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부터 제호 바꿉니다/ 독립정론 ‘서울신문’

새해부터 제호 바꿉니다/ 독립정론 ‘서울신문’

입력 2003-12-04 00:00
업데이트 2003-12-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매일이 새해부터 서울신문으로 제호를 바꿉니다.

대한매일신보사(사장 채수삼)는 3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2004년 1월1일자부터 신문 제호를 ‘대한매일(THE KOREA DAILY NEWS)’에서 ‘서울신문(THE SEOUL SHINMUN)’으로 바꾸기로 했습니다.아울러 회사 이름은 ‘대한매일신보사(大韓每日申報社)’에서 ‘서울신문사’로 바꿉니다.

채 사장은 주총 인사말에서 “치열한 신문 시장에서 주력 상품인 신문의 인지도를 높이고,브랜드 파워를 강화하기 위해 제호를 변경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채 사장은 이어 “향후 서울신문은 대한매일의 정체성을 계승하고 지면쇄신 및 차별화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대한매일’과 ‘서울신문’은 1904년 창간한 ‘대한매일신보’에 뿌리를 둔,같은 신문의 다른 이름입니다.

대한제국 말 일제(日帝)의 침략에 맞서 구국의 필봉을 힘껏 휘두른 대한매일신보는 나라를 빼앗긴 뒤 결국 문을 닫습니다.그 대한매일신보의 사원과 사옥,시설 등을 그대로 이어받아 해방공간에 새로 태어난매체가 바로 서울신문이었습니다.

1998년 본사는 제호를 ‘서울신문’에서 ‘대한매일’로 변경했습니다.21세기 대전환의 시기를 앞둔 당시는 우리 민족이 사상 최대의 경제위기를 겪는 시절이었기에 ‘구국·애족’의 대한매일신보 창간정신이 우리사회에 더욱 절실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또 과거 서울신문이 정부 대변지 역할에 치우쳐 정도(正道)언론을 펴지 못한 때가 있었음을 스스로 인정하고 반성하는 뜻도 포함돼 있었습니다.

대한매일로 탈바꿈한 지난 5년동안 저희 임직원은 대한매일신보의 구국 독립정신에 충실했다고 자부합니다.먼저 사원들로 구성된 ‘우리사주조합’이 1대 주주가 되면서 실질적인 민영화를 이루었습니다.현재 본사의 주식 분포는 우리사주조합이 39%로 최대 주주이고,재정경제부(30.49%),포스코(22.4%),한국방송(8.08%)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저희는 또 사장은 사원들이,편집국장은 기자들이 직접 뽑고 있습니다.그 결과 사원이 주인인 회사로서,정부를 비롯한 외부의 ‘입김’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독립정론(獨立正論)’의 길을 실천해 왔습니다.이제 대한매일은 가장 균형 잡히고 공정한 신문으로 확고하게 자리잡았습니다.

그러나 저희는 ‘서울신문’이란 이름으로 새롭게 출범함으로써 다시 한 단계 도약하고자 합니다.지난 5년, 각고의 노력 끝에 옛 서울신문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씻어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제 대한매일 대신에 친근감 있고 현대적이면서 전통을 내포한,그러면서도 세계화 시대에 한국을 상징하는 수도 이름인 ‘서울’이라는 제호를 다시 채택해 독자 여러분과 함께 미래로,세계로 힘차게 나아가고자 합니다.

새 ‘서울신문’은 물론 ‘대한매일(신보)’의 정신과 전통을 이어받습니다.따라서 지령(紙齡)과 창간 기념일(7월18일)을 계속 유지합니다.인터넷 대표주소는 ‘www.seoul.co.kr’로 바뀌지만 기존의 ‘www.kdaily.com’으로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앞으로 서울신문은 ‘참 언론 바른 신문’으로서 땀과 눈물이 밴 지면으로 독자 여러분께 한 걸음 더 다가서겠습니다.

그리고 저희는 다시 한번 다짐합니다.공익을 앞세우고,지역·계층·세대간 그리고 민족 화합에 앞장서겠습니다.사회적 소수에게도 따뜻한 눈길을 보낼 것입니다.

그동안 ‘대한매일’에 보내주신 애정과 격려가 ‘서울신문’으로 바뀐 뒤에도 변함없이 이어지기를 독자 여러분께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2003-12-04 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