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기 중엽 철제무기 등 2백여점/‘삼국 각축 밝힐 자료’ 평가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산 49의4 일대 고대 산상유적을 발굴중인 서울대 발굴단(단장 임효재 교수)은 이 유적이 온돌집과 매장간까지 갖춘 고구려 보루성(진지)임을 확인하고 귀족계층을 표시한 새김글씨 토기와 지금까지 출토 유례가 없는 반달모양의 철제무기를 포함한 200여점의 5세기 중엽 고구려 유물을 찾아내 3일 공개했다.
고구려 유적에 대한 남한 최초의 공식 발굴인 이번 발굴 출토품 가운데 새김글씨가 든 토기는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후부도라는 글씨가 든 명문토기에서 ‘후부도’는 고구려가 평양 천도이후 평양을 전·후·좌·우·중으로 나눈 5부중의 하나로 귀족들이 거주한 지역.평양 북부구역에 해당하는 후부도 귀족이 이 명문토기를 사용한 주인공이자 아차산 방위 담당자라는 결론이 나왔다.고구려가 이 지역에 귀족을 파견할만큼 중요시한 군사요새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길(□길)’이라는 글씨가 든 명문토기도 나왔는데 이는 토기 제작자의 이름으로해석했다.특히 철제무기류인 반달모양의 원형 철도끼는 처음 보는 무기류로 밝혀져 주목을 끌었다.이밖에 철기류로 정이나 끌같은 공구류와 호미·쇠솥·창·창고다리·갈고리창이 나왔다.또 항아리·대접·접시·시루·동이 등 무늬가 없는 토기류가 무더기로 출토됐다.
이 유적은 해발 285m의 산 봉우리에 자리잡았다.남북 70m·동서 20m의 말 안장 모양을 한 보루로,그 둘레를 잘 다듬은 돌로 6단 이상을 쌓아 올렸다.유적의 북쪽과 남쪽 봉우리 부분에는 온돌이 있는 6채의 집을 지었던 흔적이 그대로 남았다.온돌구조는 ‘ㄱ’자형 외골 고래로, 이같은 온돌구조는 고구려 도읍지였던 만주 집안에서 발굴된 적이 있다.이들 온돌 가운데 한 군데는 경사진 언덕에 설치한 것으로 미루어 야전 병기공장격인 대장간으로 보았다.실체 대장간으로 본 온돌 근처에서는 담금질을 했던 쇠붙이 유물이 많이 나왔다.
임효재 교수는 “이 유적은 한강 유역에서 정식으로 발굴조사한 최초의 고구려 유적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말하고 “한강유역을 둘러싼 삼국의 각축전양상을 밝힐 획기적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김성호 기자>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산 49의4 일대 고대 산상유적을 발굴중인 서울대 발굴단(단장 임효재 교수)은 이 유적이 온돌집과 매장간까지 갖춘 고구려 보루성(진지)임을 확인하고 귀족계층을 표시한 새김글씨 토기와 지금까지 출토 유례가 없는 반달모양의 철제무기를 포함한 200여점의 5세기 중엽 고구려 유물을 찾아내 3일 공개했다.
고구려 유적에 대한 남한 최초의 공식 발굴인 이번 발굴 출토품 가운데 새김글씨가 든 토기는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후부도라는 글씨가 든 명문토기에서 ‘후부도’는 고구려가 평양 천도이후 평양을 전·후·좌·우·중으로 나눈 5부중의 하나로 귀족들이 거주한 지역.평양 북부구역에 해당하는 후부도 귀족이 이 명문토기를 사용한 주인공이자 아차산 방위 담당자라는 결론이 나왔다.고구려가 이 지역에 귀족을 파견할만큼 중요시한 군사요새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길(□길)’이라는 글씨가 든 명문토기도 나왔는데 이는 토기 제작자의 이름으로해석했다.특히 철제무기류인 반달모양의 원형 철도끼는 처음 보는 무기류로 밝혀져 주목을 끌었다.이밖에 철기류로 정이나 끌같은 공구류와 호미·쇠솥·창·창고다리·갈고리창이 나왔다.또 항아리·대접·접시·시루·동이 등 무늬가 없는 토기류가 무더기로 출토됐다.
이 유적은 해발 285m의 산 봉우리에 자리잡았다.남북 70m·동서 20m의 말 안장 모양을 한 보루로,그 둘레를 잘 다듬은 돌로 6단 이상을 쌓아 올렸다.유적의 북쪽과 남쪽 봉우리 부분에는 온돌이 있는 6채의 집을 지었던 흔적이 그대로 남았다.온돌구조는 ‘ㄱ’자형 외골 고래로, 이같은 온돌구조는 고구려 도읍지였던 만주 집안에서 발굴된 적이 있다.이들 온돌 가운데 한 군데는 경사진 언덕에 설치한 것으로 미루어 야전 병기공장격인 대장간으로 보았다.실체 대장간으로 본 온돌 근처에서는 담금질을 했던 쇠붙이 유물이 많이 나왔다.
임효재 교수는 “이 유적은 한강 유역에서 정식으로 발굴조사한 최초의 고구려 유적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말하고 “한강유역을 둘러싼 삼국의 각축전양상을 밝힐 획기적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김성호 기자>
1997-11-04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