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부 格物致知
제1장 疾風怒濤(17)
평소에 안향은 최치원을 사숙하고 있었으므로 최치원이 행방을 감췄다는 가야산이 있는 해인사를 찾아 풍류를 즐기곤 하였다.
율곡의 장인 노경린이 성주에 서원을 세운 것은 이처럼 ‘제2의 주자’였던 안향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안향은 성 동문 안에 있는 ‘청운루(靑雲樓)’에서 다음과 같은 시를 남긴다.
“초여름에 절월(節鉞)을 나눠받아 바닷가에 와서 삼복 동안을 치원대(致遠臺)에서 시를 읊으며 지낸다.
역마를 탄 사자가 비상명령을 전하니 과거로 어진 인재를 뽑으라고 불같이 재촉한다.
성산(星山)의 급한 장마물에 뗏목을 타고 건너고
월굴(月窟)의 맑은 바람은 계수나무 기르는 것을 재촉한다.
미리 상상하노니 글을 아뢰고 경사를 여는 자리에 봉(鳳)의 피리와 단판(檀板)이 천무더기이리.”
절월(節鉞)은 옛날 중국에서 임금이 부임하는 절도사나 장도에 이르는 장군에게 주는 부절과 부월(斧鉞:도끼 같이 만든 것으로 생사권을 상징하는 신표)을 가리키는 것으로 아마도 안향은 임금으로부터 윤허를 받고 그 해 여름 한철을 최치원의 유적지였던 해운대나 월영대(月影臺), 그리고 가야산에서 보낸 듯싶다.
이때 임금의 밀지를 가진 사자가 번개같이 달려와 ‘과거시험을 통해 어진 인재를 뽑으라는 독촉’을 전달한다. 이에 안향은 ‘월굴의 맑은 바람이 계수나무 기르듯’ 과거시험을 통해 인재기를 것을 결심하며 자신의 심정을 이와 같은 시로 나타낸 것이었다. 실제로 안향은 ‘섬학전’이란 육영재단을 설립해 천하의 인재를 기르는 데 평생을 바친다.
월굴(月掘)은 달 속에 있다는 바위 굴. 그러므로 달 속의 ‘계수나무’를 기르겠다는 뜻은 ‘과거시험에 급제하는 인재’를 키우겠다는 뜻과 같은 의미인 것이다.
왜냐하면 시 속에 나오는 ‘월굴에 맑은 바람은 계수나무를 기른다.’는 문장은 ‘계굴(桂窟)’을 이르는 말로 과거시험에 합격하면 달 속의 전설적인 월계수를 꺾었다 해서 과거에 급제한 사람을 ‘계굴’이라고 불렀기 때문이었다.
계굴(桂窟).
달 속의 월계수를 꺾은 장원급제자.
이미 율곡도 2년 전인 21살 때 한성시에 장원급제함으로써 ‘계굴’이 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안향이 노래하였던 대로 단판에 이름을 올리고 봉(鳳)의 피리소리를 들었던 것이다.
입신출세.
애당초 율곡은 과거 시험을 통해 양명(揚名)을 꿈꾸지 않았다.
율곡의 이러한 심정은 평생 지우였던 성혼(成渾)에게 보낸 다음과 같은 편지에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우리 집안은 대대로 생업이 없으므로 궁하여 가계를 지탱하지 못해 노친께서 집에 계셔도 능히 맛있는 음식을 항상 드리지 못하니 사람의 자식이 되어 마음이 움직이지 않을 수 있겠는가. 품팔이나 장사라도 할 수 있다면 이를 부끄러워하거나 천히 여기지 않겠는데, 단지 나라의 정해진 습속에는 선비와 서민의 생업이 다르니 진실로 이러한 생각을 억제할 뿐 행할 수는 없네….”
제1장 疾風怒濤(17)
평소에 안향은 최치원을 사숙하고 있었으므로 최치원이 행방을 감췄다는 가야산이 있는 해인사를 찾아 풍류를 즐기곤 하였다.
“초여름에 절월(節鉞)을 나눠받아 바닷가에 와서 삼복 동안을 치원대(致遠臺)에서 시를 읊으며 지낸다.
역마를 탄 사자가 비상명령을 전하니 과거로 어진 인재를 뽑으라고 불같이 재촉한다.
성산(星山)의 급한 장마물에 뗏목을 타고 건너고
월굴(月窟)의 맑은 바람은 계수나무 기르는 것을 재촉한다.
미리 상상하노니 글을 아뢰고 경사를 여는 자리에 봉(鳳)의 피리와 단판(檀板)이 천무더기이리.”
절월(節鉞)은 옛날 중국에서 임금이 부임하는 절도사나 장도에 이르는 장군에게 주는 부절과 부월(斧鉞:도끼 같이 만든 것으로 생사권을 상징하는 신표)을 가리키는 것으로 아마도 안향은 임금으로부터 윤허를 받고 그 해 여름 한철을 최치원의 유적지였던 해운대나 월영대(月影臺), 그리고 가야산에서 보낸 듯싶다.
이때 임금의 밀지를 가진 사자가 번개같이 달려와 ‘과거시험을 통해 어진 인재를 뽑으라는 독촉’을 전달한다. 이에 안향은 ‘월굴의 맑은 바람이 계수나무 기르듯’ 과거시험을 통해 인재기를 것을 결심하며 자신의 심정을 이와 같은 시로 나타낸 것이었다. 실제로 안향은 ‘섬학전’이란 육영재단을 설립해 천하의 인재를 기르는 데 평생을 바친다.
월굴(月掘)은 달 속에 있다는 바위 굴. 그러므로 달 속의 ‘계수나무’를 기르겠다는 뜻은 ‘과거시험에 급제하는 인재’를 키우겠다는 뜻과 같은 의미인 것이다.
왜냐하면 시 속에 나오는 ‘월굴에 맑은 바람은 계수나무를 기른다.’는 문장은 ‘계굴(桂窟)’을 이르는 말로 과거시험에 합격하면 달 속의 전설적인 월계수를 꺾었다 해서 과거에 급제한 사람을 ‘계굴’이라고 불렀기 때문이었다.
계굴(桂窟).
달 속의 월계수를 꺾은 장원급제자.
이미 율곡도 2년 전인 21살 때 한성시에 장원급제함으로써 ‘계굴’이 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안향이 노래하였던 대로 단판에 이름을 올리고 봉(鳳)의 피리소리를 들었던 것이다.
입신출세.
애당초 율곡은 과거 시험을 통해 양명(揚名)을 꿈꾸지 않았다.
율곡의 이러한 심정은 평생 지우였던 성혼(成渾)에게 보낸 다음과 같은 편지에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우리 집안은 대대로 생업이 없으므로 궁하여 가계를 지탱하지 못해 노친께서 집에 계셔도 능히 맛있는 음식을 항상 드리지 못하니 사람의 자식이 되어 마음이 움직이지 않을 수 있겠는가. 품팔이나 장사라도 할 수 있다면 이를 부끄러워하거나 천히 여기지 않겠는데, 단지 나라의 정해진 습속에는 선비와 서민의 생업이 다르니 진실로 이러한 생각을 억제할 뿐 행할 수는 없네….”
2005-12-13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