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신소재가 21C 원동력”/미래학자 대니얼 벨 전망

“기초과학·신소재가 21C 원동력”/미래학자 대니얼 벨 전망

입력 1994-01-11 00:00
수정 1994-01-1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통일 5년내 이뤄지면 큰충격 없을듯/대학교육은 국가진퇴 가름… 과감한 투자를

미국의 사회학자이며 미래학분야의 석학인 대니엘 벨박사(74·하버드대 명예교수)는 10일 KBS­1TV가 신년기획시리즈로 마련한 「세계석학에게 듣는다」프로에 출연,서울대 김경동교수(사회학)와의 대담을 통해 「미래의 기술산업」이란 주제로 21세기에 한국이 선택해야할 문제들을 전망했다.벨교수의 대담내용을 요약한다.

경제나 기술,민주화의 정도 등을 포괄하는 세계문명의 중심이 서쪽으로 옮겨 간다는 설이 있다.경제의 경우 미국에서 태평양연안국가로 파급되는 것이 눈에 보인다.그러나 기술의 발달은 방향을 잡기 힘들지만 일단 하나의 기술이 개발되면 곧 세계로 확산되곤 했다.

예를들어 20세기 전반의 컴퓨터·통신·전자 등 물리학의 혁명은 독일에서,20세기 후반 생물학의 혁명은 영국에서 비롯됐지만 이렇게 시작된 과학기술은 모두 전세계로 급속히 확산됐다. 아시아 국가들엔 아직 상당한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민주화를 보면 일본의 경우 2차대전후에 유사민주주의체제를 유지하고 있고,한국은 그동안 군사정권이었다가 이제야 문민정부가 들어서 민주화에 노력하고 있다.중국은 독재국가이고 싱가포르 또한 강력한 1인 통치국가이다.따라서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아시아국가들은 민주주의실현을 위해 많은 문제들을 겪게 될 것이다.

미래의 사회상을 예측한다는 것은 흥미롭다.기술의 변천을 살피면 미래사회를 전망할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결코 기술이 사회상을 결정할 수 없다는 점이다.기술은 사회변화를 재촉하는 동력일 뿐이기 때문이다.

한국과 일본등 아시아국가들은 지난 25년간 이 기술을 잘 이용해 왔지만 아프리카는 아직 이용능력조차 없다.따라서 중요한 것은 시대가 요구하는 기술의 변화와 기술혁명의 본질을 알아서 발전시키고 활용하는 능력을 키우는 일이다.

이제 막 일어나고 있는 기술혁명에는 2가지 속성이 있다.하나는 이론적 기초지식의 발달이고 다른 하나는 신소재기술을 발전시켜야 한다.20세기 물리학과 생물학의 진전은 전자·통신·컴퓨터등 산업을 발전시켰고 의학과 농업기술의 혁명을 가져왔다.또 합금이나 합성을 통해 만들어내는 신소재의 개발은 21세기를 이끌어갈 원동력이 될 것이다.

일단 기술이 개발되면 규격화가 필수적이다.그래야 세계로의 보급이 쉽기 때문이다.이런 기술은 노동력이 싼곳으로 이동하게 마련이다.

예를들면 미국의 섬유와 자동차산업이 일본으로 건너갔고 이제는 한국으로 이동하는 중이다.벌써 한국에서도 비슷한 과정을 겪고 있을 것이다.단지 일본이 새로운 기술을 한국에 건네주길 꺼려 갈등을 빚고 있긴 하지만.

어쨌든 한국에서도 섬유제품과 자동차가 규격화단계에 이른이상 이론적으로 이들 산업은 보다 노동력이 싼 태국이나 말레이시아쪽으로 옮겨갈 전망이다.

산업구조를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바꾸면서 경제성장을 계속하려면 예를 들어 컴퓨터산업중 소프트웨어산업같은 것을 중점육성해야 한다.컴퓨터프로그램은 사회가 다양해질수록 그만큼 많이 필요해진다.

컴퓨터하드웨어를 중심으로 큰 IBM이 흔들리는 것은 미국내 2천여개의 작은 컴퓨터프로그램회사에 밀린 탓이다.이제 가능성있는 분야는소프트웨어밖에 없다.

산업구조가 변하면서 제조업에 종사하던 사람들이 대거 일자리를 잃고 새로운 분야에 대한 직종이 생겨난다.변화의 시대에는 실업사태를 해결하는 문제와 특히 교육의 개선이 중요하다.

한국의 국민학교와 중·고생의 수준은 우수하다.그러나 대학에 들어가면 재정지원이 부족한지,교육기관이 관료화된 탓인지 중·고생때 실력이 산산조각나고 있는 것같다.

한국은 21세기를 눈앞에 두고 대학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투자를 좀더 늘려야 한다.과학기술은 이론적인 지식에 의해 발전되기 때문이다.멀지않아 한국의 교육당국도 대학교육구조에 관심을 쏟고 대학원교육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교육제도를 개선할 것으로 본다.미국을 강대국으로 만든 것은 연구활동이 활기찬 50여개의 대학덕분이다.이제 교육이야말로 국가의 진퇴를 가름할 잣대이기 때문에 교육에 대한 투자없이 국가발전은 기대할 수 없다.

한국의 가장 큰 문제는 늘 그렇듯이 통일이다.동독의 경우 뒤를 받쳐주던 러시아가 붕괴되면서 별수없이 무너졌다.북한은 중국의 원조를받아왔다.그러나 최근 중국이 서서히 도움을 중단하는 바람에 북한은 고립되고 있다.북한이 더 고립된다면 그들이 갖고있는 무기는 아마도 핵밖에 없을 것이다. 또 어떤 방법으로 통일되느냐에 따라 한국의 민주화는 그 방향이 달라질 것이다.전쟁이나 분쟁끝에 통일되면 군사정권이 다시 들어설 것이다.독일처럼 흡수통일이 된다면 경제기반이 약한 북한을 돕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은 독일과는 달리 경제성장기에 있어 유리한 점이 많다.독일은 통일당시 경제침체기여서 동독의 유휴노동력이나 인플레를 해결하지 못했다.한국이 만약 5년내 통일을 이룬다면 그때도 여전히 팽창경제를 누리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서독처럼 큰 어려움을 겪지 않을 것이다.

한국통일에서 가장 큰 문제는 중국의 태도이다.중국은 21세기의 의문이기도 하다.특히 11억의 인구와 고도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는 중국은 등소평사후의 향방을 전혀 짐작할 수 없어 한국통일에 더욱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할 것같다.<육철수기자>
1994-01-1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