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독 16인이 본 우리영화의 힘

한국감독 16인이 본 우리영화의 힘

입력 2005-02-16 00:00
수정 2005-02-1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영화 관객 1000만 시대, 그 중심에 있는 감독들은 그런 성공의 비결이 무엇이라고 생각할까. 영화채널 캐치온에서 18일 방영하는 다큐멘터리 ‘한국영화의 중심:감독’(오후 9시)은 한국을 대표하는 영화감독 16명을 내세워 그 궁금증을 직접 풀어준다.

한국영화 감독 16명이 한국영화의 성장 비결…
한국영화 감독 16명이 한국영화의 성장 비결… 한국영화 감독 16명이 한국영화의 성장 비결을 말한다. 사진은 ‘태극기 휘날리며’의 강제규 감독.


내레이션 없이 인터뷰만으로 구성된 다큐멘터리는 일선 영화감독들의 육성을 통해 한국영화의 성장 비결, 감독의 역할ㆍ영역과 한국 영화감독의 특징 등을 두루 살펴볼 예정이다.

대다수 감독들은 한국영화의 성장 원인을 ‘감독에게 주어진 권한’이라고 대답했다.‘역도산’의 송해성 감독은 “감독의 창의성을 존중해주고 시나리오부터 편집까지 모든 권한을 감독에게 주는 것이 한국영화의 힘”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특성이 상업적인 영화제작 시스템 하에서도 감독이 직접 시나리오를 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한국영화의 성공을 견인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장화홍련’의 김지운 감독은 “다른 사람이 쓴 시나리오는 연출 욕구와 열망을 느끼지 못한다.”며 감독이 직접 시나리오를 쓰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감독들은 영화스타일의 변화에 대해서도 주목했다.‘무사’의 김성수 감독은 “영화는 영화가 바뀌는 게 아니라 표현하는 방식이 바뀌어가는 것”이라고 설명했고, 김지운 감독은 “꽃무늬 벽지나 발자국 소리, 심지어 빛의 각도로 영화 속 주제가 전달될 수도 있기에 모든 장면에 심혈을 기울인다.”고 말했다. 이들은 작품성과 상업성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는 것도 한국영화의 특성으로 꼽았다. 임순례 감독은 “만드는 방식은 상업영화지만 영화 속에 담긴 내용은 작가주의”라면서 “한국영화는 상업영화와 예술영화, 그 둘 사이에 위치한다.”고 규정했다.

이학성 편성팀장은 “새로운 스타일의 다큐멘터리로 한국영화를 새롭게 분석해 볼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영화와 감독들에 관한 의미있는 기록”이라고 말했다.

김소연기자 purple@seoul.co.kr
2005-02-1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