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연숙칼럼] 대학등록금 지금도 많다

[신연숙칼럼] 대학등록금 지금도 많다

입력 2006-02-23 00:00
업데이트 2006-02-2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학기 등록금 대폭 인상에 대학생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송자 연세대 전 총장이 한 술 더 뜨는 발언을 했다.“사립대 등록금이 연 1000만원은 훨씬 넘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이미지 확대
신연숙 논설실장
신연숙 논설실장
작년 7월 어윤대 고려대 총장이 ‘최소한 1500만원’을 주장한 것을 떠올릴 때 ‘그나마 덜 나갔구나.’ 싶기도 하지만 연 1000만원은 물론 현재의 등록금도 우리 수준에선 많다고 생각한다. 중산층이 급격히 무너지는 경제 상황에서 한 학기 350만∼450만원은 액수 자체도 허리가 휘는 부담이다. 여기에 대학이 학생들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가를 생각하면 등록금의 ‘제값’에도 회의가 안 생길 수 없다. 유명 대학들이 비유하기 좋아하는 미국 하버드대나 일본 사립대들의 학생교육 열기를 들어보면 더욱 그러하다.

작년에 하버드대 3학년생이 교환학생으로 한국에 와 썼던 ‘하버드 vs 서울대’란 책은 미국 대학이 얼마나 혹독하게 학생들을 조련하는지와 우리 대학이 얼마나 학생들을 한가하게 놀리고 있는지를 뚜렷하게 비교해 준다. 저자는 보통 새벽 3시까지 깨어있어야 할 만큼 많았던 하버드대의 독서의무량과 강도 높은 숙제, 시험제도를 소개하며 “오늘날 하버드가 가장 좋은 학교가 된 원인 중 하나는 교수들이 학생을 최대한 열심히 공부하도록 만들었기 때문인 것 같다.”고 썼다.

하버드대의 교육방식은 비용이 많이 드는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많다. 우리 대학들도 의지만 있다면 제도만으로도 얼마든지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뜻이다. 예를 들면 수업내용을 철저히 이해시키기 위해 조교들이 보충수업 격으로 실시하는 ‘섹션수업’의 경우 더 많은 조교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학생이 교수나 조교를 직접 방문해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정해진 시간에 연구실을 개방하는 ‘오피스 아워’제도의 경우 그리 부담이 되는 제도는 아니다. 교수들의 연구시간 단축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겠지만 우리나라의 연간 4개월 동안의 ‘유급 방학’기간을 생각한다면 학기 중 학생교육에 좀더 시간투자를 할 여력은 있다고 본다. 더욱이 학생들이 반드시 읽고 강의에 임할 수 있도록 관련 논문과 기사 등을 모은 ‘소스북’의 제작 제공, 정기적인 숙제와 고난도 시험 실시, 베끼기 관행의 제재 등은 돈 한푼 안 들이고 도입할 수 있는 제도가 아닌가.

어쨌든 하버드대는 거액의 등록금을 받지만 일본 사립대들의 경우 우리 사립대 수준의 등록금만으로도 훌륭한 교육을 한다. 일본 유명사립대 사학과에 딸을 유학시키고 있는 한 친구는 “인문학이 전공인데도 불구하고 졸업생들은 거의 취업을 한다고 들었다.”며 그 이유를 철저한 학문적 수련으로 들었다. 특히 3학년부터는 연구계획서를 심사받아 교수와 3학년,4학년 학생이 그룹을 이룬 세미나 과목을 수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방대한 독서와 분석, 연구 경험으로 사회의 어떤 분야에서도 통할 수 있는 기본실력을 갖추게 되는 것 같다고 했다.

그제 신문엔 우리 대학들은 주말엔 즐기자는 경향이 강해 1주 시간표가 ‘월화수목휴휴휴(休休休)’란 기사가 났다. 아이 둘을 대학에 보내고 있는 학부모 입장에서, 이런 상황에 등록금 올리자는 얘기가 나오니 씁쓸하기 짝이 없다. 우리 대학은 소수점 이하를 따져가며 신입생을 뽑는 철저함 못지않게 학생 교육을 꼼꼼히 할 제도와 의지를 갖고 있는지 자성해 봐야 한다. 등록금 인상 주장은 그 다음에 해줬으면 좋겠다.

논설실장 yshin@seoul.co.kr
2006-02-23 27면
많이 본 뉴스
고령 운전자 사고를 줄이려면
‘서울 시청역 역주행 사고’ 이후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음 중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대책은 무엇일까요?
고령자 실기 적성검사 도입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 강화
고령자 안전교육 강화
운행시간 등 조건부 면허 도입
고령자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