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사회환원은 수집가 윤리”국보급 유물 기증 김대환 씨

“문화재 사회환원은 수집가 윤리”국보급 유물 기증 김대환 씨

입력 2003-11-12 00:00
수정 2003-11-1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아직 기부문화가 뿌리내리지 않은 우리 사회에서 한 시민의 행동이 잔잔한 감동을 안겨주고 있다.

“저는 수산물 가공품을 취급하는 무역업체에 다니는 평범한 회사원일 뿐입니다.”라고 자신을 소개한 김대환(44·대한벤더 부사장)씨는 11일 오전 서울 상명대 박물관 개관에 맞춰 자신이 20여년간 수집해온 삼국시대와 고려·조선시대 불교 유물 128점을 포함,국보급 문화재까지 모두 900여점의 수집품을 기증했다.

금속 불교 유물을 테마로 수집하는 그의 기증품 가운데 현재까지 유일한 것으로 알려진 고구려금니여래입상을 비롯,간송미술관에 소장된 국보 68호와 거의 흡사한 고려 청자상감운학문배병 뚜껑,다뉴세문경보다 3∼4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다뉴조문경 등은 주요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또 고려 금동9층탑,송광사에 소장된 보물 175호 경패와 거의 비슷한 경패도 있다.경패란 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제작된 목함의 내용물을 알리기 위해 부착했던 표지물이다.

김씨의 기증이 남다른 것은 한창 왕성하게 취미활동을 할 40대의 컬렉터가자신의 유물을 내놓았다는 점이다.

“지금이 기증하기엔 가장 좋은 때”라고 말하는 그는 “가끔씩 풀어서 볼 때마다 조상의 숨결은 물론 제가 하나하나 수집할 때의 에피소드도 떠올라 행복합니다.그러나 조금 아쉬울 때,아직은 더 갖고 있고 싶은 때 사회에 환원하는 것이 제가 꿈꿔온 컬렉터의 윤리라고 생각합니다.”

더욱이 김씨는 상명대 박물관과는 어떤 인연도 없다.또 국립박물관에도 기증할 기회가 있었지만 욕심내지 않았다.

“한때는 저도 국립박물관에 기증하겠다는 꿈을 갖고 있었죠.제 이름으로 전시실을 하나 갖게 된다면 영예로운 일이니까요.하지만 그것도 공명심이란 사실을 알게 됐어요.신생 박물관에 기증한다면 더 좋겠다는 생각으로 상명대학을 택했어요.많은 박물관이 활성화되는 것이 더 좋으니까요.”

고려대 경제학과 1학년 때부터 서울 황학동 벼룩시장과 인사동,지방의 작은 골동품 가게를 뒤졌던 때의 추억에 흠씬 젖을 수 있었다는 그는 이번 기증을 ‘인생의 중간 정리’라고 말했다.

“원래 사학도가 되고 싶었어요.역사의 숨결을느끼는 것이 좋았고 고구려인들의 기상은 제게 감동을 줬으니까요.집안의 반대로 경제학을 전공했지만 그동안 무역회사를 다니면서도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았습니다.2년 전부터 대학원에서 미술사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그동안 흠모만 하던 사학에 직접 몸을 담그고 나니 그토록 애착을 가졌던 유물들에서 보다 자유로워졌다고 할까요.”

기증을 받은 상명대 최규성 박물관장은 “금전적으로 환산할 수 없을 만큼 귀한 유물들이다.금속 공예사 연구는 물론 한국 고유의 독창적인 디자인 개발과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감사를 표시했다.

“골동품 컬렉션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않으냐?”고 묻는 사람들에게 그는 가족 이야기를 들려준단다.그의 고1·중1,두 아들은 해외 어학연수는커녕 외국 여행도 한 번 못했다.우리 것을 먼저 알아야 한다고 말하는 그는 컬렉션 역시 “돈이 있어서 한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10개월씩 할부로 구입하기도 했고 다른 곳에는 철저하게 아끼면서 살았지요.”

그는 인터뷰가 끝날 무렵 “컬렉션을 이해하고 도와준 아내(구본영·42)와 함께 기증한 것”이라는 한 마디를 보탰다.

허남주기자 hhj@
2003-11-12 1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의 국민연금 개혁 방향은?
최근 연금개혁청년행동이 국민연금 개혁 방향과 관련해 어느 쪽에 중점을 둬야 하는지 여론조사를 실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미래 재정 안정을 우선시하는 ‘재정안정론’, 연금 수급액 확대를 중점으로 한 ‘소득보장론’, 그외에 ‘국민연금 폐지’ 등 3가지 안을 제안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재정안정론
소득보장론
국민연금 폐지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