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민족청산”…「친일사전」만든다/반민족연구소 97년완간목표 대작업

“반민족청산”…「친일사전」만든다/반민족연구소 97년완간목표 대작업

김태균 기자
입력 1995-01-05 00:00
업데이트 1995-01-0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욕 역사 8백쪽짜리 25권에 담아/인명 2만5천명·단체 수백곳 망라

일제의 압제로부터 해방된 지 어느새 50년.

아직도 우리 생활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를 말끔히 청산하지 못한 씁쓸한 현실 탓에 광복 50주년을 맞는 새해 벽두부터 민간차원의 반민족문제연구소는 어느 단체보다도 바쁘게 한해를 열고 있다.

『일제잔재의 명쾌한 정리 없이는 선진화도,세계화도 불가능합니다』

을해년을 맞은 반민족문제연구소의 김봉우(45)소장은 새해인사도 다닐 겨를이 없이 책상위에 수북이 쌓인 친일파관계자료와 친일논문들을 정리하느라 눈코뜰 새가 없다.

적어도 올해안에 숙원사업인 「친일사전」의 골격을 잡아야 한다는 조바심과 사명감 때문이다.

『친일사전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 자체가 우리 민족의 불행이요,수치이지만 해방이후 반세기동안 지속돼온 역사의 치부를 더 이상 덮어둘 수만은 없는 일 아니겠습니까』

김소장의 반문처럼 반민족연구소 연구원들이 민간차원에서 오욕의 친일역사를 정리해 역사의 물꼬를 바로잡겠다는 당찬 포부을 갖고 연구소문을 연 것은 91년.

처음엔 모두 고개를 갸우뚱했으나 뜻을 같이 하는 대학교수 10여명이 참여하면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곧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 주택가 20평남짓한 공간에 정식으로 연구소간판을 달았다.

또 「친일파99인」「청산하지 못한 역사」등의 관계서적등을 출간해 세간에 친일역사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는 밑거름을 다지기도 했다.

친일사전 발간은 그중에서도 이 연구소의 설립기반이라 할 만큼 역점을 두고 있는 사업이다.

사전은 친일인사와 단체,친일을 부추긴 그릇된 이론및 역사적 평가등을 모두 담아 권마다 8백여쪽짜리 25권의 전집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15권은 인명편으로 구한말 우리의 국권을 일본에 넘겨준 을사오적에서부터 친일관료·경찰·군인등에 이르기까지 친일인사 2만5천명을 망라할 예정이다.또 다른 5권은 일진회·조선임전보국단등 수백여개의 친일단체및 식민사관등 친일이념을 따로 모은 「단체·이념편」으로 인명과 함께 이 사전의 기본골격을 이루게 된다.

나머지 5권은 조선총독부 공식문서와 반민족재판기록,친일인사의 일기·논설등 저작물,프랑스등 외국의 반민족자처벌사례등 1,2차사료만을 따로 모은 참고자료의 성격을 띤다.

현재 자료정리가 한창인 이 작업은 그야말로 우리의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침투한 「친일」과 그 이후 반세기동안 이어져온 「친일잔재」에 대한 총정리인 셈이다.

오는 광복절안으로 자료수집과 정리작업을 마치고 그뒤 1천여 필자를 동원해 집필작업에 착수,97년 완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4년동안 친일파와 관련된 자료및 정보수집을 위해 일본정부 문서보관실과 박물관은 물론 국내 산간오지등 돌아다니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한길만을 걸어온 김소장은 『지금 청산에 나서지 않으면 일제잔재청산은 역사의 심판에 맡기자는 상투어구 속에 묻혀버리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김태균기자>
1995-01-05 21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