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올해는 침체주기”/전문가들이 말하는 시장 전망

부동산 “올해는 침체주기”/전문가들이 말하는 시장 전망

입력 1990-01-04 00:00
업데이트 1990-01-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물량공세로 값 전반적 안정/하반기엔 미분양도 속출아파트/공개념에 땅 투기도 진정토지

새해 부동산 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하반기 들어 침체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대부분의 부동산 문제 전문가들은 올 한햇동안 사상 최대규모인 45만 가구의 주택건설이 추진되고 있는데다 토지공개념 확대도입 및 종합토지세제 시행 등으로 거래가 전반적으로 위축되면서 아파트는 약세,토지는 보합 내지 강보합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또 주기적으로 침체기에 접어들 시기이고,경기둔화 요인까지 가세하고 있어 동산시장이 침체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 일반적인 분석이다.

올해 아파트 시장은 지난해와 상황이 크게 뒤바뀌어 풍부한 물량공급으로 투기바람이 자취를 감출것으로 예상된다. 올 한햇동안에 공급될 아파트는 공공부문에서 14만가구,민간업체 건설 21만가구 등 무려 35만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지역에 2만가구, 분당 등 5개 신도시 건설지역에 6만8천5가구 등 서울과 수도권지역에서만 8만가구가 넘는 아파트가 쏟아져나올 전망이다.

이호일 부동산 중개업협회 회장은 신규 아파트가 이같이 대량으로 공급되고 현재 기존 아파트값이 너무 많이 올라있기 때문에 앞으로 아파트값이 오를 요인은 없고 떨어질 가능성이 더 많다고 말했다. 최승진 우성건설 사장도 올 하반기부터 신도시 아파트가 본격적으로 분양되면 비인기 지역에서는 미분양 사태가 속출하고 아파트값이 더 하락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토지는 전반적으로 보합세를 보이겠지만 토지공개념 확대 도입시행의 강도 여하와 남북교류 재개여부 등에 따라 일부지역에서는 오름세를 나타낼 가능성이 많다는 지적들도 있다. 오진모 대한 부동산학회 회장은 혁신적인 토지공개념이 확대 도입되고 부동산 경기 순환주기로 보아 침체국면에 접어드는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땅투기가 크게 진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토지공개념 확대도입에 따른 후속조치가 미흡할 경우 택지 상한제가 실시되지 않는 6대 도시 이외의 지역에서는 투기가 재연될 가능성이 적지않다고 지적했다. 또 서울 강남에서 부동산 중개업을 하는 하영수씨는 남북교류가 다시 추진될 경우 동해안 및 한수 이북지역,신개발지역,일부 임야지역의 땅값이 고개를 들것이라고 전망했다.
1990-01-04 5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