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클럽 가짜가 판친다-외제클럽 70%가 밀수·모조품

골프클럽 가짜가 판친다-외제클럽 70%가 밀수·모조품

곽영완, 김경운 기자
입력 1999-01-08 00:00
업데이트 1999-01-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골프시장이 가짜와 밀수품 등 불법용품의 범람으로 혼탁해지고 있다.특히 IMF체제 이후 골프시장 규모는 급격히 줄고 있으나 불법용품은 더욱 확산되는 추세로 골프산업 자체의 정상적인 구조가 흔들리는 심각한 존폐의 기로에서있다. 용품업체 관계자들에 따르면 의류를 제외하고 골프채를 비롯,가방,신발,볼등 주변 용품을 포함한 지난해 국내 골프용품 시장은 IMF체제를 맞기 전인 97년에 비해 40% 가량 줄어든 연 2,000억원 규모에 머물렀다.이는 국내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제 혼마와 미제 캘러웨이 등 유명 외제의 수입물량이크게 줄어든데서도 뚜렷이 드러난다.수입상들은 혼마의 경우 50%,캘러웨이는 30%가 줄어들었다고 밝히고 있다.올해 역시 97년의 수치를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업계의 전망이다. 그러나 시장규모는 줄어들었지만 가짜나 밀수품 등 불법용품의 비율은 더욱 커지고 있다.최근 들어서는 불법용품의 종류도 유명 외제에서 국산채로까지 확산되는 추세여서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정상적인 유통과정에서 잡힌 규모는 2,000억원이지만 불법용품까지 포함한 실제 규모는 5,000억원에달한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캘러웨이 공식 수입상인 한국캘러웨이골프(주)의 신두철부장은 “불법용품의 유통은 은밀하고 수시로 이뤄지기 때문에 정확한 규모 파악이 쉽지 않지만 그 비중은 50%선에서 70∼80%까지 점유율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한 예로 국산 브랜드인 랭스필드가 지난해 11월 실시한 외제클럽 보상교환행사 당시 접수된 200여개의 외제클럽 가운데 30%가 가짜였다.확인 안된 밀수품까지 포함하면 유통되고 있는 불법용품이 70%선에 이른다는 것이 골프용업계의 정설이다. 불법용품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소비자는 비교적 싼 값에 살 수있고 판매자는 세금 추적을 피할 수 있다는 점이다.판매자 입장에서는 또 세금을 피하며 큰 이익을 낼 수 있어 이익이 적은 주변용품보다는 이익이 큰클럽이 불법용품의 주종을 이루고 있기도 하다. 최근에는 일부 국산채마저 가짜가 유통되는 등 시장 형성을 왜곡시켜 소비자들의 피해도 커지고 있다.특히불법채의 범람은 가격 질서마저 파괴,최근들어 점유율을 높히고 있는 국산 업체에 치명적 손실을 입히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및 관계자들은 시급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이들은 “꾸준한 단속으로 불법용품이 판칠 수 밖에 없는 유통구조를 바로잡아야하며 골프용품에 부과하고 있는 지나친 특소세 등 세금 문제도 개선돼야 할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곽영완·김경운 kwyoung@

1999-01-08 1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