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전쟁 패배후 중국의 힘없는 종속국으로 전락” 美뉴스위크

“러, 전쟁 패배후 중국의 힘없는 종속국으로 전락” 美뉴스위크

김태균 기자
입력 2023-01-25 16:22
업데이트 2023-01-25 17: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英전문가 “우크라에 패배→연방체제 붕괴” 예상
“서방세계, 혼란 막으려면 러 붕괴 대비해야” 경고

이미지 확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FP 뉴스1 DB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AFP 뉴스1 DB
“블라디미르 푸틴은 러시아의 영토 확장을 노리고 이 전쟁을 시작했지만, 오히려 러시아는 지금보다 더 축소될지 모른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만 11개월을 넘어선 가운데 이번 전쟁이 끝난 뒤 러시아가 여러 개로 쪼개진 뒤 중국의 속국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23일(현지시간) 전문가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영국의 싱크탱크 왕립국제문제연구소(채텀하우스)의 객원 연구원 티모시 애시는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그의 군대가 우크라이나에 패배하게 될 것이며, 이는 러시아 연방의 붕괴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러시아의 군사 침공이 시작된 지 11개월이 지난 현재 러시아 정부를 짓누르는 근본적인 문제는 푸틴의 러시아가 어떻게 될 것인가, 그리고 역사가 과연 반복될 것인가”라고 말했다.

여기에서 그가 말한 ‘역사의 반복’은 1991년 ‘소비에트연방(소련) 붕괴’를 염두에 둔 것이다.
이미지 확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당시 총리가 지난 2014년 크림 반도를 합병한 뒤 흑해 항구도시 세바스토폴에서 전승절 퍼레이드를 사열한 뒤 연설하고 있다. AFP 자료사진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당시 총리가 지난 2014년 크림 반도를 합병한 뒤 흑해 항구도시 세바스토폴에서 전승절 퍼레이드를 사열한 뒤 연설하고 있다.
AFP 자료사진 연합뉴스
러시아·우크라이나 정책과 관련해 여러나라 정부에 자문을 해온 애시 연구원은 지난 21일 우크라이나 영자지 키이우포스트에 기고한 글에서 “러시아는 전쟁에 패해 여러 개의 국가로 분열하게 될 것”이라며 “이는 푸틴 대통령이 지난해 2월 우크라이나 침공 개시 때 목표로 내걸었던 ‘대(大)러시아의 부활’과는 정반대의 결과”라고 분석했다.

현재 러시아 연방은 21개 공화국, 6개 연방 직할구, 2개 연방 직할시(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49개 주, 1개 자치주, 10개 자치구 등 총 89개의 구성 주체로 이뤄져 있다. 애시 연구원은 “(각 주체들의 민족 구성 등을 감안할 때) 러시아 연방이 붕괴될 경우 20개가량의 국가가 새로 탄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뉴스위크는 “1991년 소련 붕괴로 주권국가로서의 소련은 사라졌다”며 “그것이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가져왔고 그로부터 러시아와 갈등의 역사가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연차총회에서 화상회의를 통해 연설하고 있다. 2023.1.18 EPA 연합뉴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연차총회에서 화상회의를 통해 연설하고 있다. 2023.1.18 EPA 연합뉴스
미국 럿거스대 정치학 교수로 러시아·우크라이나 문제에 정통한 알렉산더 모틸도 지난 7일 포린폴리시에 기고한 칼럼에서 “푸틴 대통령이 권좌를 떠난 뒤 치열한 권력 투쟁이 일어나 중앙집권제가 무너지고, 이에 따라 러시아 연방이 분열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했다.

모틸 교수는 “그 투쟁에서 누가 승리할 지는 알 수 없지만, 어떠한 경우에도 중앙집권 체제는 약화되고 러시아는 전쟁에 집중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러시아가 혼란을 극복하더라도 중국의 힘없는 속국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만일 혼란이 진정되지 않을 경우 유라시아의 지도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프랑스 싱크탱크 몽테뉴연구소의 지정학 전문가 브루노 테르트레도 우크라이나 전쟁이 ‘제2의 소련 붕괴’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했다. 그는 “푸틴 대통령은 이번 전쟁으로 ‘러시아 세계’(루스키 미르)의 통일에 실패했을뿐만 아니라 러시아에 가장 가까운 이웃 나라들까지 ‘러시아로부터 이탈’을 원하도록 만들었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싱크탱크 제임스타운 재단의 선임 연구원 야누스 부가스키는 지난 12일 발행된 폴리티코 칼럼에서 “러시아의 붕괴는 점점 다가오는데 서방세계 지도자들은 이에 전혀 대비가 돼 있지 않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서방세계가 앞선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는 현재의 제국(러시아)이 영원할 것이라는 전제부터 버려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태균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