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연재 3년간 해제작업 박성수교수는 말한다/1834∼1950년 5대 걸쳐 쓴 한문기록/예천 박씨가문 일기… 연재후 보물지정/“근세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
「저상일월」이 마침내 두 권의 책으로 묶여져 나왔다.
「저상일월」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대저동 큰맛질이라는 선비마을에 사는 박씨 집안이 18 34년부터 19 50년 초까지 5대에 걸쳐 4만2천7백5일을 하루도 빼놓지않고 쓴 대하일기.서울신문에 연재되기 시작한 19 90년1월4일부터 지난 1월21일 1백28회로 끝마칠 때까지 내내 장안의 화제를 몰고 온 우리들의 할아버지와 할머니,아버지와 어머니의 생활사이다.
한문으로 씌어진 방대한 분량의 이 일기를 번역하고 역사학의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해 완벽한 한국근대사회사로 복원해 낸 사람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 박성수교수이다.그는 『연재된 3년동안 매주 원고마감일을 앞두고는 「저상일월병」을 앓을 정도로 어려움을 겪었다』고 회고하고 『지금 생각해 보면 아찔할 뿐』이라면서 고개를 저었다.
『5대에 걸쳐 무려 1백17년동안 쓴 일기가 있다는 소리를 듣고 처음에는 거짓말이라 여겼습니다.동양이고 서양이고 그 어디에도 그런 예가 없었기 때문이지요』
박교수는 「저상일월」이 담고 있는 내용의 가치는 차치하더라도 이렇게 오랜 기간 쓴 일기가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기네스북에 올라야 할 것이라면서 웃었다.사실 묻혀있던 「저상일월」은 서울신문의 발굴로 연재가 시작된뒤 보물 제10 08호로 지정되기도 했다.
『일기는 쓰는 사람의 지적 수준이나 관심사에 따라 내용이 다양하게 마련이지요.또 쓰는 이가 어느 지방 어떤 신분의 사람이냐에 따라서도 일기에 대한 가치평가가 달라질수 밖에 없어요.「저상일월」이 높이 평가되는 것은 단순한 사가의 기록이 아니라 나라일을 적은 역사이기도 하다는 점이지요.그런 점에서 「저상일월」은 우리 일기문학의 금자탑이자 역사상 가장 나중에 나온 편년체 역사기술이라 할만합니다』
「저상일월」은 쓴 가계는 1대 미산 박득령에서 2대 나암 박주대,3대 문파 박면진,4대 동리 박희수,5대 매헌 박영래로 이어진다.
박교수는 이들의일기를 해제하는 작업을 통해 근대 1백년사에 있어서 우리들이 겪어야 했던 고난을 우리 민족의 값진 교훈으로 남겨두자는 것을 말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요즘 젊은이들은 할아버지 아버지의 어려웠던 시절 이야기를 믿어주지 않아요.나라가 망하고 양식까지 빼앗겨 만주로 쫓겨가던 시대의 고난을 까맣게 잊어버리고 마치 이 시대가 8·15 이후에 갑작스레 생겨난 것인양 착각하지요.이러한 역사적 건망증이 다음 세대의 앞날을 불안하게 합니다.아무리 귀중한 고생이라도 쉽게 잊어버릴 때 그것은 아무런 도움이 안됩니다』
박교수가 말하고자 하는 또 하나는 불행했던 우리 근대사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사람은 다른사람이 아닌 바로 우리들 자신이라는 것이다.
『우리 근대사에는 두번의 큰 개혁정치가 있었습니다.대원군의 유신정치와 이용익의 광무개혁이 그것이지요.그러나 모두 실패했어요.이 두 개혁이 성공을 거두었더라면 나라가 망하지 않았을는지도 몰라요.이렇게 된 책임은 한두사람에게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당대 국민 모두에게 고루 지워져야마땅합니다』
「저상일월」을 쓴 사람들은 바로 이런 역사를 관통해 살아갔고 일기에는 그 「고난시대」와 「개혁시대」의 사회상이 육성으로 울리고 있다는 것이다.
『고종 6년인 18 69년1월 일기에는 대원군이 서원을 철폐하자 사림들이 통탄해 마지 않았다는 기록이 나옵니다.대원군은 결국 이 과격한 개혁정치로 실각하고 말았지요.그때가 18 73년 입니다.올해와 같은 계유년이지요.우연의 일치라고만 볼수는 없습니다.대원군이 권좌에서 물러난 대목은 두고두고 후대 위정자들에게 산 교훈이 되고 있습니다.「개혁은 신중하게 하라」는 것이지요』
「저상일월」은 아직 끝나지 않은 일기이다.현재도 대를 잇고 있는 박정로씨가 선대의 유업에 따라 7대째 일기를 계속 적고 있다.또 이 집안의 가계부인 「저상일용」도 남아있어 이 시기의 사회경제사 연구의 과제가 되고 있다.박교수의 할일도 아직 끝나지 않은 셈이다.<서동철기자>
「저상일월」이 마침내 두 권의 책으로 묶여져 나왔다.
「저상일월」은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대저동 큰맛질이라는 선비마을에 사는 박씨 집안이 18 34년부터 19 50년 초까지 5대에 걸쳐 4만2천7백5일을 하루도 빼놓지않고 쓴 대하일기.서울신문에 연재되기 시작한 19 90년1월4일부터 지난 1월21일 1백28회로 끝마칠 때까지 내내 장안의 화제를 몰고 온 우리들의 할아버지와 할머니,아버지와 어머니의 생활사이다.
한문으로 씌어진 방대한 분량의 이 일기를 번역하고 역사학의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해 완벽한 한국근대사회사로 복원해 낸 사람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 박성수교수이다.그는 『연재된 3년동안 매주 원고마감일을 앞두고는 「저상일월병」을 앓을 정도로 어려움을 겪었다』고 회고하고 『지금 생각해 보면 아찔할 뿐』이라면서 고개를 저었다.
『5대에 걸쳐 무려 1백17년동안 쓴 일기가 있다는 소리를 듣고 처음에는 거짓말이라 여겼습니다.동양이고 서양이고 그 어디에도 그런 예가 없었기 때문이지요』
박교수는 「저상일월」이 담고 있는 내용의 가치는 차치하더라도 이렇게 오랜 기간 쓴 일기가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기네스북에 올라야 할 것이라면서 웃었다.사실 묻혀있던 「저상일월」은 서울신문의 발굴로 연재가 시작된뒤 보물 제10 08호로 지정되기도 했다.
『일기는 쓰는 사람의 지적 수준이나 관심사에 따라 내용이 다양하게 마련이지요.또 쓰는 이가 어느 지방 어떤 신분의 사람이냐에 따라서도 일기에 대한 가치평가가 달라질수 밖에 없어요.「저상일월」이 높이 평가되는 것은 단순한 사가의 기록이 아니라 나라일을 적은 역사이기도 하다는 점이지요.그런 점에서 「저상일월」은 우리 일기문학의 금자탑이자 역사상 가장 나중에 나온 편년체 역사기술이라 할만합니다』
「저상일월」은 쓴 가계는 1대 미산 박득령에서 2대 나암 박주대,3대 문파 박면진,4대 동리 박희수,5대 매헌 박영래로 이어진다.
박교수는 이들의일기를 해제하는 작업을 통해 근대 1백년사에 있어서 우리들이 겪어야 했던 고난을 우리 민족의 값진 교훈으로 남겨두자는 것을 말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요즘 젊은이들은 할아버지 아버지의 어려웠던 시절 이야기를 믿어주지 않아요.나라가 망하고 양식까지 빼앗겨 만주로 쫓겨가던 시대의 고난을 까맣게 잊어버리고 마치 이 시대가 8·15 이후에 갑작스레 생겨난 것인양 착각하지요.이러한 역사적 건망증이 다음 세대의 앞날을 불안하게 합니다.아무리 귀중한 고생이라도 쉽게 잊어버릴 때 그것은 아무런 도움이 안됩니다』
박교수가 말하고자 하는 또 하나는 불행했던 우리 근대사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사람은 다른사람이 아닌 바로 우리들 자신이라는 것이다.
『우리 근대사에는 두번의 큰 개혁정치가 있었습니다.대원군의 유신정치와 이용익의 광무개혁이 그것이지요.그러나 모두 실패했어요.이 두 개혁이 성공을 거두었더라면 나라가 망하지 않았을는지도 몰라요.이렇게 된 책임은 한두사람에게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당대 국민 모두에게 고루 지워져야마땅합니다』
「저상일월」을 쓴 사람들은 바로 이런 역사를 관통해 살아갔고 일기에는 그 「고난시대」와 「개혁시대」의 사회상이 육성으로 울리고 있다는 것이다.
『고종 6년인 18 69년1월 일기에는 대원군이 서원을 철폐하자 사림들이 통탄해 마지 않았다는 기록이 나옵니다.대원군은 결국 이 과격한 개혁정치로 실각하고 말았지요.그때가 18 73년 입니다.올해와 같은 계유년이지요.우연의 일치라고만 볼수는 없습니다.대원군이 권좌에서 물러난 대목은 두고두고 후대 위정자들에게 산 교훈이 되고 있습니다.「개혁은 신중하게 하라」는 것이지요』
「저상일월」은 아직 끝나지 않은 일기이다.현재도 대를 잇고 있는 박정로씨가 선대의 유업에 따라 7대째 일기를 계속 적고 있다.또 이 집안의 가계부인 「저상일용」도 남아있어 이 시기의 사회경제사 연구의 과제가 되고 있다.박교수의 할일도 아직 끝나지 않은 셈이다.<서동철기자>
1993-07-0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