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獨출신 교황의 아우슈비츠 참회

[사설] 獨출신 교황의 아우슈비츠 참회

입력 2006-05-30 00:00
수정 2006-05-3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독일 출신의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엊그제 독일 나치정권에 의해 홀로코스트(유대인 대학살)가 자행된 폴란드 아우슈비츠 수용소를 방문한 것은 진정한 사과가 무엇인지를 가르쳐준다. 무려 150만명의 유대인이 아무런 이유없이 학살당한 그 현장에서 베네딕토 16세는 “기독교도로서, 독일 출신의 교황으로서 이곳에서 말을 한다는 것은 특별히 어렵고 고통스러운 일”이라고 참회했다. 교황의 아우슈비츠 방문은 1979년 폴란드 출신의 요한 바오로 2세에 이어 두번째이지만, 독일 출신으로 그것도 젊은 시절 나치의 청년조직인 히틀러 유겐트 단원이었던 베네딕토 16세가 이곳을 찾았다는 것은 역사적으로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 하겠다.

홀로코스트는 20세기 최대의 대학살로 꼽힌다. 오죽하면 오스트리아,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 유럽 11개국이 홀로코스트를 공개적으로 부인하는 행위를 형사범죄로 규정하고 있겠는가. 추악한 과거에 대한 통렬한 자기반성과 역사적 과오를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가 전제돼 있기 때문일 것이다. 교황이 “진실과 정의, 그리고 희생당한 모든 이들을 위해 이곳을 방문하는 것은 나의 의무”라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일제 36년간 수많은 사람들이 징용으로, 정신대로 끌려가 희생당한 우리의 참담했던 과거는 일본의 진정한 사과와 참회를 받아냈는가. 임기응변식 대응으로 일관하는 일본이 최근에는 한술 더 떠 독도문제까지 야욕을 드러내고 있다. 일본은 이제라도 사과의 진정성을 위한 첫걸음을 제대로 떼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고이즈미 총리를 비롯한 지도자부터 솔선수범해야 한다고 본다.

2006-05-3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