덥다.더울 땐 서로가 서로를 배려해야 한다.가뜩이나 더운데 열 받지 않도록 하고,가능한 덕담 위주로 하는 것이 좋다.하지만 세상이 어디 그런가? 더울수록 열받게 하고,추울수록 썰렁하게 하는 것이 세상이다.그 ‘주체’들이 자신들의 이해관계 때문에 그런 말과 행동을 한다면,그것은 오히려 상대하기가 쉽다.신념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게임을 하듯 대하면 되기 때문이다.문제는 그 ‘주체’들이 신념으로,또는 이익을 공익적 신념으로 포장했을 때 생긴다.
고백부터 해야겠다.한 해의 베스트 영화를 뽑는 자리에서,지금 보면 그렇고 그런 영화임에도 불구하고,그 어떤 영화가 지향하는 사회적 가치를 높이산 나머지 그 영화를 베스트 명단에 올린 적이 있다.지나친 열정이었다.또 있다.한때 교수가 되기를 오매불망 바란 나머지 한 명의 무능한 재력자만 믿고 전문대학원을 세우려고 덤빈 적이 있다.그 때의 명분은 한국의 영화교육이 부실하다는 것이었다.이익을 신념으로 포장한 경우였다.
개인적으로 존중하는 어떤 분은 한 해 최고의 영화를 거론하면서 ‘바람난 가족’을 맨처음 뽑았다.그 순간 나는 깜짝 놀랐다.영화를 대하는 균형잡힌 시각과 체계적인 사고를 지닌 분이었기에 더욱 놀란 것이었다.물론 나 역시,그 영화가 주목할 만한 영화라고는 생각한다.하지만 그 분이 주장하는 정도의 영화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그 영화는 ‘바람난 가족’ 문제에 대해 본질적으로 치열하지도 않았다고 보기 때문이다.덧붙이자면,드라마를 구성하기 위해 더 본질적인 것을 포기한 영화라고 보기 때문이다.
나는 그 분의 선택이 우리 사회의 ‘가족’문제와 ‘여성’문제에 대한 지나친 비판적 시각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한국에도 많은 페미니스트들이 있다.특히 여성 페미니스트 영화인(연구자)들은 많은 경우,여성들이 처한 사회적 문제보다 여성들이 처한 성적 혹은 정신분석학적 문제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이러한 경향에 대해 어떤 이는 몇 년 전에,그 이유를 그(녀)들의 계급적 성향과 사회적 위치에서 찾는 발언을 하여,뭇 페미니스트들로부터 몰매를 맞은 적이 있다.나는 양쪽 모두,자신들이 지닐 수 있는 신념의 범위를 넘어섰거나 그 신념을 표현하는 수위를 넘어섰다고 본다.‘과불급’인 경우다.
또 있다.예술영화 특히 서구의 예술영화와 클래식 영화에 대한 열정 역시 그렇게 보인다.지금의 한국 대중영화는 다 썩어빠졌고 과거의 서구 클래식과 아시아의 일부 클래식 영화가 최고 혹은 그와 유사하다는 것이다.한국 독립영화의 어떤 경향 역시 그러하다.새로운 영화문법 혹은 영화예술의 본질적 가치추구라는 명분 아래,자신도 모를 뿐 아니라 관객들을 희롱하기까지 하는 영화들을 지향하는 경향이 그러하다.나는 결단코 반대한다.오히려 나는,정창화 감독의 1960년대 누아르 무비 ‘검은 머리’를 보면서 영화적 희열을 느낀다.내면을 파고드는 끈적끈적함과 엉성함이 나를 매료시키는 것이다.하지만 이 영화는 결코 어떤 신념을 가지고 있지 않다.그래서 나는 더욱 열정을 느낀다.아니,나 역시 지나친 열정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물론 지피지기하여 자포자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한국영상자료원장
고백부터 해야겠다.한 해의 베스트 영화를 뽑는 자리에서,지금 보면 그렇고 그런 영화임에도 불구하고,그 어떤 영화가 지향하는 사회적 가치를 높이산 나머지 그 영화를 베스트 명단에 올린 적이 있다.지나친 열정이었다.또 있다.한때 교수가 되기를 오매불망 바란 나머지 한 명의 무능한 재력자만 믿고 전문대학원을 세우려고 덤빈 적이 있다.그 때의 명분은 한국의 영화교육이 부실하다는 것이었다.이익을 신념으로 포장한 경우였다.
개인적으로 존중하는 어떤 분은 한 해 최고의 영화를 거론하면서 ‘바람난 가족’을 맨처음 뽑았다.그 순간 나는 깜짝 놀랐다.영화를 대하는 균형잡힌 시각과 체계적인 사고를 지닌 분이었기에 더욱 놀란 것이었다.물론 나 역시,그 영화가 주목할 만한 영화라고는 생각한다.하지만 그 분이 주장하는 정도의 영화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그 영화는 ‘바람난 가족’ 문제에 대해 본질적으로 치열하지도 않았다고 보기 때문이다.덧붙이자면,드라마를 구성하기 위해 더 본질적인 것을 포기한 영화라고 보기 때문이다.
나는 그 분의 선택이 우리 사회의 ‘가족’문제와 ‘여성’문제에 대한 지나친 비판적 시각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한국에도 많은 페미니스트들이 있다.특히 여성 페미니스트 영화인(연구자)들은 많은 경우,여성들이 처한 사회적 문제보다 여성들이 처한 성적 혹은 정신분석학적 문제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이러한 경향에 대해 어떤 이는 몇 년 전에,그 이유를 그(녀)들의 계급적 성향과 사회적 위치에서 찾는 발언을 하여,뭇 페미니스트들로부터 몰매를 맞은 적이 있다.나는 양쪽 모두,자신들이 지닐 수 있는 신념의 범위를 넘어섰거나 그 신념을 표현하는 수위를 넘어섰다고 본다.‘과불급’인 경우다.
또 있다.예술영화 특히 서구의 예술영화와 클래식 영화에 대한 열정 역시 그렇게 보인다.지금의 한국 대중영화는 다 썩어빠졌고 과거의 서구 클래식과 아시아의 일부 클래식 영화가 최고 혹은 그와 유사하다는 것이다.한국 독립영화의 어떤 경향 역시 그러하다.새로운 영화문법 혹은 영화예술의 본질적 가치추구라는 명분 아래,자신도 모를 뿐 아니라 관객들을 희롱하기까지 하는 영화들을 지향하는 경향이 그러하다.나는 결단코 반대한다.오히려 나는,정창화 감독의 1960년대 누아르 무비 ‘검은 머리’를 보면서 영화적 희열을 느낀다.내면을 파고드는 끈적끈적함과 엉성함이 나를 매료시키는 것이다.하지만 이 영화는 결코 어떤 신념을 가지고 있지 않다.그래서 나는 더욱 열정을 느낀다.아니,나 역시 지나친 열정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물론 지피지기하여 자포자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한국영상자료원장
2004-08-06 3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