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환예정 임정요인 5인

봉환예정 임정요인 5인

입력 1993-05-28 00:00
수정 1993-05-2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신규식(1880∼1922)을사조약 때 죽음으로 항거하려고 음독했다가 오른쪽 눈을 실명했다.1911년 중국으로 망명해 손문의 신해혁명에 참여했다.1919년에는 임시정부의 의정원 부의장에 선출됐으며 법무총장,국무총리겸 외무총장을 역임했다.1922년 임시정부 안에 내분이 생기자 조국의 장래를 근심하며 25일간 단식을 계속하다 목숨을 끊었다.

◇박은식(1859∼1926)황성신문,대한매일신보의 주필로 민족사상을 고취하다 3·1운동때 시베리아로 망명,항일운동을 전개하며 고대사 발굴과 저술에 힘썼다.그후 상해로 건너가 독립신문등을 발간하였고 1925년에는 임시정부의 국무총리에 피선됐다.26년에는 대통령이 되었다가 헌법의 개정으로 대통령직에서 물러난뒤 그해 11월 병사했다.

◇노백린(1874∼1925)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뒤 한국무관학교등에서 후진양성에 진력했다.경술국치때 낙향하여 교육운동에 전념하다 3·1운동이 일어나자 상해로 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무총장을 맡았고,국무총리도 역임했다.1925년5월에는 참모총장이 되어 독립군 양성에 헌신했다.그 뒤 미국으로 건너가 워싱턴 구미위원부의 외교위원으로 소련에 파견돼 외교활동을 벌였다.

◇안태국(?∼1920)1905년 을사조약후 평양에서 협동사 건립,실업구국운동에 종사했으며 이승훈 최응두등과 상민공동회를 조직했다.1907년 안창호선생등이 창립한 신민회에 가입,최고위간부로 활동하다 일제의 신민회탄압으로 1911년 검거돼 5년간 복역한뒤 출옥,만주로 망명했다.3·1운동이후에는 독립운동 단체들의 통합을 추진하기 위해 임시정부와 협의차 상해로 갔다가 1920년2월 병사했다.

◇김인전(1876∼1923)1920년2월 상해로 망명한뒤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의정원의원과 부의장,임시정부 국무원 학무총장대리,임시의정원 전원위원장등 임시정부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1922년에는 제4대 의정원의장에 선임돼 입법활동과 독립운동의 방향을 계획·실천했다.김구·여운형등 16명과 함께 군인양성과 독립전쟁의 비용조달을 목적으로 한국로병회를 결성,인재육성에 앞장섰다.

1993-05-28 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