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의 80년대’에 포효하듯 뱉어내던 힘찬 ‘노동의 시어’를 뒤로한 채 너무 깊게 ‘안’으로 들어갔기 때문일까.‘노동자 시인’ 백무산의 침잠이 더 길어질 것 같다.
그의 새 시집 ‘길 밖의 길’(갈무리 펴냄)은 그가 더 깊숙한 곳에서 자신과 만나고 있음을 보여준다.지난해 낸 시집 ‘초심’에서 징후를 보였던 현실로 한 발짝 나오려고 하던 몸짓도 느껴지지 않는다.대신 그가 자주 간다는 산이나 혹은 그 산을 오르내리며 벗 삼은 ‘길’이 몸의 일부(표제시)가 된 듯 침묵한다.
간혹 ‘생존의 일상’‘혐오’ 같은 작품처럼 세상의 모순을 직접 화법으로 노래하는 모습도 비친다.그러나 대개의 경우에는 ‘달의 서쪽으로 간다’처럼 삶의 본질과 근원에 대한 사색의 흔적이 역력하다.더 오래 자신 안에서 머물면서 싸우려는 듯 “네게로 이르는 쉬운 길로 나는 나서지 않으련다.”(‘네게로 가는 길’)라고 다짐한다.
시인과 정치적 노선을 함께하면서 그의 사상이 점화되고 변화하는 과정을 지켜본 평론가 조정환은 장문의 해설에서 “1980년대 ‘만국의 노동자여’‘동트는 미포만의 새벽을 딛고’ 등의 시집에서 ‘불꽃’을,1990년대 ‘인간의 시간’‘길은 광야의 것이다’에서 ‘대지’를 노래한 시인이 이번에는 ‘바람’’으로 옮겨왔다.”며 “바람은 경계를 허물고 경직된 것을 전복하는 힘”이라고 낙관적 의미를 부여한다.
이종수기자 vielee@seoul.co.kr˝
그의 새 시집 ‘길 밖의 길’(갈무리 펴냄)은 그가 더 깊숙한 곳에서 자신과 만나고 있음을 보여준다.지난해 낸 시집 ‘초심’에서 징후를 보였던 현실로 한 발짝 나오려고 하던 몸짓도 느껴지지 않는다.대신 그가 자주 간다는 산이나 혹은 그 산을 오르내리며 벗 삼은 ‘길’이 몸의 일부(표제시)가 된 듯 침묵한다.
간혹 ‘생존의 일상’‘혐오’ 같은 작품처럼 세상의 모순을 직접 화법으로 노래하는 모습도 비친다.그러나 대개의 경우에는 ‘달의 서쪽으로 간다’처럼 삶의 본질과 근원에 대한 사색의 흔적이 역력하다.더 오래 자신 안에서 머물면서 싸우려는 듯 “네게로 이르는 쉬운 길로 나는 나서지 않으련다.”(‘네게로 가는 길’)라고 다짐한다.
시인과 정치적 노선을 함께하면서 그의 사상이 점화되고 변화하는 과정을 지켜본 평론가 조정환은 장문의 해설에서 “1980년대 ‘만국의 노동자여’‘동트는 미포만의 새벽을 딛고’ 등의 시집에서 ‘불꽃’을,1990년대 ‘인간의 시간’‘길은 광야의 것이다’에서 ‘대지’를 노래한 시인이 이번에는 ‘바람’’으로 옮겨왔다.”며 “바람은 경계를 허물고 경직된 것을 전복하는 힘”이라고 낙관적 의미를 부여한다.
이종수기자 vielee@seoul.co.kr˝
2004-06-0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