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 소리축제/任英淑 논설위원(外言內言)

보성 소리축제/任英淑 논설위원(外言內言)

임영숙 기자 기자
입력 1998-11-26 00:00
수정 1998-11-2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전남 보성은 영화 ‘서편제’의 무대이다. 지난 93년 개봉돼 한국 영화사상 최고의 흥행기록을 세운 이 영화 덕분에 이곳엔 관광객들의 발길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영화 무대에 대한 호기심이 그림같은 다도해의 풍광과 고즈넉한 보성차(茶)밭까지 연결돼 새로운 관광지를 탄생시킨 것이다.

그러나 국악인들에게 보성은 ‘서편제’ 이전부터 하나의 성지(聖地)였다. 판소리 서편제의 창시자인 박유전의 고향 강산마을이 보성에 있는데다 박유전의 소리를 이은 정응민이 보성군 회천면 도강마을에서 찾아오는 제자들을 가르쳐 오늘의 판소리 명창들로 길러냈기 때문이다.

도강마을을 거쳐간 소리꾼 가운데는 인간문화재 고 김연수를 비롯 정광수 조상현 성창순 성우향 조통달 등이 포함돼 있다. 역시 인간문화재였던 고 정권진은 정응민의 아들로 국악예술학교에서 20여년동안 수많은 제자들을 길러냈다. 정권진은 70년대 그를 찾아 온 당시의 운동권 소리꾼 임진택도 소리제자로 받아들였다.

판소리는 원래 동편제와 서편제,그리고 중고제로 그 유파가 나뉘지만 정응민의 문하에서 배운 소리꾼들은 자신들의 소리를 ‘보성소리’라고 부른다. 섬진강의 동쪽,즉 운봉·구례·순창등지에서 전승되어온 동편제와 경기도 충청도 지역의 중고제가 웅장하고 남성적인 우조(羽調)를 많이 쓰는 반면 섬진강의 서쪽,즉 보성·나주 등 전라도 서남지역에서 전승되어 온 서편제는 여성적이고 애절한 계면조(界面調)를 많이 쓴다. 그런데 보성소리는 서편제의 애틋함과 동편제·중고제의 꿋꿋함과 우렁참을 섞어 놓은 소리라는 것이다.

박유전의 서편제를 이은 정응민이 동편제의 김찬업,중고제의 이동백으로 부터 소리를 또 전수받아 융합한 결과라는 주장이다. 그래서 보성소리의 특징은 “여자가 우는듯한 세성(細聲)의 한스러운 소리를 통성(通聲)의 남성의 덜미소리로 강화시킨 소리”“서편제의 구성짐과 동편제나 중고제의 웅건함을 가미한 웅혼하고 섬세한 소리” 등으로 설명된다.

보성에 보성소리 전수관이 건립돼 그 개관기념 판소리 축제가 오는 28·29일 열린다는 소식이다. 인터넷을 통해 생중계될 이 축제에서는 정광수의 수궁가,박동진의 적벽가,조상현의 심청가,성창순의 춘향가,오정숙의 흥부가 등 이 펼쳐지는 ‘천하제일강산 판소리 명창무대’가 열리고 씻김굿과 승무의 인간문화재 박병천·이매방의 공연도 곁들여지며 초등학생부터 일반인까지 판소리 경연대회도 개최된다니 참으로 볼 만한 잔치가 될 듯 싶다. 아직도 보성에 못 가본 사람이라면 이번 주말엔 꼭 이곳을 찾을 일이다.
1998-11-26 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의 국민연금 개혁 방향은?
최근 연금개혁청년행동이 국민연금 개혁 방향과 관련해 어느 쪽에 중점을 둬야 하는지 여론조사를 실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미래 재정 안정을 우선시하는 ‘재정안정론’, 연금 수급액 확대를 중점으로 한 ‘소득보장론’, 그외에 ‘국민연금 폐지’ 등 3가지 안을 제안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재정안정론
소득보장론
국민연금 폐지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