渤海유적/任英淑 논설위원(외언내언)

渤海유적/任英淑 논설위원(외언내언)

임영숙 기자 기자
입력 1998-03-31 00:00
수정 1998-03-3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고구려 유민(遺民) 大祚榮이 말갈족을 규합해 맨 처음 나라(震)를 세운 곳이 동모산(東牟山)이다.이곳에 산성(山城)을 쌓고 14년만에 고구려 옛땅을거의 회복한 다음 국호를 발해(渤海)로 바꾼다.

발해의 첫 도읍지인 동모산의 산성은 반월형으로 당시 길이가 2천m를 넘었던 것으로 전해진다.이곳의 현재 이름은 성산자(城山子)산성.중국 길림성 돈화시 현유향 성산자촌에 자리잡고 있다.

지난 94년까지만 해도 윤곽을 알아볼 수 있었던 그 성산자산성이 지금 흔적조차 찾을 수 없을 만큼 파괴되었다고 연변일보가 보도했다.성산자촌의 주민들이 산성의 돌을 빼내 담장을 쌓고 집을 지은 탓이라고 한다.심지어 돼지우리나 화장실의 기초석까지도 이 산성에서 빼내온 돌로 돼 있다는 것이다.

1천300여년전 해동성국(海東盛國)으로 이름을 떨친 발해의 도읍지가 그토록 파괴되도록 방치한 것은 물론 중국 당국의 무관심 탓이다.세계에서 가장오랜 문명의 발상지중 하나인 중국에서 웬만한 문화재는 제대로 대접 받지못한다.중국에서는 명(明)대 도자기정도는 개밥그릇으로 쓰인다는 농담이 있을 정도다.역사가 짧은 미국에서 30년전 물건만 돼도 문화재 취급 받는 것과 대조적이다. 문화혁명을 거치며 중국인들이 귀중하게 여기던 문화재도 수없이 파괴된 터다.

게다가 중국 정부는 발해사를 한국사의 일부로 여기는 우리 학계의 태도에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발해가 중국의 변방 국가였지 한국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한·중 수교가 이루어지기전인 지난 89년 서울신문이 중국에 파견한 발해유적탐사반은 제대로 조사활동을 할 수 없을 만큼 감시를 받았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큰 책임은 우리에게 있다.문화재에 대한 중국의 무관심,발해에 대한 한·중간의 견해차이가 크다 할 지라도 발해 유적 보호에 우리가 적극적으로 나섰어야 했다.정부 차원의 문화외교와 함께 중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이 발해유적 보호를 위한 재정지원을 했더라면 이 지경에까지 이르지는 않았을 것이다.마침 외신은 프랑스 루브르박물관에 있는 모나리자 그림이 일본 TV사의 거액기부금으로 단독전시실을 갖게 됐다고 보도하고 있다.자랑스런 역사유적이 중국인의 화장실과 돼지우리로 전락하도록 방치한 못난 후손들을 채찍질하는 이야기로 들린다.
1998-03-31 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의 국민연금 개혁 방향은?
최근 연금개혁청년행동이 국민연금 개혁 방향과 관련해 어느 쪽에 중점을 둬야 하는지 여론조사를 실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미래 재정 안정을 우선시하는 ‘재정안정론’, 연금 수급액 확대를 중점으로 한 ‘소득보장론’, 그외에 ‘국민연금 폐지’ 등 3가지 안을 제안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재정안정론
소득보장론
국민연금 폐지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