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국새’ 미스터리

첫 ‘국새’ 미스터리

조덕현 기자
입력 2005-10-29 00:00
업데이트 2005-10-2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수립 후 최초로 사용된 나라 도장인 국새의 행방이 오리무중이다. 정부가 분실됐다고 밝힌 국새의 사진과 기록·증언 등을 통해 확인된 것과는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정부가 분실됐다고 주장하는 국새가 첫 국새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작업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미지 확대
정부가 분실했다고 밝힌 최초 국새에 대한 진위 여부가 논란이 되고 있다. 국가기록원의 사진 자료에는 삽살개(아래) 모양인 반면 옥새전각장인으로 알려진 정기호 선생의 ‘고옥새간회정도’에는 다른 모양(위)으로 나와 있다.
정부가 분실했다고 밝힌 최초 국새에 대한 진위 여부가 논란이 되고 있다. 국가기록원의 사진 자료에는 삽살개(아래) 모양인 반면 옥새전각장인으로 알려진 정기호 선생의 ‘고옥새간회정도’에는 다른 모양(위)으로 나와 있다.
박찬우 국가기록원장은 28일 “국가기록원에 보관 중인 첫 국새의 사진과 국새를 만들었다고 밝힌 당사자의 그림을 확인한 결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첫 국새의 모습은 1958년 문화공보부가 찍은 11장의 사진이 전부”라며 “사진의 인뉴(손잡이)부분은 삽살개 같기도 하고 ‘상상의 동물’처럼 보이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또 “보관 중인 관인대장으로 최초 국새의 글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1954년(단기 4287년) 11월1일 관인대장에 국새를 재등록한 기록이 남아 있다. 국새의 글자체(印文)는 ‘大韓民國之璽’(대한민국지새)라는 전서체로 돼 있다. 이 국새는 1948년(단기 4281년) 8월 서울 충무로 2가 천상당에서 만들었으며, 크기는 2치(寸)의 정방형이라고 기록돼 있다. 천상당은 이후 탑골공원 근처로 이전했다가 1962년 이 지역 재개발 때 문을 닫았다.

박 원장은 “국새에 관한 기록은 1954년 11월1일 재등록됐으며, 최초 국새를 등록한 관인대장은 6·25때 없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문제는 문공부가 찍었다는 사진의 진위여부다. 당시 대표적 옥새전각장인으로 알려진 정기호 선생은 ‘고옥새간회정도’(古玉璽看繪鄭圖)라는 기록집에서 “최초의 국새는 1948년에 제작했다.”고 적었다. 그러나 그의 책에 나온 국새 그림은 국가기록원의 사진과 달리 용의 모습을 하고 있다.

국가기록원의 사진에 나온 국새가 진짜가 아닐 가능성을 높여주는 증언도 나왔다. 기록원은 1952∼1956년에 국새를 담당했던 노모(84·서울 북가좌동)씨를 통해 “당시 사용하던 국새는 용의 모양이었다.”는 주장을 얻어 냈다. 기록원은 이에 따라 추가 증언자를 찾고 있으며 사진의 국새가 진짜가 아닐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
2005-10-29 3면
많이 본 뉴스
고령 운전자 사고를 줄이려면
‘서울 시청역 역주행 사고’ 이후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음 중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대책은 무엇일까요?
고령자 실기 적성검사 도입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 강화
고령자 안전교육 강화
운행시간 등 조건부 면허 도입
고령자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