 수 없다는 게 저자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미술작품 속 여성을 분석하기 위해 여신, 여성 영웅, 누드 등 다양한 코드를 동원한다.
여성운동이 거둔 가장 큰 결실 가운데 하나는 여성의 신성과 여신숭배 문화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이끌어냈다는 것이다. 여신은 저자인 주디 시카고의 말대로 “여성의 힘과 강인함을 증명하는,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역사 그 자체”다. 이 책에서는 고대 미노스의 뱀 여신과 빌렌도르프 비너스, 그리고 퍼포먼스 예술가 캐롤리 쉬니만 같은 현대 여성 미술가들의 작품을 통해 여신이 갖는 다양한 의미와 상징을 살펴본다.
미술 작품 속 여성 영웅의 이미지는 어떻게 그려지고 있을까. 서양미술에서 여성은 은유적이거나 추상적인 개념으로 처리될 뿐, 강한 개성을 지닌 영웅으로 등장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성녀 테레사, 잔 다르크, 유디트 등 뛰어난 여성 영웅들도 남성 화가들의 작품에선 진정한 인간성을 상실한 채 단순한 사물로 전락하고 만다. 성녀의 이미지로 우리에게 익숙한 것 중 하나가 바로 ‘황홀경’에 빠져 있는 모습이다. 책에는 로마의 산타 마리아 델라 비토리아 성당에 있는 지안 로렌초 베르니니의 작품 ‘성녀 테레사의 황홀경’ 이야기가 나온다. 천사가 성녀의 심장에 성령의 사랑의 화살을 꽂는 장면을 묘사한 이 조각상은 사뭇 충격적이다. 조각 자체가 강한 성적 뉘앙스를 풍길 뿐 아니라 작품 속 성녀는 마치 오르가슴에 빠진 듯한 모습의 성적 존재로 묘사된다. 교회 개혁자로서의 성 테레사의 면모나 금욕적인 삶의 자취는 찾아볼 수 없다.
서양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여성용사 잔 다르크 또한 그리 이상화된 모습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앵그르의 작품 ‘잔 다르크’(1854)를 보면 주인공은 어쩐지 수동적인 모습이다. 어떤 행동을 보여주기 보다는 상징적인 역할을 드러내는 데 그친다.
책은 거울 속 여성 이미지에 대해서도 비중있게 다룬다. 거울은 흔히 여성의 자기애(自己愛)를 상징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남성 화가들은 왜 그토록 ‘거울 보는 여자’ 이미지에 집착할까. 여자는 누구를 위해 거울을 보고 있는 것일까. 거울이 등장하는 루벤스의 ‘화장하는 비너스’와 쇠라의 ‘화장하는 젊은 여인’ 같은 작품은 여성이 수동적인 소유의 대상임을 암시한다. 그러나 남성미술가들의 작품과 달리 여성작가들의 작품에서 거울은 능동적인 의미를 띤다. 연극적인 포즈의 자화상을 담은 신디 셔먼의 ‘무제’(1997)가 그 생생한 예다. 책은 유색인종과 레즈비언 미술가들의 자기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다루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이 마지막 장에서는 재미 한인 작가 민용순의 사진 작업 ‘나를 만들어봐’도 소개돼 눈길을 끈다. 잃어버린 미술사의 반쪽을 균형잡힌 시각으로 복원해놓았다는 점에서 이 책은 적극적으로 평가할 만하다.3만원.
김종면기자 jmkim@seoul.co.kr
2006-03-04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