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매일 첫 사옥 위치 찾았다/오인환 前연세대교수 추적 발굴

대한매일 첫 사옥 위치 찾았다/오인환 前연세대교수 추적 발굴

입력 2003-12-29 00:00
수정 2003-12-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구한말 일제침략에 항거하며 우리 민족의 ‘대변지’ 역할을 했던 대한매일신보사(大韓每日申報社·서울신문사 전신)의 첫 사옥 위치와 사진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28일 오인환(吳仁煥·사진) 전 연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의 연구논문 ‘구한말 대한매일신보사가 있었던 위치와 사옥의 사진을 찾아서’에 따르면,대한매일신보사 최초의 사옥은 지금의 서울 종로구 수송동 85 연합뉴스 사옥과 제일모직 사옥에 걸친 300여평에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오 교수는 “대한매일신보는 수송동의 현 연합통신 부근에서 발행됐다.”는 정진석 교수의 ‘언론유사’ 등을 참고로 정확한 위치를 추적,중동고의 ‘중동 80년사’에서 “1914년 옮긴 중동의 교지는 베델이 대한매일신보를 경영하던 사지(社址)였다.”는 결정적인 증거를 찾아냈다.

대한매일신보는 1904년 7월18일 영국 데일리 크로니클지 특파원 베델과 양기탁이 손잡고 창간한 신문이다.

일본의 야욕과 한국내 사정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면서 한국의 국권수호를 위해 필봉을 휘둘렀다.많은 의병들이 이 신문의 영향을 받아 무장 항일투쟁에 가담하는 등 대한매일신보는 민족독립운동의 구심점이었다.

●첫 사옥은 현 연합뉴스와 제일모직 사이

대한매일신보는 창간 사고(社告)에서 발행소의 위치를 “박동 법어(프랑스어)학교 앞 전 영국인 셜필립 집 자리”라고 밝히고 있다.박동은 현재 종로구 수송동의 일부지역이다.

정진석 교수는 ‘언론유사’에서 “법어학교가 있던 곳은 수송동 85 중동고 부근이었고 대한매일신보는 수송동의 현 연합통신 부근에서 발행됐다.”고 밝혔었다.

오 교수는 이를 좀더 정확히 알고 싶어 영국인 셜필립의 집터와 법어학교터를 찾아봤지만 이렇다할 자료를 확보하지 못했다.

이에 대한매일신보가 박동을 떠난 1907년을 전후해 주변에 있었던 중동,보성,숙명,한성사범 등 학교 쪽으로 눈길을 돌리기로 했다.

다행히 ‘중동 80년사’에서 “중동이 1914년 옮겨간 당시 부지는 베델이 대한매일신보를 경영하던 사지(社址)였다.”는 단서를 확보했다.

이를 지도상에서 확인하기 위해 ‘경성관내도’(1918년) 상의 수송동 85 위에 거리와 방향을 같게 조정한 오늘날 지적도를 ‘포토숍’으로 포개얹은 결과,대한매일신보의 첫 사옥은 수송공원 북쪽 모퉁이 일부와 그에 접한 연합뉴스 부지 100평,제일모직 부지 200평에 걸친 형태로 나타났다.

첫 사옥의 사진 역시 중동 80년사에서 찾을 수 있었다.80년사에는 수송동 교사 앞에서 학생들이 기념촬영을 한 사진이 실려 있는데,중동이 당시 이 교사를 빌려 쓰고 있었기 때문에 건물을 개축하지 않았을 것이고,따라서 사진 속 교사가 바로 대한매일신보의 첫 사옥임을 짐작할 수 있다.

●매일신보에서 찾아낸 두번째 사옥 사진

대한매일신보는 1907년 1월5일자 사고에서 새 사옥의 위치가 ‘남서 황단(皇壇·원구단) 신작로 초입 석정동 북변 3층 양옥’으로 밝혔다.

두번째 사옥 역시 정진석 교수 등이 “대한매일신보의 두번째 사옥은 지금의 프레지던트호텔과 웨스틴조선호텔 입구 근처였다.”고 밝힌 바 있어 위치 추정이 가능했다.

옛 지도(1911년,1918년 제작)에서 두번째 사옥 주변을 비교한 결과 지형이 7년 동안 크게 변하지 않았다.

당시 ‘황단신작로 초입 북변’을 오늘날 지도에 포갠 결과 두번째 사옥은 현재 프레지던트호텔과 프라자호텔 사이,즉 시청 앞 광장 중앙부에서 약간 동쪽으로 치우친 지점에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번째 사옥의 사진은 참으로 운좋게 손에 넣을 수 있었다.일제는 1910년 8월29일 조선을 강제합병하면서 총독부 기관지로 경성일보와 매일신보를 발행했는데,매일신보 1914년 10월25일자 1면에 실린 사진에서 두번째 사옥의 모습을 찾아냈다.

●최후의 대한매일신보는 종로2가에서 발행

대한매일신보는 한국인 사원이었던 이장훈이 1910년 6월 당시의 사주였던 영국인 만함에게서 시설과 판권을 사들인 뒤 사옥을 ‘경성 중부 포전병문(布廛屛門·베전 골목 입구) 이궁가(二宮街) 2층 양옥’으로 옮겼다.

정진석 교수의 ‘대한매일신보와 배설’에 따르면 표면상으로는 이장훈이지만 실제로는 일본 통감부가 사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장훈 명의로 발행된 1910년 6월14일부터 대한매일신보로 발행된 마지막 호인 1910년 8월28일까지 있었던 위치를 세번째 사옥으로 볼수 있다.

대한매일신보는 매일신보로 이름을 바꾼 뒤에도 그해 10월19일 경성 서부 정동 대한문 앞으로 사옥을 옮기기 전까지 이곳에서 계속 신문을 발행했다.

옛 지도(1903년과 1907년 제작)에 이궁내(二宮內)로 표기된 부분이 탑골공원 맞은편에 있는데,따라서 세번째 사옥은 오늘날 YBM시사영어사 빌딩앞 보도와 차도 일부이거나,수표다릿길 건너편 동대문쪽 모퉁이 상가건물들 앞의 보도와 차도 일부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안타깝게도 세번째 사옥의 사진은 찾지 못했다.

●“신문터는 신문의 이름만큼 중요”

2001년 2월 정년퇴임 뒤부터 대한매일신보를 비롯해 독립신문·황성신문·제국신문 등 구한말 신문터 찾기에 나선 오 교수는 40여년 전 ‘신문평론’(1965년 6월호)에 실렸던 언론계 원로들의 좌담을 인용,이번 연구의 의미를 대신했다.

“우리 신문사(史)가 100년이 넘는데도 명멸했던 신문이 간행되었던 곳이 어딘지에 대해서는 따로 깊이 알아보려하지 않았다.어떤 신문이 자리잡아 인쇄해서 발행하던 곳이 가지는 의미는 신문의 이름과 내용을 아는 것만큼이나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정리 류길상기자 ukelvin@
2003-12-29 1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