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화된 유럽 세계에 때묻지 않은 야성의 불씨를 전해준 원시주의 화가.하지만 그와 같은 우호적 평가 뒤에는 원주민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전락시킨 식민주의자이자 백인 남성 중심 화가라는 오명이 뒤따른다.프랑스 후기 인상주의 화가 고갱(1848∼1903).우리는 그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고갱의 스커트’(스티븐 아이젠만 지음,정연심 옮김,시공아트 펴냄)는 극과 극을 달리는 고갱에 대한 기존의 평가를 반박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미국의 미술사가인 저자(노스웨스턴대 교수)는 특히 고갱을 인종주의자,성차별주의자라고 주장해온 초기 탈식민주의 이론가와 페미니스트들의 입장에 반기를 든다.그들의 주장은 서구가 동양을 재현할 때에는 항상 타자로 규정한다는 팔레스타인 출신 사상가 에드워드 사이드의 주장을 받아들인 결과라는 것이다.
저자는 고갱이 어떻게 인종주의에서 벗어나 진정한 원시주의자로 거듭 태어나게 됐는가를 밝힌다.고갱의 작품은 타히티로 건너가 원주민들과 지내면서 점차 변하기 시작한다.당시의 많은 유럽인들처럼 고갱 역시 백인 남성이 여성이나 다른 인종에 비해 우수하며 열등한 인종은 사라져야 할 운명이라고 믿었다.실제로 ‘안녕하세요,고갱 씨’(1889) 같은 작품을 보면 이국취미와 인종주의가 결합돼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고갱은 타히티에서 원주민과 함께 지내면서 식민주의의 복잡한 정체성을 몸소 체험했고 이를 ‘혼성적인’ 작품으로 묘사했다.고갱의 작품에서 혼성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까.책의 제목인 스커트라는 말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스커트는 ‘파레우’라는 타히티 원주민의 치마를 가리키는 것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가 입는 옷이다.성적으로 경계에 서 있던 고갱의 양성적 정체성은 책 제목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고갱은 실제로 양성인(兩性人)에 관심이 많았다.한 예로 ‘마나오 투파파우(유령이 그녀를 지켜보다)’라는 그림에는 성 구분이 사라진 자웅동체의 누드 여성이 등장한다.
책은 ‘고귀한 야만인’ 고갱의 혼성적 삶과 예술을 다룬다.나아가 인류학과 미술사,전기와 소설의 경계를 넘나들며 프랑스의 성과 타히티의 성,19세기의 성과 현재의 성을 살핀다.또한 고갱이라는 인물을 통해 폴리네시아 원주민들의 입장과 정치적 투쟁을 보여준다.1만 5000원.
김종면기자 jmkim@seoul.co.kr
‘고갱의 스커트’(스티븐 아이젠만 지음,정연심 옮김,시공아트 펴냄)는 극과 극을 달리는 고갱에 대한 기존의 평가를 반박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미국의 미술사가인 저자(노스웨스턴대 교수)는 특히 고갱을 인종주의자,성차별주의자라고 주장해온 초기 탈식민주의 이론가와 페미니스트들의 입장에 반기를 든다.그들의 주장은 서구가 동양을 재현할 때에는 항상 타자로 규정한다는 팔레스타인 출신 사상가 에드워드 사이드의 주장을 받아들인 결과라는 것이다.
저자는 고갱이 어떻게 인종주의에서 벗어나 진정한 원시주의자로 거듭 태어나게 됐는가를 밝힌다.고갱의 작품은 타히티로 건너가 원주민들과 지내면서 점차 변하기 시작한다.당시의 많은 유럽인들처럼 고갱 역시 백인 남성이 여성이나 다른 인종에 비해 우수하며 열등한 인종은 사라져야 할 운명이라고 믿었다.실제로 ‘안녕하세요,고갱 씨’(1889) 같은 작품을 보면 이국취미와 인종주의가 결합돼 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고갱은 타히티에서 원주민과 함께 지내면서 식민주의의 복잡한 정체성을 몸소 체험했고 이를 ‘혼성적인’ 작품으로 묘사했다.고갱의 작품에서 혼성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까.책의 제목인 스커트라는 말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스커트는 ‘파레우’라는 타히티 원주민의 치마를 가리키는 것으로 남성과 여성 모두가 입는 옷이다.성적으로 경계에 서 있던 고갱의 양성적 정체성은 책 제목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고갱은 실제로 양성인(兩性人)에 관심이 많았다.한 예로 ‘마나오 투파파우(유령이 그녀를 지켜보다)’라는 그림에는 성 구분이 사라진 자웅동체의 누드 여성이 등장한다.
책은 ‘고귀한 야만인’ 고갱의 혼성적 삶과 예술을 다룬다.나아가 인류학과 미술사,전기와 소설의 경계를 넘나들며 프랑스의 성과 타히티의 성,19세기의 성과 현재의 성을 살핀다.또한 고갱이라는 인물을 통해 폴리네시아 원주민들의 입장과 정치적 투쟁을 보여준다.1만 5000원.
김종면기자 jmkim@seoul.co.kr
2004-08-14 3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