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음악전문지 ‘Sub’의 편집장을 지낸 박준흠(34)씨가 그의 괴짜벽을 드러내듯 뚝심있게 음악 전문서 한권을 세상 밖으로 내보냈다.
아무도 거들떠 보지 않았던 70년대 이후 한국 대중음악의 변천사를 뮤지션중심으로 재조명한 책 ‘이땅에서 음악을 한다는 것은’(교보문고)의 페이지마다 고여있는 그의 정성과 땀은 가히 경탄할만한 것이다.
그는 지금까지 가요에 대해 “이슈거리가 아닌 관심과 애정을 바탕으로 한시선은 거의 없었고 작가주의 관점에서 평하는 경우는 더 더욱 보기 힘들었다”고 일갈한다.그는 애정과 관심의 결핍 때문에 우리 대중음악사에 대한기본적인 연구,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화 작업도 이루어지지 않은 척박한 현실을 공박한다.
그는 이 작업을 기꺼이 소명으로 받아들여 음악인들을 일일이 찾아 인터뷰했고 그들이 발표한 음반,프로듀스를 맡거나 세션맨으로 참여한 것까지 모두찾아 내 디스코그래피(디스크 출반기록)를 만들었다.
그는 ‘색안경’을 쓰고 있다.‘선택과 배제’‘발굴과 재평가’라는 덕목의이 색안경은 70년대 이후우리 음악사에 명멸한 진정한 뮤지션들을 찾아내는 데 훌륭한 길잡이 역할을 해냈다.
그는 한국 대중음악의 뿌리를 조용필과 신승훈에서 찾는 기존 평론계의 동어반복적 분석을 배제하고 신중현,한대수,김민기의 신화는 물론이고 이정선,산울림,‘따로 또 같이’의 이주원 등을 재평가하고 있다.그는 공격적인 면접을 통해 뮤지션들의 자의식을 해부하려 했다.남의 흉내나 내던 때에서 벗어나 음악이 뭔지를 알고 접근했던 때,그 이후 등을 전개해 자신의 음악세계를반추하게 했다.
그래서 그에게 가장 돋보이는 뮤지션은 70년대에도 음악을 했고 90년대에도여전히 음악 전선에서 싸우고 있는 조동진 ·동익 형제이다.이들 형제는 90년대 후배들에 대한 따스한 이해를 공유하면서도 깨어있는 음악혼을 후배들과 교감하는 영원한 친구로 남아있다.
박씨는 평론계에도 이처럼 ‘동세대적이 아닌 동시대적’ 시각이 전제돼야만진지한 접근을 일구어낼 수 있다고 결론 짓는다.
그에게 70년대는 모던포크와 록이 경쟁하며 진정한 대중음악인의 모태가 형성된 시기로,80년대는 다양한 장르가 공존하고 라이브의 강자들이 생명력을확보한 시기로 요약된다.
그리고 90년대,이 시기는 서태지에 의해 평정된 댄스뮤직이 독주하면서 언더혹은 인디 사운드가 도전장을 낸 시기다.
그래서 그의 희망은 옐로우 키친의 ‘Just Blew By’,어어부 프로젝트 사운드의 ‘불충분 조건’,허클베리 핀의 ‘Huckleberry Finn’등 이 책의 부록CD에 담긴 16곡에 바쳐지고 있다.
임병선기자 bsnim@
아무도 거들떠 보지 않았던 70년대 이후 한국 대중음악의 변천사를 뮤지션중심으로 재조명한 책 ‘이땅에서 음악을 한다는 것은’(교보문고)의 페이지마다 고여있는 그의 정성과 땀은 가히 경탄할만한 것이다.
그는 지금까지 가요에 대해 “이슈거리가 아닌 관심과 애정을 바탕으로 한시선은 거의 없었고 작가주의 관점에서 평하는 경우는 더 더욱 보기 힘들었다”고 일갈한다.그는 애정과 관심의 결핍 때문에 우리 대중음악사에 대한기본적인 연구,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화 작업도 이루어지지 않은 척박한 현실을 공박한다.
그는 이 작업을 기꺼이 소명으로 받아들여 음악인들을 일일이 찾아 인터뷰했고 그들이 발표한 음반,프로듀스를 맡거나 세션맨으로 참여한 것까지 모두찾아 내 디스코그래피(디스크 출반기록)를 만들었다.
그는 ‘색안경’을 쓰고 있다.‘선택과 배제’‘발굴과 재평가’라는 덕목의이 색안경은 70년대 이후우리 음악사에 명멸한 진정한 뮤지션들을 찾아내는 데 훌륭한 길잡이 역할을 해냈다.
그는 한국 대중음악의 뿌리를 조용필과 신승훈에서 찾는 기존 평론계의 동어반복적 분석을 배제하고 신중현,한대수,김민기의 신화는 물론이고 이정선,산울림,‘따로 또 같이’의 이주원 등을 재평가하고 있다.그는 공격적인 면접을 통해 뮤지션들의 자의식을 해부하려 했다.남의 흉내나 내던 때에서 벗어나 음악이 뭔지를 알고 접근했던 때,그 이후 등을 전개해 자신의 음악세계를반추하게 했다.
그래서 그에게 가장 돋보이는 뮤지션은 70년대에도 음악을 했고 90년대에도여전히 음악 전선에서 싸우고 있는 조동진 ·동익 형제이다.이들 형제는 90년대 후배들에 대한 따스한 이해를 공유하면서도 깨어있는 음악혼을 후배들과 교감하는 영원한 친구로 남아있다.
박씨는 평론계에도 이처럼 ‘동세대적이 아닌 동시대적’ 시각이 전제돼야만진지한 접근을 일구어낼 수 있다고 결론 짓는다.
그에게 70년대는 모던포크와 록이 경쟁하며 진정한 대중음악인의 모태가 형성된 시기로,80년대는 다양한 장르가 공존하고 라이브의 강자들이 생명력을확보한 시기로 요약된다.
그리고 90년대,이 시기는 서태지에 의해 평정된 댄스뮤직이 독주하면서 언더혹은 인디 사운드가 도전장을 낸 시기다.
그래서 그의 희망은 옐로우 키친의 ‘Just Blew By’,어어부 프로젝트 사운드의 ‘불충분 조건’,허클베리 핀의 ‘Huckleberry Finn’등 이 책의 부록CD에 담긴 16곡에 바쳐지고 있다.
임병선기자 bsnim@
1999-08-25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