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지부상소(持斧上疏)/손성진 논설위원

[씨줄날줄] 지부상소(持斧上疏)/손성진 논설위원

입력 2004-08-26 00:00
수정 2004-08-26 02: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면암(勉庵) 최익현은 조선 말 혼란기에 중심을 잃지 않은 선비였다.언관(言官)직을 주로 맡던 면암은 1876년 도끼를 메고 궁궐 앞에 꿇어 엎드려 상소를 올렸다.조선을 개방하는 일본과의 병자수호조약 체결에 반대하는 병자지부소(丙子持斧疏)였다.1905년에는 을사조약 체결을 주도한 박제순(朴齊純) 등 오적을 처단하라는 청토오적소(請討五賊疏)를 올렸다.조헌(趙憲) 선생은 1591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명나라를 칠 길을 빌려달라.’고 요구하자 지부상소(持斧上疏)를 올리고 대궐 밖에서 사흘 동안 일본 사신의 목을 베라고 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생은 의병을 일으켜 700의병과 금산에서 전사했다.

중국에서는 진(秦)나라 이전부터 있었고 고려에서 조선으로 이어진 상소는 간관(諫官)이나 유학자 등이 임금에게 올린,정사에 관한 비판이나 충언이다.절대적인 권력을 갖고 있던 왕을 견제하고 민의를 전달하는 언로(言路)였던 셈이다.왕은 잠자리에 들기 전에 상소문을 을람(乙覽:임금이 늦은 밤까지 글을 봄)할 의무가 있었다.도끼를 짊어지고 올리는 지부상소는 왕을 가장 강력히 압박하는 상소였다.받아들일 수 없다면 도끼로 목을 쳐달라는 것이니 왕인들 부담을 느끼지 않았을 리 없다.

상소를 가장 많이 올린 이는 율곡 이이다.율곡은 홍문관 교리 때 을사사화를 일으킨 윤원형을 논박하고 가짜 공훈을 깎으라는 상소를 올린다.선조가 반응을 보이지 않자 41번이나 상소문을 올린 끝에 동의를 얻었다.율곡의 상소중에서는 만언봉사(萬言封事)가 유명하다.세상의 잘못된 점 일곱가지를 일만자로 쓴 상소문이다.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믿지 않는다,신하들이 맡은 일을 성실하게 하지 않는다,재앙을 당하여도 구제할 대책이 없다 등으로 요즘에도 들어맞는 지적이다.

충주 지역 유생(儒生) 40여명이 상경해 대통령에게 지부상소를 올렸다.내용인즉,공공기관 이전에서 충북 북부권을 배제하지 말아달라는 것이었다고 한다.갓을 쓰고 도끼를 든 모습이 시선을 끌긴 했는데 지부상소를 올릴 만한 국가중대사였는지,고개가 갸우뚱해진다.우리에겐 최고통치자의 국가 장래에 관한 현명한 판단을 도와주는 올곧은 지부상소가 필요하다.

손성진 논설위원 sonsj@seoul.co.kr
2004-08-26 2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