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아시아 문화유적 보전」 국제회의서 지적/앙코르와트,고층호텔 숲에 싸여/인도 아얀타·중국 돈황석굴 등 새 보전대책 절실
4대 문명발상지 가운데 3곳을 안고 있는 아시아는 찬란한 문화유적을 풍부하게 갖고 있다.한국이 자랑하는 천년고도 경주,캄보디아의 앙코르 와트,타이의 아유타야,인도네시아의 보로부두르,인도의 아얀타,파키스탄의 모헨조다로,중국의 돈황석굴,미얀마의 파간 등 아시아의 문화유적은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다.
그러나 경제적으로 서구에 뒤처졌다가 뒤늦게 개발에 눈뜬 아시아는 지금 맹렬한 경제성장을 통해 서구의 뒤를 쫓는데 열을 올리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중요한 문화유산들을 잃어가고 있다.지난달 아시아의 문화유적 보전을 위해 타이의 치앙마이에서 열린 국제회의는 아시아의 문화유적 상실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 주었다.
이 회의에서 가장 집중적인 토론이 벌어진 분야는 이들 문화유적지에 대한 관광개발이었다.경제개발을 위해 많은 외화가 필요한 아시아 각국은 문화유적지를 외국관광객들에게 개방,외화 벌이에서는 성공을 거두고 있으나 무분별한 관광으로 인한 문화유적 파손이 돌이킬 수 없을 만큼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는 지적들이 줄을 이었다.
동아시아와 동남아 국가들이 세계 제일의 경제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것처럼 이들 지역의 관광 성장 역시 세계 제일을 기록하고 있다.국내총생산(GDP) 가운데 관광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중국이 0.9%,일본 1.1%,한국 2.7%이며 말레이시아는 무려 4.4%에 이르고 있다.인도네시아는 지난해 46억달러의 관광수입을 올려 93년의 36억달러에 비해 25% 이상의 급증세를 기록했다.베트남도 지난 한해 1백만이 넘는 외국관광객들을 맞아들였다.
이같은 관광 호조에 개발을 앞세운 정부당국자들이 희희낙락하는 반면 문화보전론자들은 눈살을 찌푸리고 있다.적절한 보전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관광개발은 결국 문화유적의 파손을 가져와 장기적으로는 꿩도 매도 다 잃는 격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문화보전론자들은 파손이 가장 심각한 곳으로 캄보디아의 앙코르 와트를 꼽고 있다.11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 크메르제국의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던 앙코르 와트는 지금 관광객 유치를 위해 하루가 다르게 들어서는 고층 호화호텔들로 뒤덮일 지경이다.앙코르 와트는 또 심각한 반달리즘(문화파괴)의 피해가 가장 심한 곳이기도 하다.앙코르 와트 인근에 살고 있는 38세의 카에 춤씨는 『내가 어렸을 때만 해도 곳곳에서 조상(조상)을 볼 수 있었다.그러나 지금은 거의 찾기 힘들다』면서 변해버린 앙코르 와트의 모습에 분노하고 있다.
경제개발이 우선이냐 문화보전이 우선이냐는 논쟁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그러나 지금 아시아 각국에서의 문화유적 파손은 매우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과거의 문화유산들을 지키기 위한 조치들이 시급히 취해지지 않으면 값을 따질 수 없는 귀중한 문화유산들은 서서히 사라질 것이며 결국 관광객들의 발길도 끊어질 것이라고 이 회의는 결론짓고 있다.<유세진 기자>
4대 문명발상지 가운데 3곳을 안고 있는 아시아는 찬란한 문화유적을 풍부하게 갖고 있다.한국이 자랑하는 천년고도 경주,캄보디아의 앙코르 와트,타이의 아유타야,인도네시아의 보로부두르,인도의 아얀타,파키스탄의 모헨조다로,중국의 돈황석굴,미얀마의 파간 등 아시아의 문화유적은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다.
그러나 경제적으로 서구에 뒤처졌다가 뒤늦게 개발에 눈뜬 아시아는 지금 맹렬한 경제성장을 통해 서구의 뒤를 쫓는데 열을 올리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중요한 문화유산들을 잃어가고 있다.지난달 아시아의 문화유적 보전을 위해 타이의 치앙마이에서 열린 국제회의는 아시아의 문화유적 상실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 주었다.
이 회의에서 가장 집중적인 토론이 벌어진 분야는 이들 문화유적지에 대한 관광개발이었다.경제개발을 위해 많은 외화가 필요한 아시아 각국은 문화유적지를 외국관광객들에게 개방,외화 벌이에서는 성공을 거두고 있으나 무분별한 관광으로 인한 문화유적 파손이 돌이킬 수 없을 만큼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는 지적들이 줄을 이었다.
동아시아와 동남아 국가들이 세계 제일의 경제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것처럼 이들 지역의 관광 성장 역시 세계 제일을 기록하고 있다.국내총생산(GDP) 가운데 관광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중국이 0.9%,일본 1.1%,한국 2.7%이며 말레이시아는 무려 4.4%에 이르고 있다.인도네시아는 지난해 46억달러의 관광수입을 올려 93년의 36억달러에 비해 25% 이상의 급증세를 기록했다.베트남도 지난 한해 1백만이 넘는 외국관광객들을 맞아들였다.
이같은 관광 호조에 개발을 앞세운 정부당국자들이 희희낙락하는 반면 문화보전론자들은 눈살을 찌푸리고 있다.적절한 보전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관광개발은 결국 문화유적의 파손을 가져와 장기적으로는 꿩도 매도 다 잃는 격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문화보전론자들은 파손이 가장 심각한 곳으로 캄보디아의 앙코르 와트를 꼽고 있다.11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 크메르제국의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던 앙코르 와트는 지금 관광객 유치를 위해 하루가 다르게 들어서는 고층 호화호텔들로 뒤덮일 지경이다.앙코르 와트는 또 심각한 반달리즘(문화파괴)의 피해가 가장 심한 곳이기도 하다.앙코르 와트 인근에 살고 있는 38세의 카에 춤씨는 『내가 어렸을 때만 해도 곳곳에서 조상(조상)을 볼 수 있었다.그러나 지금은 거의 찾기 힘들다』면서 변해버린 앙코르 와트의 모습에 분노하고 있다.
경제개발이 우선이냐 문화보전이 우선이냐는 논쟁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그러나 지금 아시아 각국에서의 문화유적 파손은 매우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과거의 문화유산들을 지키기 위한 조치들이 시급히 취해지지 않으면 값을 따질 수 없는 귀중한 문화유산들은 서서히 사라질 것이며 결국 관광객들의 발길도 끊어질 것이라고 이 회의는 결론짓고 있다.<유세진 기자>
1995-02-0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