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 - 안티고네에서 모나리자까지/소피 쇼보 지음

미소 - 안티고네에서 모나리자까지/소피 쇼보 지음

입력 2004-05-29 00:00
수정 2004-05-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아버지 오이디푸스의 비극과 형제들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운명에 굴하지 않은 여인 안티고네.굴욕적인 삶 대신 고귀한 죽음을 택한 그의 미소는 모든 것을 빼앗기고도 불의에 굴복하지 않는 자의 마지막 몸짓이다.그런가 하면 웃는 듯 마는 듯한 모나리자의 미소는 그 자체로 하나의 수수께끼이자 신비다.미소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인류는 오랫동안 미소에 무관심했으며 심지어 함부로 미소 지을 수 없었던 시절도 있었다.‘피에타’가 대변하듯 고통은 이상화되고 행복과 기쁨의 표현은 금기시되기도 했다.

미소의 사회적 효용 살펴

프랑스 화가 엘리자베트 비제 르브룅의 작품 '비제 르브룅 부인과 그녀의 딸 잔 마리 루이즈' (파리 루브르 박물관 소장). 아이를 안고 있는 여인의 얼굴에 '모성의 미소'가 어려 있다.
프랑스 화가 엘리자베트 비제 르브룅의 작품 '비제 르브룅 부인과 그녀의 딸 잔 마리 루이즈' (파리 루브르 박물관 소장). 아이를 안고 있는 여인의 얼굴에 '모성의 미소'가 어려 있다.
프랑스 작가 소피 쇼보의 ‘미소­안티고네에서 모나리자까지’(진인혜 옮김,영림카디널 펴냄)는 누구나 친숙하게 여기면서도 아무도 진지한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미소에 관해 다룬다.미소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그 심미적 가치와 사회적 효용을 살핀다.

책은 웃음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미소의 정체를 밝힌다.정신분석학자들은 웃음을 일종의 퇴행현상으로 간주한다.육체가 언어를 압도하고 일시적으로 사고를 정지시키는 현상이 바로 웃음이다.그것은 때로 변화무쌍한 광기를 동반한다.탄자니아에서는 언젠가 열 달 동안 100여명의 사람이 웃다가 죽은 광적인 웃음의 전염병이 있었다고 한다.북극지방에서도 ‘북극 히스테리’라 불리는 이와 비슷한 증상이 발견됐다.

미소없는 세상에 남는 건 고통뿐

하지만 미소에는 이런 광기가 없다.미소도 전염되지만 치명적인 병이 돼 통탄을 자아낸 적은 없다.저자는 미소를 “나름의 광채와 분위기를 지닌 아리아”로 표현한다.미소를 잃어버리는 순간,그것은 더이상 살아 있는 삶이라 할 수 없다.미셸 투르니에의 소설 ‘방드르디,태평양의 끝’에 나오는 로빈슨 크루소는 어느 날 자신이 더이상 웃을 줄 모른다는 사실을 깨닫는다.그는 미소를 잃어버렸고 무언의 몸짓언어도 잊어버렸다.다른 사람들의 얼굴에서 미소를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미소가 없는 세상에 남는 건 결국 고통뿐이다.

미소의 의미가 언제나 같은 것은 아니다.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양한 편차를 보인다.아프리카인들은 미소를 금기시한다.사람들이 크게 웃는 것을 제한하는 그들은 아이들에게 미소를 짓지 못하게 한다.너무 행복해 보이면 질투심 많은 신들이 지켜보다 데려갈 수도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서양에서는 미소가 민주주의의 영향 아래 고상한 풍습으로 발전했지만,아프리카에서는 차라리 위선과 조롱의 ‘하위웃음’이다.

일본의 미소는 사정이 사뭇 다르다.일본인들은 별로 웃지 않지만 미소를 철저하게 사회적 규범으로 삼는다.어려서부터 인사하는 법을 배우듯 미소를 배운다.저자에 따르면 일본의 미소는 예절이라는 국민적 종교의 성스러운 예식이다.물론 거기엔 일본 사회의 일상화된 폭력을 감추기 위한 탐미주의의 일환이라는 비판도 따른다.

유토피아를 향해 열린 창

저자에게 미소란 유토피아를 향해 열린 마지막 창.미소는 과연 우리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테러와 보복으로 일그러진 세상을 바로 펼 수 있을까.저자는 예술이 보이지 않는 가운데 세상을 변화시키듯 미소도 그럴 수 있다고 강조한다.미소는 인류의 ‘마지막 무기’인 셈이다.저자가 구원의 언덕으로 삼는 미소는 요컨대 어두운 현실에 모반을 꿈꾸는 미소,진정한 삶의 혁명을 가져오는 미소다.9000원.

김종면기자 jmkim@seoul.co.kr˝
2004-05-29 3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의 국민연금 개혁 방향은?
최근 연금개혁청년행동이 국민연금 개혁 방향과 관련해 어느 쪽에 중점을 둬야 하는지 여론조사를 실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미래 재정 안정을 우선시하는 ‘재정안정론’, 연금 수급액 확대를 중점으로 한 ‘소득보장론’, 그외에 ‘국민연금 폐지’ 등 3가지 안을 제안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재정안정론
소득보장론
국민연금 폐지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