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축제­「사천왕사 왔소」(사설)

문화축제­「사천왕사 왔소」(사설)

입력 1990-08-21 00:00
수정 1990-08-2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왔소,왔소』를 외치며 한반도도래인들의 후예들이 시가지를 누빈 「사천왕사 왔소」 축제가 일본의 오사카시에서 열렸다. 미개한 섬나라 왜국에 문명을 전해준 고대 한인들의 모습을 재현해 본 이 축제행렬에 설움 많은 재일한국인 동포들이 신명이 난 것은 물론이고,도로연변서 구경을 하던 일인들조차 놀라워하며 덩달아 『왔소!』를 화답했다고 한다.

『사천왕사 왔소』 행렬에는 왕인박사가 등장하고,담징이 나오고,혜자스님도 나오고,원효대사에 세종대왕 어가행렬까지 나오고 끝이 났다. 사람들의 지능이 종교를 이해할 만큼 못되어 있던 서기 538년,일본에 백제의 성왕이 불상과 경전을 보낸 것이 그 땅에 불교가 전파된 처음이었다. 기와를 얹어 절간을 짓는 놀랍고 혁명적인 문화를 지원한 것도 한반도 삼국이 한 일이다. 혜자스님은 서기 600년대 일본 청황가의 섭정이던 성덕태자의 불법스승이었다. 오늘날 일본 화폐에 새겨진 성덕태자가 바로 그 성덕태자다.

담징은 고구려스님. 일본에 건너가 물감이며 먹만드는 법을 가르쳤다. 그는 일본화단의 개척자인 것이다. 왕인박사는 누구인가. 백제사람인 왕인박사가 「논어」와 천자문을 가지고 건너간 것이 일본에 책이 나타난 시초라고 한다. 그것은 일본사서의 기록이다. 어떤 민족의 문명과 미개를 구분하는 것은 문자를 쓰고 안쓰는 데 있다. 일본에 책을 시작해주고 유교를 전해준 것이 한국이고 보면 일본을 문명하게 한 이웃은 한국이다. 의학 역학 천문 지리 점술까지,전문가가 건너가 교대로 가르쳤고 농업기술 관개시설,누에치고 비단짜고 재봉하는 기술까지 한국서 모셔간 전문가들에게 배웠다.

그것은 참으로 오래 이어진 정신문화의 전파였다. 1719년에 조선통신사로 일본을 다녀온 신유한공의 기술에 의하면 『사관에는 연일 만나보려고 오는 자가 잇따라 시를 부르고 화답과 필담을 주고 받느라고 한가한 틈이 없고 시문집의 서문이니 화제,찬을 쓰고 낙관하도록 청원하는 사람들로 붐벼 겨를이 없게 하였다』고 적고 있다. 조선에서 간 통신사 일행을 일본인들이 선진지식인으로 선망했던 정도를 짐작하게 한다.

우리가 문화의 전파자로서 긍지를 갖자는 것은 옛날옛적에 흘러간 역사에서 우월감을 소생시켜 현재의 자격지심을 보상받으려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도 안된다. 문화적인 여명기인 일본을 선도하며 우리 조상들이 취했던 그 고상한 행동을 되새겨 보자는 것이다. 그 시절 우리 조상들은 세속적 이해에 초연하여 영원한 가치를 직시하면서 일본문화의 길잡이가 되었었다. 「모나리자의 미소」가 따를 수 없는 영원하고 신비한 미소를 지닌 백제관음과,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은 무한히 순화할 수 있는 인간정신의 경지를 나타내고 있다. 우리 조상들이 일본에 전해준 정신문화의 실체를 그들이 표상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은 비록 떠들썩한 축제로 잊혀진 것을 되살리려 하고 있지만 일본문화의 지하수가 되어 흐르고 있는 한문화의 정수는 고결하고 영원한 것이다. 우리의 긍지는 거기서 연원한다. 우리에게서 이미 일실되어온 그 정수를 복원하고 당당한 이웃의 자리를 닦는 일이 앞으로 더욱 공들일 일이기도 하다.
1990-08-21 2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의 국민연금 개혁 방향은?
최근 연금개혁청년행동이 국민연금 개혁 방향과 관련해 어느 쪽에 중점을 둬야 하는지 여론조사를 실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미래 재정 안정을 우선시하는 ‘재정안정론’, 연금 수급액 확대를 중점으로 한 ‘소득보장론’, 그외에 ‘국민연금 폐지’ 등 3가지 안을 제안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재정안정론
소득보장론
국민연금 폐지
모르겠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