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에게/신용불량 줄일 사회적 합의 서둘러야

편집자에게/신용불량 줄일 사회적 합의 서둘러야

입력 2002-12-02 00:00
수정 2002-12-0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경제활동인구 10명 중 1명꼴 신용불량’(대한매일 11월30일자 2면) 기사를 읽고

신용불량자의 급증에 따른 사회적 후유증이 만만치 않다.카드사에 직접 몸담고 있는 한 직원으로서 같은 고객을 대하더라도 상대가 신용불량자일 경우그 곤혹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울면서 피치 못한 사정이었음을 호소하는 고객이 있는 반면,‘나는 잘못한게 없으니 너희들이 알아서 해라.’라는 막가파식 고객까지 그 유형도 다양하다. 신문지상에서 나도는 ‘신용불량자 252만명’이라는 통계를 굳이들먹이지 않더라도 실제 객장에서 느끼는 기운은 매서운 겨울 한기만큼이나 살벌하다.

비록 정부에서 ‘개인신용회복지원제도’와 같은 신용불량자 구제대책을 내놓기는 했지만,이미 지난 7월 23만여명이라는 신용불량자의 사면조치를 단행했었다는 전례로 볼 때 그 실효성에 대해서도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또 ‘연체율 15% 넘는 카드사에 대한 신규유치 불허’나 ‘현금서비스와 카드론의 비중을 매출의 50% 이하로 맞추라.’는 여신규제정책도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셈’이다.불과 2∼3년 전까지 신용카드 남발에 따른 카드사의과당경쟁을 자유경쟁의 원리라며 눈감아주던 정부의 전력과는 다른 모습이기 때문이다.

연체율 급증에 따른 사회적 혼란의 대표적 주범은 신용카드라고들 한다.물론 이윤을 내기 위해 과당 경쟁을 했던 몇몇 카드사도 문제지만 자신의 경제적 능력을 고려치 않고 당장의 만족에 도취된 우리의 소비행태도 ‘신용불량자 250만명 시대’를 만들어내는 데에 한 몫을 했다.신용이라는 화두가 하루빨리 적절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져야 한다.
2002-12-02 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