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언에 천연두균 줘”…美앰허스트대 ‘제프리卿’ 상징서 퇴출

“인디언에 천연두균 줘”…美앰허스트대 ‘제프리卿’ 상징서 퇴출

입력 2016-01-27 09:48
업데이트 2016-01-27 09: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앰허스트 대학이 미국 식민시대 영국군 장교 제프리 앰허스트를 학교의 상징에서 퇴출시키기로 했다.

앰허스트대 이사회는 26일(현지시간) “학교의 명칭은 변하지 않고 그대로이지만, 제프리 경(卿)은 캠퍼스의 상징으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것이 앞으로의 방침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앰허스트가 250년 전 아메리칸 원주민에게 천연두 균에 오염된 담요를 건네줌으로써 인디언을 멸절시키려 했다는 기록 때문이다.

최근 학생들 사이에서는 ‘인디언 탄압의 상징’인 앰허스트를 더 이상 존경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학교의 상징에서 끌어내려야 한다는 의견이 비등했다.

재학생 수 백 명이 도서관 바닥에 앉아 시위를 벌인 적도 있었는데, 이때 학교 사무처에 대한 요구사항 중에도 ‘제프리 경과의 공식 절연’이 들어가 있었다고 미국 언론들이 전했다.

앰허스트는 1755∼1763년 아메리카 대륙의 인디언 영토를 둘러싸고 벌어진 영국과 프랑스의 식민지 쟁탈전인 ‘프렌치 인디언 전쟁’에서 영국군의 승리에 공헌한 인물로, 대학이 있는 앰허스트의 지명도 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1763년 그가 쓴 편지에는 ‘형편없는 종족을 싹 쓸어버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면 담요 뿐 아니라 다른 모든 방법을 시도할 수 있다’는 내용이 들어가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