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도로교통안전협회는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교통사고줄이기 범국민대회」라는 행사를 가졌다.국민대회라는 것이 자주 쓰이는 표현이어서 또 하나의 국민대회인가라는 인상도 주었을지 모른다.그러나 「교통사고줄이기」는 낯익었다는 감각의 영역에 있는 문제가 아니다.나 자신이 오늘 언제 당할지 모르는 내 생명의 구체적 사활의 문제이다.어떤 계기를 마련해서가 아니라 스스로가 매일 한번씩 염두에 두어야 할일이다.
이 대회에는 국무총리도 참석하여 지난해 교통사고로 1만2천8백여명이 숨지고 32만명이 부상한 것은 자동차보유율 기준으로 선진국과 비교해 10배가 넘는 수치임을 지적하고,정부는 96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30% 줄이기 위해 5개년계획을 시행하고 있음을 상기 시켰다.물론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일이다.하지만 이 목표에 무난히 도달할것 같은 징조는 아직도 너무 미약하다.올해 들어서 지난 4월말까지만 해도 교통사고사망자는 3천7백80명,부상자수는 9만2천명을 넘어섰다.지난해와 대비해 오히려 늘어나는 추세의 수치이다.따라서 좀 더 실질적이고 체감적인 운동방법들을 찾아야 할것 같다.교통부가 1일,앞으로 택시내에 소형TV나 자동반주노래장치(가라오케)등을 달고 다니는 행위에 대해 이를 전면 제거토록한 조치같은 것은,언뜻 보면 작은 일들 같지만 그렇지 않다.우리의 교통도덕이나 질서에 대한 평균적인 의식은 너무 무심한 것이어서 이런 사소해 보이는 조건들을 보다 직접적으로 규제해 나가는 것이 도움을 줄수 있다.그러고 보면 영업용차들이 자유롭게 틀고 다니는 라디오의 음양도 문제가 된다.거리의 소음도가 높으므로 차내 음도도 높이게 마련인데 이는 때로 운전기사와 승객의 의사소통까지 불가능하게 할때가 있다.이 음폭속에서 운전자가 사고대비까지 하기란 어려운 것이다.
교통사고란 결국 운전자와 보행자가 각각 규칙을 어떻게 지키느냐에서 발생하는 것이다.따라서 사고줄이기도 운전자와 보행자가 어떻게 더 잘 규칙을 지킬수 있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그러므로 이를 위한 접근의 첫번째는 운전면허제도에 있다.현재의 운전면허제도는 그저 합격과 불합격을쉽게 구분하려는 것으로만 운영된다.운전숙달이나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어떤 도움도 주지 않는 제도이다.
일상적 교통교육도 형식적으로는 시작돼 있다.국민학교 때부터 교통안전교육을 해야한다는 것은 누구의 반대도 받지 않는 하나의 결론이다.그러나 안전교육의 내용들은 도식적이다.이 역시 규격화된 교과서가 아니라 우리의 현실과 현장에 맞는 설득력으로 표현이 돼야 한다.우리의 윤화에서 52%는 보행자 사고이다.이는 곧 차가 사람을 비켜가겠지하는,차가 적던 시대의 관념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난폭운전자가 더 많은 현실에서는 난폭운전을 어떻게 피해야 하는가를 더 잘 알려주는게 도움이 된다.
그리고 합의 된 규칙들의 시행에 있어 예외를 만들지 말아야 한다.특히 우리처럼 나만은 질서를 눈감아도 된다는 감각이 큰 사회에서는 규칙의 균등한 엄격 적용만이 이 병폐를 고칠수 있다.이것은 또 교통경찰의 의무이다.
이 대회에는 국무총리도 참석하여 지난해 교통사고로 1만2천8백여명이 숨지고 32만명이 부상한 것은 자동차보유율 기준으로 선진국과 비교해 10배가 넘는 수치임을 지적하고,정부는 96년까지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30% 줄이기 위해 5개년계획을 시행하고 있음을 상기 시켰다.물론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일이다.하지만 이 목표에 무난히 도달할것 같은 징조는 아직도 너무 미약하다.올해 들어서 지난 4월말까지만 해도 교통사고사망자는 3천7백80명,부상자수는 9만2천명을 넘어섰다.지난해와 대비해 오히려 늘어나는 추세의 수치이다.따라서 좀 더 실질적이고 체감적인 운동방법들을 찾아야 할것 같다.교통부가 1일,앞으로 택시내에 소형TV나 자동반주노래장치(가라오케)등을 달고 다니는 행위에 대해 이를 전면 제거토록한 조치같은 것은,언뜻 보면 작은 일들 같지만 그렇지 않다.우리의 교통도덕이나 질서에 대한 평균적인 의식은 너무 무심한 것이어서 이런 사소해 보이는 조건들을 보다 직접적으로 규제해 나가는 것이 도움을 줄수 있다.그러고 보면 영업용차들이 자유롭게 틀고 다니는 라디오의 음양도 문제가 된다.거리의 소음도가 높으므로 차내 음도도 높이게 마련인데 이는 때로 운전기사와 승객의 의사소통까지 불가능하게 할때가 있다.이 음폭속에서 운전자가 사고대비까지 하기란 어려운 것이다.
교통사고란 결국 운전자와 보행자가 각각 규칙을 어떻게 지키느냐에서 발생하는 것이다.따라서 사고줄이기도 운전자와 보행자가 어떻게 더 잘 규칙을 지킬수 있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그러므로 이를 위한 접근의 첫번째는 운전면허제도에 있다.현재의 운전면허제도는 그저 합격과 불합격을쉽게 구분하려는 것으로만 운영된다.운전숙달이나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어떤 도움도 주지 않는 제도이다.
일상적 교통교육도 형식적으로는 시작돼 있다.국민학교 때부터 교통안전교육을 해야한다는 것은 누구의 반대도 받지 않는 하나의 결론이다.그러나 안전교육의 내용들은 도식적이다.이 역시 규격화된 교과서가 아니라 우리의 현실과 현장에 맞는 설득력으로 표현이 돼야 한다.우리의 윤화에서 52%는 보행자 사고이다.이는 곧 차가 사람을 비켜가겠지하는,차가 적던 시대의 관념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난폭운전자가 더 많은 현실에서는 난폭운전을 어떻게 피해야 하는가를 더 잘 알려주는게 도움이 된다.
그리고 합의 된 규칙들의 시행에 있어 예외를 만들지 말아야 한다.특히 우리처럼 나만은 질서를 눈감아도 된다는 감각이 큰 사회에서는 규칙의 균등한 엄격 적용만이 이 병폐를 고칠수 있다.이것은 또 교통경찰의 의무이다.
1992-05-0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