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수등 친일문인 42명 작품공개, ‘실천문학’가을호

이광수등 친일문인 42명 작품공개, ‘실천문학’가을호

입력 2002-08-12 00:00
업데이트 2002-08-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족문학작가회의가 14일 국회 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일제 강점기 친일 문인 42명의 명단을 공개하면서 사죄할 예정인 가운데,이달 중순 발간될 ‘실천문학’ 가을호가 이들 친일 문인과 작품을 일괄 공개하는 특집을 게재해 눈길을 끈다.

‘실천문학’ 가을호는 민족문학작가회의와 민족문제연구소,실천문학이 공동 작성한 명단을 토대로 친일 문인들의 선정기준과 작품목록,발표시기,매체이름을 치밀하게명시한다.

특집에 따르면 이광수는 1939년 2월 ‘동양지광’에 시 ‘가끔씩 부른 노래'를 시작으로 ‘내선일체와 조선문학', ‘지원병 훈련소의 하루', ‘대동아 일주년을 맞는 나의 결의', ‘폐하의 성업에', ‘모든 것을 바치리' 등 1945년까지 103편의 시·소설·논설 등을 각종 매체에 실었다.

이어서 친일작품을 많이 남긴 사람은 43건의 주요한과 26건의 최재서,25건의 김용제,23건의 김동환,22건의 김종한,19건의 이석훈,18건의 박영희,17건의 김기진,14건의노천명·백철·최정희,13건의 정인택·채만식·모윤숙,12건의 유치진,11건의 서정주·정인섭·함대훈,10건의 박영호 등이다.

특집에는 월북했거나 사회주의 계열의 문학활동을 펼친 박영희와 박태원, 이찬도 들어있다.

실천문학측은 “이번에 공개되는 작품명단은 1937년 중일전쟁 이후 발표된 글만을 대상으로 삼았다.”면서 “친일의 판단기준은 식민주의와 파시즘의 옹호 여부로 삼았으며,일본어로 작품활동을 했거나 친일단체 참여,창씨개명 등은 참고만 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기준에 따라 일본어로 작품을 썼으나 항일의식을 드러낸 김사량과 한두편의 글을 남긴 정지용과 김정한은 친일작가 목록에서 빠졌다.

연합
2002-08-12 1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