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흔한 현대미술 작품처럼 그 무게에 짓눌려 감상에 부담을 갖게 되는 그런 작품들이 아니다. 무엇보다 ‘재미‘(Fun)라는 요소를 주요한 덕목으로 내세워 흥미를 유발하는 것들이다. 물론 예술성도 충분히 담고 있다.
#예술 바
한 중년 남성이 들어간 Kunst Bar(예술 바)의 메뉴판에는 달리, 피카소, 반 고흐 등 미술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거장들이 적혀 있다. 잭슨 폴록의 술을 선택하면 그는 잭슨 폴록이 되고, 샤갈의 술을 마시면 샤갈 작품에 등장하는 염소로 변해 한 여인과 찐한 키스를 한다. 카페에는 반 고흐의 술을 마시고 한쪽 귀가 떨어지는 사람이 있고,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은 바에 누워서 술을 마시며 웃고 있다.(스티브 화이트하우스)
#콜라 폭포
박연폭포에 엉뚱하게 콜라가 흘러내린다. 컵 속 빨대를 쭉 빨아들이기를 몇번. 어느샌가 폭포는 정상으로(?) 돌아와 하얀 물보라를 일으킨다.(이정렬)
#공구들
망치, 도끼, 칼, 낫 등 폭력과 날카로움이 연상되는 도구들. 거칠고 위협적인 도구가 색동저고리 천으로 몸 치장을 하면서 이들이 놓여진 공간은 유희와 휴식공간으로 탈바꿈했다.(김경희)
예술의전당의 한가람 미술관과 고양 어울림미술관에서 동시에 열리는 ‘미술과 놀이전’에서 관람객들은 단순한 관람자에 머물지 않는다. 스크린을 직접 조작하고 오브제 작품을 걸쳐도 볼 수 있다. 관람객이 있어야 온전한 작품으로 완성될 수 있는 작품들이다. 전시회의 부제가 ‘펀스터스’(Funsters, 놀이를 즐기는 사람들)로 붙여진 이유가 여기 있다.
특히 애니메이션, 영상등 다양한 미디어의 현대 미술이 대중과 ‘소통’하는 장면은 인상적이다. 점점 개인화되는 현대사회의 병폐를 현대미술에서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앨 ao킨즈의 ‘버스키’(Buski, 길거리 연주형태)는 ‘나’의 존재를 확인시켜 주는 작품.4명의 길거리 음악사들에 터치 스크린하면 음악이 흘러나온다. 독주는 물론, 합주도 가능하다. 손뼉치며 춤추는 남자를 등장시킬 수도 있다. 음악의 흐름에 ‘나’는 즐겁다.
노무현 대통령, 정동영 통일부장관,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등을 내세워 풍자한 안광준의 ‘변이’, 눈 모양의 스테인리스 거미 조각이 매달리거나 바닥에 놓인 이범순의 ‘나는 구름을 만들고 있다’, 과자 봉지로 의자 등을 형상화한 장숭인의 ‘붉은 기둥 푸른 기둥’등 국내외 작가 23명의 작품은 재치가 번뜩인다.
감윤조 큐레이터는 “전통적 미술관에서 체험할 수 없는 ‘유희성’이 이번 전시회의 핵심”이라면서 “이제 예술은 작가나 미술사가만의 몫이 아니라 관객이 발견하고 재창조해야 할 대상임을 보여주고자 했다.”고 밝혔다.
23일부터 8월 21일까지.(02)585-1515,(031)960-9730.
최광숙기자 bor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