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 룰(규칙)의 유래는 1744년 스코틀랜드의 지방도시 리스에서 시작됐다고 한다. 이 지역의 ‘리스젠틀맨골프회’가 처음으로 ‘골프규칙 전문 13조항’을 성문화한 것으로 알려졌다.10년 뒤인 1754년 현 영국왕실골프협회(R&A)의 전신인 세인트 앤드루스 클럽이 이 13조항을 부분 수정하여 골프 룰을 제정했고, 이것이 오늘날의 룰로 발전됐다.
지금의 골프 룰은 영국왕실골프협회와 미국골프협회(USGA)가 공동으로 제정하고, 각국의 의견을 모아 4년마다 개정해 세계 공통으로 적용하고 있다. 총 3장과 부속규칙으로 돼 있는데 에티켓에 관한 규정이 맨먼저 나온다.2장은 골프용어 정의,3장은 플레이 규칙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것은 2004년 개정판에서 1장의 에티켓 규정, 즉 게임의 기본정신과 안전, 다른 플레이어에 대한 배려, 코스의 보호 등을 크게 강화했다는 점이다. 중대한 위반에 대한 실격조치도 규칙으로 명문화했다. 골프의 대원칙이 다른 플레이어에 대한 배려와 에티켓의 준수에 있음을 새삼 강조한 것이다.
실제로 골프 룰은 규제의 목적보다는 플레이를 공정하게 해 골퍼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예컨대, 샷을 한 후 떨어져 나간 잔디(Divot)는 반드시 원 상태로 메우고 스파이크로 다지는 것이 코스 보호의 에티켓이다. 그러나 실제 이는 코스보호의 목적보다는 다음 플레이어에 대한 배려와 게임의 공정성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매너라는 점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만약 다음 플레이어의 공이 그 디보트 자리에 놓이게 되면 그 플레이어는 이전 플레이어보다 더 불리한 상황에서 경기를 하는 셈이 되고, 이로 인해 경기의 공정성이 훼손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정성과 형평성에 바탕을 두어 만들어진 규칙을 제대로 숙지하고 준수하는 가운데 플레이어들이 최대의 즐거움을 얻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골프 룰의 궁극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골프 룰의 본질이 먼저 자신 스스로에 대한 엄격하고 투명한 도덕률 적용과 상대방에 대한 배려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현대 기업경영의 최대 화두로 강조되는 윤리경영의 그것과도 흡사하다. 윤리경영의 본질은 투명하고 공정한 의사결정과 업무처리를 통해 기업 내외부의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얻어지는 신뢰가 토대를 이루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뢰를 바탕으로 시장의 질서를 준수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가운데 모든 이해 관계자들의 만족과 행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도 골프 룰의 목적과 맥락을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현대의 경영환경은 시장에서 신뢰를 얻지 못한 기업들의 지속적인 생존을 보장해 주지 않는다. 이는 마치 골프 룰에서의 실격조치와 같은 것이다. 우리는 IMF(국제통화기금)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신뢰와 투명성을 외면한 성장 지향의 기업경영이 얼마나 위험한 경영방식이었던가를 충분히 배웠다. 이러한 경영상의 위기를 근본적으로 대처하고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도 절감했다. 그 해법으로서 윤리경영의 도입과 실천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골프를 할 때나, 또 기업 경영에 있어서나 우리들의 의식과 행동이 선진화된 기준, 즉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지 못한다면 공정한 플레이도 기업의 생존도 보장되지 못할 것이다. 룰과 에티켓을 제대로 준수함으로써 즐거운 라운딩이 보장되듯이 신뢰받는 기업만이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서 생존하는 길임을 알아야 한다. 아울러 이것이 우리 사회와 우리 기업의 더 나은 미래로의 도약을 구분하는 한계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기옥 금호폴리켐 사장
기옥 금호폴리켐 사장
기옥 금호폴리켐 사장
실제로 골프 룰은 규제의 목적보다는 플레이를 공정하게 해 골퍼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예컨대, 샷을 한 후 떨어져 나간 잔디(Divot)는 반드시 원 상태로 메우고 스파이크로 다지는 것이 코스 보호의 에티켓이다. 그러나 실제 이는 코스보호의 목적보다는 다음 플레이어에 대한 배려와 게임의 공정성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매너라는 점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만약 다음 플레이어의 공이 그 디보트 자리에 놓이게 되면 그 플레이어는 이전 플레이어보다 더 불리한 상황에서 경기를 하는 셈이 되고, 이로 인해 경기의 공정성이 훼손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정성과 형평성에 바탕을 두어 만들어진 규칙을 제대로 숙지하고 준수하는 가운데 플레이어들이 최대의 즐거움을 얻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골프 룰의 궁극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골프 룰의 본질이 먼저 자신 스스로에 대한 엄격하고 투명한 도덕률 적용과 상대방에 대한 배려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현대 기업경영의 최대 화두로 강조되는 윤리경영의 그것과도 흡사하다. 윤리경영의 본질은 투명하고 공정한 의사결정과 업무처리를 통해 기업 내외부의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얻어지는 신뢰가 토대를 이루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뢰를 바탕으로 시장의 질서를 준수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가운데 모든 이해 관계자들의 만족과 행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도 골프 룰의 목적과 맥락을 같이한다고 할 수 있다.
현대의 경영환경은 시장에서 신뢰를 얻지 못한 기업들의 지속적인 생존을 보장해 주지 않는다. 이는 마치 골프 룰에서의 실격조치와 같은 것이다. 우리는 IMF(국제통화기금)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신뢰와 투명성을 외면한 성장 지향의 기업경영이 얼마나 위험한 경영방식이었던가를 충분히 배웠다. 이러한 경영상의 위기를 근본적으로 대처하고 극복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도 절감했다. 그 해법으로서 윤리경영의 도입과 실천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골프를 할 때나, 또 기업 경영에 있어서나 우리들의 의식과 행동이 선진화된 기준, 즉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하지 못한다면 공정한 플레이도 기업의 생존도 보장되지 못할 것이다. 룰과 에티켓을 제대로 준수함으로써 즐거운 라운딩이 보장되듯이 신뢰받는 기업만이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서 생존하는 길임을 알아야 한다. 아울러 이것이 우리 사회와 우리 기업의 더 나은 미래로의 도약을 구분하는 한계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기옥 금호폴리켐 사장
2005-05-1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