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모나리자 미소

[씨줄날줄] 모나리자 미소

우득정 기자 기자
입력 2003-02-21 00:00
수정 2003-02-2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을 찾는 사람이면 누구나 르네상스시대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는 ‘모나리자 초상화’ 앞에서 사진을 찍는다.레오나르도 다빈치라는 천재가 남긴 ‘신비로운 미소’라는 마력에 끌린 탓도 있지만 박물관 전시품 중 유일하게 ‘원판’이 아니어서 이곳에서만 사진 촬영이 허용된 것이 보다 현실적인 이유다.사진을 찍는 관람객들은 한결같이 얼굴의 긴장을 풀고 입 끝을 가볍게 치켜올리며 모나리자의 미소를 흉내내지만 모나리자의 미소가 재현됐다는 소식은 없었다.

보일 듯 보이지 않는 이 미소를 두고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여성의 애정생활과 대조되는 개념을 가장 완벽하게 표현한 작품’이라고 했다.다빈치 전기작가인 브램리는 ‘예수 같은 여인’으로 평했다.‘모나리자의 미소에는 선과 악이,연민과 잔인함이,무상함과 영원함이 공존한다.동양의 음과 양에 해당한다.’는 등 신비의 덧칠이 씌워진 것은 모두 20세기 들어서의 일이다.19세기까지만 해도 모나리자의 미소는 ‘악마적으로 해석된 여성다움의 화신’,다시 말하면 요부(妖婦)정도로 해석됐다.나폴레옹이 이 그림을 침실에 걸었던 이유도 이런 해석과 무관하지 않은 것 같다.

최근 외신은 미국 하버드대 마거릿 리빙스턴 교수의 보고서를 인용,‘모나리자 미소의 신비가 풀렸다.’고 전했다.리빙스턴 교수는 “모나리자를 똑바로 쳐다보면 신비한 미소가 사라지지만 눈 등 다른 부분을 보면 미소가 뚜렷해진다.”면서 다빈치가 모나리자를 그리면서 눈의 시각 정보처리 과정을 활용했다고 주장했다.회화는 과학이며 정보 전달의 수단이라고 역설했던 다빈치이고 보면 신비의 미소에는 뜻밖의 메시지가 담겨 있을 법도 하다.

하지만 미술평론가들은 4년에 걸친 작업에도 불구하고 끝내 미완성 상태로 남은 모나리자의 미소를 ‘불확실성에 대한 포용력의 원칙’이라는 추상적인 용어로 정의를 내린다.여러 번에 걸쳐 물감을 공들여 덧칠하면서 사람들의 눈을 1차적으로 끄는 눈과 입 주변을 흐릿하게 처리한 데서 신비로움이 발산된다는 것이다.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미소는 모나리자 미소와 부처의 미소다.마음의 눈으로 부처의 미소를 보듯 모나리자 미소 역시 마음으로 느껴야 하는 것은 아닐까.

우득정

djwootk@
2003-02-21 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의 국민연금 개혁 방향은?
최근 연금개혁청년행동이 국민연금 개혁 방향과 관련해 어느 쪽에 중점을 둬야 하는지 여론조사를 실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미래 재정 안정을 우선시하는 ‘재정안정론’, 연금 수급액 확대를 중점으로 한 ‘소득보장론’, 그외에 ‘국민연금 폐지’ 등 3가지 안을 제안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재정안정론
소득보장론
국민연금 폐지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