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 길 먼 원유 감산… OPEC 생산량 조율 회의 성과 ‘無’

갈 길 먼 원유 감산… OPEC 생산량 조율 회의 성과 ‘無’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16-10-31 23:06
업데이트 2016-11-01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란·이라크 증산 요구 ‘걸림돌’

전 세계 산유국이 2년 넘게 이어진 저유가 상황을 타개하고자 국가별 감산 논의에 나섰지만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 이란과 이라크가 증산을 요구하는 데다 다른 산유국도 감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어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석유수출국기구(OPEC) 14개 회원국을 비롯한 산유국이 29일 오스트리아 빈의 OPEC 본부에서 원유 감산 합의를 이행하고자 회원국별 생산량 조율에 나섰지만 아무런 성과 를 내지 못했다고 30일(현지시간) 전했다. 지난달 OPEC은 원유 공급가격을 올리려고 전 세계 생산량을 2% 줄이기로 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달 합의에 따른 후속 조치로 국가별로 얼마씩 감축할지를 논의하는 자리였다. OPEC 회원국뿐 아니라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등 비(非) OPEC 국가의 생산 감축도 논의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란과 이라크가 감산에 동참하지 않겠다며 예외를 요구해 시작부터 꼬이기 시작했다. 이란은 올해 초 국제사회 제재에서 벗어나 경제 재건에 나서고 있어 생산량을 지금보다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라크도 수니파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를 격퇴하려면 막대한 전쟁 비용이 필요해 증산이 필요하다고 맞섰다.

이란과 이라크의 예외를 인정하면 ‘2% 감산’ 합의를 지키려고 다른 회원국이 이들의 부담을 떠안아야 하는 만큼 반발이 예상돼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무함마드 바르킨도 OPEC 사무총장은 “우리는 원유 가격 회복을 위해 너무 멀리 와 있다”면서 “(감산을) 더이상 미루면 안 된다”고 안타까워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6-11-01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